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감사의 말 | 머리말 | 옮긴이의 말 오귀스트 콩트 1. 사상: 탐구 방법 | 인류의 진화법칙 | 과학의 위계 | 사회정학과 사회동학 | 규범적 학설 2. 개인적 배경: 생-시몽과의 만남 3. 지적 배경: 진보의 전통 | 질서의 전통 | 자유주의의 전통 | 생-시몽의 영향 | 지적 경쟁의 영향: 콩트와 케틀레에 대한 고찰 4. 사회적 배경: 개관 | 콩트의 세대-세기병 | 과학에 대한 기대 | 동료 없는 생활 | 청중을 찾아서 5. 요약 카를 마르크스 1. 사상: 전반적인 사상체계 | 계급론 | 소외론 | 지식사회학 | 사회변동의 동학 2. 개인적 배경: 청년 헤겔주의자가 되다 | 파리에서의 생활: 사회주의자가 되다 | 독자적인 사상가가 되다 | 제1인터내셔널의 창설 3. 지적 배경: 진보에 대한 사상 | 소외에 대한 사상 | 완전성에 대한 사상 | 전체성에 대한 사상 | 동시대인의 영향 4. 사회적 배경: 개관 | 가정환경과 초기의 동료들 | 노동계급 청중 | 고립과 이중적 주변성 5. 요약 허버트 스펜서 1. 사상: 성장과 구조와 분화 | 사회형태: 군사형 사회와 산업형 사회 | 진화-단선적인가 복선적인가 | 기능주의 | 개인주의 대 유기체론 | 방임과 적자생존 | 객관성의 장애물 2. 개인적 배경: 런던 시절 | 성공적인 저작자 3. 지적 배경: 이전의 사람들 | 동시대인의 영향 4. 사회적 배경: 개관 | 배경 | 친구와 동료 | 사회적 환경 | 청중과 그들의 요구 5. 요약 에밀 뒤르켐 1. 사상: 전반적인 시각 | 개인과 사회 | 종교사회학 | 지식사회학 | 기능적 설명 2. 개인적 배경: 학문적 경력 | 시민적 참여 3. 지적 배경: 프랑스 지성사에 내린 뿌리 | 동시대의 영향 | 프랑스 외부의 영향 4. 사회적 배경: 개관 | 뒤르켐의 배경 | 제자와 추종자들을 얻다 | 영향의 형태들 5. 요약 게오르그 짐멜 1. 사상: 형식사회학 | 사회적 유형 | 짐멜 사회학의 변증법적 방법 | 사회생활에서 수의 중요성 | 현대문화에 대한 짐멜의 양면적 견해 |『돈의 철학』에 관한 소고 2. 개인적 배경: 학문적 아웃사이더 | 교단에서의 대가 | 짐멜의 저작 경력 3. 지적 배경: 다윈과 스펜서를 좇아서 | 칸트의 영향 | 마지막 단계: 생철학 4. 사회적 배경: 개관 | 짐멜의 두 청중 5. 요약 막스 베버 1. 사상: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가치연관 | 이념형 | 인과성과 개연성 | 권위의 유형 | 관념의 기능 | 계급과 지위 그리고 권력 | 관료제 | 합리화와 각성 2. 개인적 배경: 아버지 집에서 보낸 시절 | 초기의 학문적 생애 | 성숙의 시기 | 모범적인 도덕가 3. 지적 배경: 베버와 관념론의 유산 | 베버와 독일역사주의 그리고 사회학 | 두 사람의 결정적 영향 : 니체와 마르크스 4. 사회적 배경: 가정환경 | 공적 활동무대 | 학자로서의 인간 5. 요약 소스타인 베블런 1. 사상: 전반적인 시각 | 경쟁의 해부 | 지식사회학 | 기능적 분석 | 사회변동론 2. 개인적 배경: 주변적인 노르웨이인 | 주변적인 학생 | 주변적인 학문생활 | 주변적인 자유기고가 3. 지적 배경: 벨러미, 마르크스, 진화론의 영향 | 실용주의의 도움 4. 사회적 배경: 개관 | 주변적인 인간 | 베블런의 청중과 동료 5. 요약 찰스 쿨리 1. 사상: 거울자아 | 유기적 사회관 | 일차집단 | 사회학적 방법 | 사회과정 | 제도분석 2. 개인적 배경: 앤아버의 현인 3. 지적 배경: 볼드윈과 제임스에게 진 빚 4. 사회적 배경: 쿨리의 학문적 입장과 청중 | 쿨리의 유산 5. 요약 조지 미드 1. 사상: 사회 속에서의 자아 | 자아의 발생 | 주체적 자아와 객체적 자아 | 선험적 개척자로서의 미드 2. 개인적 배경: 시카고에서의 미드 3. 지적 배경: 프로테스탄트교와 프런티어의 유산 | 진화론 | 독일관념론 | 실용주의자들과의 교우 4. 사회적 배경: 미드의 청중과 동료들 5. 요약 로버트 파크 1. 사상: 집단행동과 사회적 통제 | 네 가지의 주된 사회적 과정 | 사회적 거리 | 사회변동 | 생물학적 질서와 사회적 질서 | 자아와 사회적 역할 2. 개인적 배경: 신문기자이자 철학도로서의 파크 | 활동가로서의 파크 | 파크의 학문적 생애 3. 지적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