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떤 삶을 선택할 수 있을까

박병기 · 인문학
213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7 서론: 관계 맺기의 어려움과 우리 시대의 고전 18 1부 자신과 올바른 관계 맺기 우리는 세상의 흐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9 - 지금 여기서 『금강경』 읽기 내 마음 속 부처를 어떻게 할 것인가? 41 - 테러 시대에 지눌의 『수심결(修心訣)』 읽기 우리 시대에 공부란 무엇일까? 51 - 공부가 고통인 시절에 율곡의 『격몽요결』 읽기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63 - 행복과 의미 상실 시대에 『논어』 읽기 2부 다른 사람 및 공동체와 관계 맺기 낯섦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77 - 다종교 시대에 『꾸란』 읽기 윤리 귀환 시대에 시민으로 살아가기 89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읽기 우리 시대에도 보편윤리가 가능할까? 101 - 칸트의 『윤리형이상학 정초』 읽기 이 땅에 정의(正義)가 살아 있을까? 111 - 상징폭력의 시대에 플라톤의 『국가』 다시 읽기 정의(正義)를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까? 123 - 촛불혁명의 완수를 위한 롤즈의 『정의론』 읽기 동정심은 우리를 위기에서 구할 수 있을까 135 - 핵 위기 시대에 밀의 『공리주의』 읽기 우리는 어떤 정치를 꿈꿀 수 있을까 147 - ‘촛불혁명’의 눈으로 다산의 『목민심서』 읽기 3부 일상을 넘어 다른 존재와 관계맺기 이 소리 없는 학살을 어떻게 끝낼 수 있을까 161 - 가축 학살 시대에 싱어의 『동물해방』 읽기 절망의 시대에 초월의 의미를 다시 묻다 173 - 다종교 문화 속에서 『신약성서』 읽기 성장 신화의 미망(迷妄)에서 깨어나기 183 - 탈원전 선언과 함께 『도덕경』 읽기 어떤 진리를 추구하며 살아야 할까? 193 - 진리 상대주의 시대에 『장자』 읽기 맺음말: 우리 일상 속에서 고전과 어떻게 만나야 할까? 203 참고문헌(읽을 만한 고전 번역본) 210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올해(2018년) 3월부터 전국의 고등학교에서 ‘고전과 윤리’라는 진로선택과목을 배울 수 있게 된다. 『금강경』, 『논어』 같은 동양 고전을 물론이고 『국가』와 『니코마코스윤리학』 등 서양 대표 고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신약성서』와 『꾸란』이 포함되어 있어 종교 간의 만남과 대화를 위한 토대를 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작은 책은 ‘고전과 윤리’ 교과서 대표저자인 필자가 이 과목에 포함된 15권의 고전과 어떻게 만나 대화할 수 있을지를 안내하는 내용과 실천지침을 담고 있다. 교사들은 물론 이 땅의 모든 학부모와 시민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저자의 간절한 소망, 즉 바쁜 일상 속에서 한 걸음 물러서서 ‘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지’를 스스로에게 묻고 또 그 과정을 우리 아이들과도 나눌 수 있는 시·공간의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책에서 만나는 고전 『금강경』, 『수심결(修心訣)』, 『격몽요결』, 『논어』, 『꾸란』 『니코마코스윤리학』, 『윤리형이상학 정초』, 『국가』, 『정의론』, 『공리주의』 『목민심서』, 『동물해방』, 『신약성서』, 『도덕경』, 『장자』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