게걸음으로

귄터 그라스 · 소설
300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6(54명)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54명)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34권. 독일 문단에서 금기시되었던 피란선 구스틀로프호 침몰 사건을 다루어 독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겼던 문제작. 1945년 1월, 독일 피란민 9000여 명을 태우고 항해 중이던 구스틀로프호는 러시아 잠수함이 발사한 어뢰 세 발을 맞고 침몰한다. 선장 넷을 비롯해 1000명 남짓만이 살아남은 이 사고의 희생자 대부분은 여성과 어린 아이들이었다. 독일 문단의 '행동하는 양심'으로 불리는 귄터 그라스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다양한 서술 방식으로 다루어 온 작가다. '구스틀로프 호의 침몰'은 신나치주의 확산과 더불어 정치적으로 이용될 우려가 있는 사건이었다. 귄터 그라스는 정치적 함의나 해석에서 살짝 비켜서서 '게걸음'과 같은 방식으로, 옆으로 걸으면서 느릿느릿하게, 머뭇거리는 듯하지만 이 사건의 모든 면을 살펴보며 나아간다. 이념과 수치(數値) 속에 감춰진 죽음의 표정들, 단 한 측면만을 바라볼 때 일어날 수 있는 역사 왜곡 위험 등에 대해 경고하면서, 역사의 거시적 차원과 그 알맹이를 이루는 개개인들의 삶에 주목한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별점 그래프
평균3.6(54명)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저자/역자

코멘트

3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이자 ‘행동하는 양심’ 귄터 그라스가 독일 문단의 금기를 깨고 밝히는 1945년 피란선 침몰 사건 독일 문단에서 금기시되었던 피란선 구스틀로프호 침몰 사건을 다루어 독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겼던 문제작, 『게걸음으로』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으로 다시 출간된다. 1945년 1월, 독일 피란민 9000여 명을 태우고 항해 중이던 구스틀로프호는 러시아 잠수함이 발사한 어뢰 세 발을 맞고 침몰한다. 선장 넷을 비롯해 1000명 남짓만이 살아남은 이 사고의 희생자 대부분은 여성과 어린 아이들이었다. 독일 문단의 ‘행동하는 양심’으로 불리는 귄터 그라스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다양한 서술 방식으로 다루어 온 작가다. ‘구스틀로프 호의 침몰’은 신나치주의 확산과 더불어 정치적으로 이용될 우려가 있는 사건이었다. 귄터 그라스는 정치적 함의나 해석에서 살짝 비켜서서 ‘게걸음’과 같은 방식으로, 옆으로 걸으면서 느릿느릿하게, 머뭇거리는 듯하지만 이 사건의 모든 면을 살펴보며 나아간다. 이념과 수치(數値) 속에 감춰진 죽음의 표정들, 단 한 측면만을 바라볼 때 일어날 수 있는 역사 왜곡 위험 등에 대해 경고하면서, 역사의 거시적 차원과 그 알맹이를 이루는 개개인들의 삶에 주목한다, 그것이야말로 ‘게걸음’의 의미이며 우리가 ‘게걸음으로’ 지난날과 오늘날을 돌아보아야 하는 이유인 것이다. ■ 독일 사회의 침묵 속에 잊혔던 참사, 구스틀로프호 피란선 침몰 사건 “각자 알아서 자신을 구하라.”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가던 1945년 1월 발트해, 독일 여객선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피란민 및 병사 9000여 명을 태우고 어뢰정 뢰베호 단 한 척의 보호만 받으며 바다로 나간다. 그리고 러시아 잠수함이 발사한 어뢰 세 발을 맞고 침몰한다. 아비규환 속에 ‘여자와 아이 먼저’라는 암묵적 규칙은 무너지고 각자의 생존만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선장 넷을 비롯해 1000명 남짓만이 살아남은 이 사고의 희생자 대부분은 여성과 어린 아이들이었다. 역사상 최악의 해상 사고지만, 이 비극적 참상의 전모는 거의 밝혀지지 않은 채 역사의 무덤 속에 매장되어 있었다. “독일 민족은 휴식을 취해야 한다.” “독일 민족은 휴식을 취해야 한다.”라는 히틀러의 교시에 따라 구스틀로프호는 ‘계급 없는’ ‘저렴하지만 행복한’ 여행을 위해 설계되었다. 스위스에서 한 유대인 청년에게 암살된 나치 간부 빌헬름 구스틀로프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에서 배 이름을 따오고 거대한 명명식도 열었다. 신분과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객실에서 잠을 자고, 한 테이블에서 식사를 할 수 있었다. 노동자와 농민 우선으로 운항된 이 배는 그야말로 “꿈의 배”였으며 나치 시대 대(大)독일제국이라는 야망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이 선박은 전쟁과 더불어 병원선으로, 병영용 폐함으로, 마지막으로 독일 패전 선언 직전에는 피란민 수송선으로 탈바꿈했다. “그 배의 침몰은 총체적인 몰락의 징조이기도 했다.” 고텐항은 배를 타기 위해 몰려든 피란민으로 이미 아수라장이었다. 1월21일 소련군의 점령이 눈앞에 다가오자 나치는 바다를 통한 사상 최대의 철수 작전인 한니발 작전을 개시했다. 군수물자와 교육 중인 사관생도, 그리고 피란민을 안전한 곳으로 실어 나르기 시작한 것이다. 구스틀로프호도 수송에 참가하라는 상부 명령에 따라 사관생도와 함께 여성과 아이 들을 우선적으로 태웠다. 당시 승선자 명단을 작성한 하인츠 쇤의 증언에 따르면 7956명을 기록하고 나서는 장부가 바닥났고, 그 후 기록 없이 태운 사람도 2000명 이상이나 됐다고 한다. 1월 30일 정오 피란민을 가득 태운 구스틀로프호는 어뢰정 뢰베호의 보호를 받으며 출항했다. 그리고 소련 잠수함 S13호는 이미 두세 시간에 걸친 공격 준비 끝에 공격 목표인 구스틀로프호를 향해 어뢰 세 발을 발사한 것이다. 1945년 1월 30일, 즉 순교자가 태어난 지 정확하게 오십 년이 되는 날에, 그의 이름을 따라 명명된 배가 침몰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또 그날은 히틀러가 대권을 장악한 지 십이 년째 되는 날로, 그 배의 침몰은 총체적인 몰락의 징조이기도 했다. -작품 속에서 ■ 독일의 침묵, 그리고 귄터 그라스의 선택, ‘게걸음’ “우리는 아우슈비츠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은 비극적인 사건이 분명하다. 하지만 독일은 이 사건에 대해 거론하는 것을 금기시해 왔다. 독일은 다름 아니라 전쟁의 가해자, 구스틀로프호보다 훨씬 많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생명을 앗아간 전범(戰犯)이었으며 이 사건 또한, 반인류적 범죄를 저지른 국가로서 마땅히 치러야 할 대가로 인식되어 온 것이다. 귄터 그라스 또한 항상 그러한 입장에서 목소리를 내어 온 작가였다.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는 아우슈비츠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라는 것이 독일인이자 작가 그라스의 윤리 의식이었다. 지난 역사, 더 정확히 말해서 우리와 관계되는 역사는 꽉 막힌 변소와도 같다. 우리는 씻고 또 씻지만, 똥은 점점 더 높이 차오른다. -작품 속에서 “이러한 태만은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올바른 역사 인식 없이 이러한 사건들을 바라볼 때, 혹은 뚜렷한 정치적, 이념적 목적을 가지고 이러한 사건들을 언급할 때, 우리는 객관성을 잃거나 사건 속에 숨은 진실을 놓치기도 한다. 구스틀로프호 침몰 사건도 마찬가지였다. 민간인들의 죽음, 여성과 아이 들의 희생 등 그 엄청난 수치(數値)를 내세워, 이 사건은 독일 사회 내에서 신나치주의를 확산시키고 정치적으로 이용될 우려가 있었다. 귄터 그라스가 이 작품을 쓸 무렵 유럽 일각에서는 “역사에 대한 때 이른 망각과 더불어” 스킨헤드족, 혹은 네오나치즘이 꾸준히 준동하고 있었다. “평생을 바쳐 독일 시민 사회의 정신적 위기 상황을 진단해 온 작가” 귄터 그라스는, 그러한 흐름이 독일의 우경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우려했다. 죽음은 “단순히 자료로만 활용”될 수 없으며, 정치적으로 이용될 바에 제대로 알고 역사의 한 장에 기록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라스의 생각이었다. 이것이 바로, 그가 『게걸음으로』를 쓸 결심을 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자신의 죄가 너무도 크고 그 오랜 세월 동안 참회를 고백하는 것이 너무나 절실한 문제였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그처럼 많은 고통에 침묵을 지켜서는 안 되며, 또한 그 기피 주제를 우파 인사들에게 내맡겨서도 안 된다. 이러한 태만은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작품 속에서 “게걸음으로” 이 작품에서 귄터 그라스는 ‘그 노인’, ‘고용주’, ‘그’ 등으로 지칭되며 ‘나’라는 화자에게 구스틀로프호 침몰에 대해 이야기할 것을 요구한다. ‘나’의 어머니는 만삭인 채 구스틀로프호에 승선했다가 간신히 구조된다. 그리고 참사를 바로 눈앞에서 생생하게 바라보며 ‘나’를 낳는다. ‘나’는 역사의 소용돌이 한가운데 있었지만 한 걸음 떨어져 최대한 객관적으로 그 사건을 바라보려는 인물이다. 또한 ‘나’의 아들 ‘콘라트’는 전후 세대를 대변한다. 할머니의 영향으로 구스틀로프호 사건에 집착하고 홈페이지를 운영하며 자극적인 사진과 수치(數値)를 통해 주변을 선동하는 콘라트는 독일 네오나치즘의 한 면을 보여 주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라스는 중립적인 인물 ‘나’, 그리고 ‘나’와 ‘콘라트’의 대립을 통해 사건의 정치적 함의나 해석에서 비켜서서, 사건 자체만을 바라보고 서술하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그라스는 이 작품 속에서 꾸준히 ‘게걸음으로’ 나아간다. “우왕좌왕 옆으로 걸으면서 느릿느릿하게, 머뭇거리는 듯하지만 모든 측면을 살펴보고 결과적으로는 신속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방식”이 그라스의 ‘게걸음’이다. 수치 속에 감춰진 죽음의 표정들, 단 한 측면만을 바라볼 때 일어날 수 있는 역사 왜곡 위험 등에 대해 경고하면서, 역사의 거시적 차원과 그 알맹이를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0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