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감사의 글 5 | 서문 6 1부 | ‘전통적인’ 질서 1장. ‘노동자계급’은 누구인가? 14 1. 노동자계급과 나: 접근 방식의 문제 14 2. 누가 노동자계급인가: 개략적인 정의 22 2장. 사람이 있는 풍경: 그들이 사는 환경 34 1. 구전 전통, 저항과 순응, 공식적인 생활양식 34 2. “내 집만한 곳이 없다” 43 3. 어머니 54 4. 아버지 73 5. 이웃 80 3장. ‘그들’과 ‘우리’ 99 1. ‘그들’: 자존심 99 2. ‘우리’: 최선과 최악 111 3. ‘참고 견디기’: “너는 너 나는 나” 128 4장. 대중의 ‘실제’ 세계 144 1. 개인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 144 2. ‘진정한’ 삶과 종교 158 3. 대중잡지들의 삶 묘사법 170 5장. 풍요로운 삶 188 1. 바로, 지금, 즐겁게: 운명과 행운 188 2. ‘세상에서 가장 큰 엽란’: ‘바로크’ 시대로 떠나는 당일치기 여행 200 3. 클럽에서 노래하기 214 2부 | 새로운 것에 밀려나다 6장. 느슨해진 활력 244 1. 전통적인 것과 새로운 것 244 2. 관용과 자유 253 3. “누구나 다 한다” 혹은 “모두가 여기에 있다”: 집단의식과 민주주의적 평등주의 258 4. 현재를 살아가는 것과 ‘진보주의’ 275 5. 무관심주의: ‘개인화’와 ‘파편화’ 284 7장. ‘솜사탕 같은 세상으로의 초대’: 새로운 대중예술의 등장 302 1. 대중문학 생산자 303 2. 주간 가족전문지 변화 과정 묘사 310 3. 상업적인 대중음악 변화 과정 묘사 327 4. 결과: 거대한 획일화 342 8장. 요즘의 양산형 예술: 화려한 섹스 꾸러미 364 1. 주크박스 소년들 364 2. ‘자극적인’ 잡지 370 3. 섹스-폭력 소설 379 9장. 탄력을 잃은 용수철: 긴장감이 사라진 회의주의에 대한 기록 406 1. 회의주의에서 냉소주의로 406 2. 우화적인 인물들 423 10장. 탄력을 잃은 용수철: 유리되고 불안한 사람들에 대한 기록 434 1. 장학생들 434 2. 문화의 자리: 이상에 대한 향수 456 11장. 결론 477 1. 회복력 477 2. 오늘날의 대중문화 요약 495 옮긴이의 말 517 | 주 528 | 참고문헌 544 | 찾아보기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