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 소개 III 지은이 머리말 IV 옮긴이 소개 VII 차 례 VIII 1부 서 론 1 장 분자생물학사 1 1.1 전달유전학 2 (1) 멘델의 유전법칙 2 (2) 유전의 염색체설 3 (3) 유전자 재조합과 유전자지도 작성 4 (4) 재조합에 대한 물리적 증거 5 1.2 분자유전학 5 (1) DNA의 발견 5 (2) 유전자와 단백질의 상호관계 6 (3) 유전자의 작용 7 1.3 생명체의 세 가지 영역 9 2 장 유전자의 분자 특성 12 2.1 유전물질의 본체 13 (1) 박테리아의 형질전환 13 (2)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화학적 특성 15 2.2 DNA 구조 19 (1) 실험적 배경 19 (2) 이중나선 구조 19 2.3 RNA로 구성된 유전자 22 2.4 핵산의 물리화학 23 (1) DNA 구조의 다양성 23 (2)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DNA 26 3 장 유전자 기능의 개요 30 3.1 정보의 저장 31 (1) 유전자 발현의 개요 31 (2) 단백질의 구조 31 (3) 단백질의 기능 35 (4) 전령 RNA의 발견 37 (5) 전 사 39 (6) 번 역 41 3.2 복 제 44 3.3 돌연변이 45 (1) 낫형 세포병 45 2부 분자생물학 방법론 4장 분자 클로닝 방법 49 4.1 유전자 클로닝 방법 50 (1) 제한효소의 기능 50 (2) 벡 터 52 (3) 특이 탐침을 이용한 특이 클론 식별법 60 (5) cDNA 말단의 급속증폭법 63 4.2 중합효소 연쇄반응 63 (1) 표준 PCR 방법 64 (2) cDNA 클로닝을 위한 RT-PCR의 이용 65 중점설명 4.1 쥬라기 공원: 그저 환상일 뿐인가? 66 (3) 실시간 PCR 67 4.3 클론된 유전자의 발현 방법 67 (1) 발현벡터 67 (2) 기타 진핵세포용 벡터 73 (3) Ti 플라스미드를 이용해 유전자를 식물에 도입하는 방법 74 5장 유전자와 유전자 활성 연구를 위한 분자 도구 77 5.1 분자 분리 78 (1) 젤 전기영동 78 (2) 2차원 젤 전기영동 80 (3)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81 (4)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82 (5)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82 5.2 표지추적자 83 (1) 자기방사법 83 (2) 인영상화법 84 (3) 액체섬광계수법 85 (4) 비방사성 추적자 85 5.3 핵산 잡종화의 이용 85 (1) 서던블롯: 특정 DNA 절편의 동정 85 (2) DNA 핑거프린팅과 DNA 타이핑 87 (3) DNA 핑거프린팅과 DNA 타이핑의 법의학적 이용 88 (4) 면역블롯(웨스턴블롯) 89 (5) DNA 서열분석 90 (6) 제한효소 지도작성 93 (7) 클로닝된 유전자를 이용한 단백질 공학: 위치지정 돌연변이 96 5.4 전사체 지도작성 및 정량화 98 (1) 노던블롯 98 (2) S1 지도작성법 99 (3) 프라이머 신장 101 (4) 런-오프 전사와 G-부재 카세트 전사 102 5.5 생체 내 전사 속도의 측정 103 (1) 핵의 런-온 전사 103 (2) 보고유전자의 전사 103 (3) 생체 내 단백질 축적의 측정 106 5.6 DNA-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106 (1) 필터 결합법 106 (2) 젤 이동성 변화 107 (3) DNase 풋프린팅 107 (4) DMS 풋프린팅과 기타 풋프린팅 108 5.7 다른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RNA 서열 발견 110 (2) 기능체 SELEX 110 5.8 유전자 제거 110 3부 원핵생물의 전사 6장 원핵생물의 전사기작 116 6.1 RNA 중합효소의 구조 117 (1) 특이 인자로서의 시그마(s) 117 6.2 프로모터 118 (1) RNA 중합효소와 프로모터의 결합 119 (2) 프로모터의 구조 120 6.3 전사개시 122 (1) s-인자의 기능 123 (2) a-인자의 구조 131 (3) a-소단위체에 의한 활성증진 요소의 인지 134 6.4 신 장 136 (1) 핵심중합효소의 신장 과정에서의 기능 137 (2) 신장 복합체의 구조 142 6.5 전사종결 152 (1) Rho-비의존적 전사종결 152 (2) Rho-의존적 전사종결 156 7장 오페론: 원핵생물 전사의 세부 조절 163 7.1 lac 오페론 164 (1) lac 오페론의 음성적 조절 165 (2) 오페론의 발견 166 (3) 억제인자와 작동자의 상호작용 169 (4) 억제기작 169 (5) lac 오페론의 양성적 조절 172 (6) CAP의 작용기작 173 7.2 ara 오페론 177 (1) ara 오페론의 억제고리 177 (2) ara 오페론의 억제고리에 대한 증거 179 (3) araC의 자가조절 181 7.3 trp 오페론 181 (1) trp 오페론의 음성적 조절에서 트립토판의 역할 182 (2) trp 오페론의 전사약화에 의한 조절 182 (3) 전사약화 와해기작 184 7.4 리보스위치 185 8장 원핵생물 전사의 주요 전환 191 8.1 s-인자 전환 192 (1) 파지 감염 192 (2) 포자형성 193 (3) 다중 프로모터를 갖는 유전자 195 (4) 다른 s의 전환 196 8.2 T7 파지에서 암호화된 RNA 중합효소 197 8.3 l 파지의 대장균 감염 197 (1) l 파지의 용균성 번식 198 (2) 용원성의 확립 204 (3) 용원성 상태에서 cI 유전자의 자가조절 206 (4) l 감염으로 인한 용균성 또는 용원성의 결정 210 (5) 용원균의 유도 211 9장 원핵생물에서 DNA와 단백질의 상호작용 215 9.1 l 억제인자 가족 216 (1) 위치지정 돌연변이에 의한 결합 특이성 규명 216 중 점 설 명 9.1 X-선 결정분석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