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영화는 보통 위험을 기다린다. 죽음의 섬광 같은 가벼움, 집, 어두운 밤 같은. 도깨비불은 깊은 어두움으로부터 나타났다가 다시 자취를 감춘다. 한 젊은 여자가 건물 안에 들어가 오랫동안 자리잡고 있다. 영화의 접점지역에서는 삐걱삐걱 큰 소리가 난다. 숨이 막힐 정도의 연기가 난다. 흑백 화면 속에 담아낸 공포의 질량. 한 젊은 여성이 그녀의 집으로 들어간다. 어두운 복도는 한 편의 스릴러를 연상케 한다. 그녀는 관객과 함께 알지 못하는 공간으로 들어가고, 영화적 이미지 생산 과정은 그녀 주위의 모든 궤도를 벗어난다. 그녀가 지나는 방들이 서로 겹쳐지면서 흐릿해지고, 동시에 영상 편집 소리와 사운드 트랙의 배경소음-필름 재료 자체의 소리-은 점점 커지고 보다 더 날카로워진다. 강렬한 실험정신으로 「까이에 뒤 시네마」와 「필름코멘트」등 세계 유력 영화전문지의 ‘올해의 필름’으로 선정되었으며 세계 20여 곳의 영화제에서 수상기록을 세웠다. 1999 시네마텍사스 관객상, 1999 뉴욕 단편 필름/비디오 엑스포 청동상, 2000 샌프란시스코영화제 골든스피어상, 골든게이트상, 2000 캐나다, 미디어씨티 실험영화부분 심사위원상, 2000 시카고국제영화제 은상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