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과 열광

강양구님 외 2명
28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3
평균 별점
(3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2006년 5월 21일 검찰의 수사발표로 어느 정도 일단락되어가고 있는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스캔들의 전모를 담았다. "7년의 기록"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이들이 이 사태의 시작을 2005년 제럴드 섀튼 교수와 황우석의 결별로 알고 있지만 지은이들은 그 시작의 지점을 황우석의 연구가 본격화된 1999년 복제소 영롱이의 탄생으로 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만큼 황우석 사태를 통해 드러난 대한민국의 거대한 부조리가 긴 시간 속에 쌓여온 과정을 조목조목 밝히고자 한 것이 특징. 인터넷 언론 '프레시안'을 통해 당시 사태에 대한 많은 기사를 냈던 강양구 기자를 비롯, 세 지은이들은 '과학기술 민주화'라는 테마를 공유하며 7년여간 황우석 사태를 추적, 정리, 비판해왔다. 그리고 2005년 황우석 열광이 극에 달해있을 즈음 모여 이 책을 기획했고, 사태의 경과에 따라 수없이 내용을 수정해 가며 원고를 완성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완성된 <침묵과 열광>이라는 제목은 한국 사회의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아직도 황우석을 지지하며 복권을 요구하는 이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성찰하지 않는 열광'이 그 하나라면, 정부와 과학자, 언론 세력이 연합한 '과학기술동맹'이 보여준 줄기세포 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침묵'이 그 다른 하나이다. 황우석이 정부와 언론 등과 관계를 맺으면서 형성된, 정치·사회·경제·학계를 아우르는 '과학기술동맹'의 실체와 작동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사이언스'지 논문을 비롯한 황우석의 연구, 여전히 사그라지지 않는 '황우석 신드롬' 등 사태의 전모를 종합적으로 살피면서 이후 한국 사회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담았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목차

서문 - 황우석 사태, 침묵과 열광 사이 1장 황우석의 과거를 묻다 2장 과학기술동맹의 탄생과 성장 3장 과학기술의 덫에 갇힌 언론 4장 황우석 손바닥 위의 생명윤리법 5장 민주적 토론 바깥의 최고 과학자 6장 인간배아복제와 윤리적 문제 7장 스타 과학자의 몰락 8장 침묵 속의 거품: 광우병 내성소, 이종간 장기이식 9장 과학기술동맹과 의료시장화 10장 꺼지지 않는 열광과 위기의 민주주의 11장 황우석 사태와 한국 사회의 미래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