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1부 글쓰기 시스템과 비판의 메커니즘
비평과 사랑—포스트 비평과 동시대 한국문학 비평의 논점들 | 인아영
비평의 몰락을 한탄하지 않는 방법 | 이소
글쓰기를 위한 시스템 설계—『사이클로노피디아』, 또는 현재의 기록시스템을 재정의하기 | 윤원화
2부 독자성과 일인칭 ‘나’의 서사 실험
수치심의 글쓰기와 퀴어의 사랑/윤리 | 김경태
벽장의 문학과 사생활의 자유—소수자 시민 가시화의 욕망을 둘러싼 한 쟁점 | 오은교
자아 생산 장치로서의 에세이 | 한영인
3부 몸의 이론과 퀴어 정치미학
비평하는 몸 | 조선정
불가능한 퀴어 이론 | 정민우
가족도 미래도 없이 친밀하게—돌봄의 생명 정치와 난잡한 친밀성들 | 김건형
4부 비인간, 동물, 공생자 이론
인류세와 민주주의 | 진태원
구멍 뚫린 신체와 세계의 비밀—신유물론과 길항하는 소설 독해 | 강지희
‘기후 소설(Cli-fi)’을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 임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