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문학과 영상

김기덕님 외 4명 · 인문학
220p
구매 가능한 곳
평가하기
'인문학의 위기'로 표현되는 지금의 현실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 대해 해결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모아진다. 하나는 국가정책적 차원에서 외부의 변화를 꾀하는 일이며, 다른 하나는 인문학 역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면서 내부의 변화를 모색하는 일이다. 이 책은 인문학 내부의 변화에 바탕을 두고 기획된 책으로, 디지털 기술 발전이라는 지금의 사회변화 속에서 왜 영상과 결합해야 하는지 그 필요성과 효용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이 책은 기존의 '문자기록'에 더하여 새롭게 '영상기록'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은이들은 역사학과 민속학, 사회학, 인류학, 고고학의 측면에서 영상기록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그 현황을 조사.정리했다. 인문학이 이러한 영상기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대를 읽어내고 사회를 해석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대중과 호흡을 같이 하는 살아 있는 학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리라는 게 이 책의 주장이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저자/역자

목차

<우리 인문학과 영상>을 펴내며 1. 영상역사학 [정보화 시대의 역사학: '영상역사학'을 제창한다 - 김기덕] 1. 인터넷 시대, 그 역사적 의미 2. '영상역사학'을 제창한다 3. 영상역사학의 과제 2. 영상민속학 [민속 연구에서 영상자료의 가치와 활용 방안 - 김덕묵] 1. 민속지에서 영상민속지로 2. 영상자료의 기록 보존 및 활용 3. 민속관련 영상자료의 보존 실태와 과제 3. 영상사회학 [영상사회학의 발전과 영역의 확대 - 김현숙] 1. 사회학에서 영상의 위상과 영상사회학의 발전 2. 영상사회학 영역의 변화와 확대 3. 한국의 영상사회학 4. 영상인류학 [역사학과 민족지 영화 - 이문웅] 1. 영사학과 인류학의 교집합 영역 2. 역사학과 영상자료 3. 역사 교육과 영상자료 4. '영상 역사 자료관' 설립을 위한 제안 5. 영상고고학 [새로운 서술 방법으로의 영상고고학 - 임세권] 1. 난해한 고고학 보고서들 2. 고고학 조사기록의 영상화 3. 디지털 영상보고서의 작성 4. 하히퍼텍스트의 디지털 영상고고학을 위하여 주석 및 참고문헌 찾아보기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