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데리다의 글소리 제1장 시작이란 무엇인가: 애도는 이미 시작되었다 1. 산문적 예민성과 시적 상상력 2. 애도는 이미 시작되었다 제2장 왜 데리다와의 데이트인가 1. 메타포로서의 데이트 2. 데리다와 나의 데이트: 자서전적 노트 3. 데리다와의 데이트, 그 ‘불편함’과 희열 제3장 왜 데리다인가: 데리다 유산의 상속자들 1. 왜 데리다인가: 데리다는 ‘나’에게 왜 중요한가 2. 우리는 상속자: 존재한다는 것은 상속받는다는 것이다 3. 데리다 유산의 상속: 세 가지 과제 제4장 데리다는 누구인가: 데리다 언더 이레이저 1. 데리다는 누구인가: 오토바이오타나토그라피(autobiothanatography) 2. 재키 데리다, 아웃사이더 3. 데리다의 죽음, 그리고 죽음 이후 제5장 데리다, 뿌리 뽑힌 이방인: 저작과 공적 활동 1. 저작과 언어를 통한 혁명 2. ‘낭테르 어페어’: 박사학위 구두시험과 교수직 지원 3. 프랑스와 미국에서의 학문적 활동과 사회변혁운동 4. ‘어페어’들 속의 데리다: 사회정치적 함의들 5. 데리다 사후의 출판 6. 다시, 데리다는 누구인가: 데리다 언더 이레이저 제6장 데리다와의 데이트를 위한 읽기: 일곱 가지 제안 1. 데리다 글에 등장하는 중요한 표현: 다섯 가지 2. 데리다와의 데이트를 위한 읽기: 일곱 가지 제안 제7장 해체적 읽기: 정치적·윤리적 책임성 1. 읽기란 무엇인가: 정치적·윤리적 책임성 2. 해체적 읽기: 생명 긍정의 도구 제8장 해체: 사랑의 작업, 인식 세계의 지진 1. 해체란 무엇인가: 오해와 이해 2. 전통 계승의 과제로서의 해체 3. 차연: 다름과 지연 4. 해체: 생명 긍정의 초대장, 불가능성에의 열정 제9장 환대: 환대 너머의 환대, 편안함의 해체 1. 적대·환대의 질문: ‘당신은 누구인가’ 2. “우리는 환대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네 가지 의미 3. 적대와 환대의 얽힘: 호스티피탈리티 4. 환대의 두 축과 코즈모폴리턴 환대 제10장 애도와 연민: 함께 살아감의 존재방식 1. 왜 연민인가: 살아감이란 ‘함께-살아감’ 2. 연민이란 무엇인가: 근원적인 존재방식 3.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 애도의 정치학과 코즈모폴리턴 연민 제11장 인간과 동물: ‘동물에 대한 범죄’를 넘어서 1. ‘자서전적 동물’: ‘동물’은 철학적 주제가 될 수 있는가 2. ‘우리가 동물이라고 부르는 그것’, 고양이와의 조우 3. ‘동물’, 동물에 대한 범죄와 동물의 식민화 4. 인간과 동물: 주권과 죽일 수 있음 5. 인간과 동물 관계의 변혁: 존재론적 필요성과 윤리적 의무 제12장 데리다와 종교, 데리다의 종교: 종교 없는 ‘종교’ 1. 우리는 종교가 무엇인지 모른다: 종교의 ‘발명’ 2. 종교, 범주화 열병 3. 데리다와 종교 4. 데리다의 종교: 종교 없는 ‘종교’ 제13장 데리다의 유산, ‘함께 살아감’의 과제 1. 데리다는 페미니스트인가 2. ‘새로운 선생’, 데리다: ‘전적 타자’를 향한 관대함, 시선 그리고 웃음 3. 데리다의 유산, 함께-살아감의 과제 연보 찾아보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