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독재정권을 한 정신병동에서 일어나는 해프닝으로 코믹하게 풍자한 작품. 제목이 암시하는 것처럼 정신병원이 무대다. 속된 의사와 약삭빠른 선임 간호사가 일하는 그곳에 한 어수룩한 초자 간호사가 부임한다. 그녀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을 가슴깊이 간직한 채 오직 그와 같은 남자를 만나기만 고대한다. 마침 그 병원에는 '나라 걱정이 너무 많아서 밤에도 잠을 못 이루는' 건장하고 잘생긴 한 젊은 남자가 입원해 있다. 그녀는 점점 그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데... 자신을 박정희이라고 생각하는 망상증을 앓고 있는 근육질 청년에 대한 매력을 아버지로 표상 되는 어른을 기다리는 간호사의 심리와 포개놓음으로써 <사이코드라마>는 박정희 같은 강력한 지도자를 그리워하는 지금 우리 사회의 병리적인 한 측면을 날카롭게 그리고 유머러스하게 풍자하고 있다. 시골의 한 정신병원의 신참 오숙경 간호사에게 새로운 병원의 생활은 피곤함을 줄 뿐이다. 이런 숙경을 달래고 편안하게 하는 대상은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기억 뿐이다. 고아에 아무에게도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그녀는 친철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터 놓는 박동우를 집착의 대상으로 삼게 되지만 어느날 밤 자신의 병실로 숙경을 초대한 박동우가 서서히 자신을 드러내기 시작하면서 숙경은 절망하게 되는데. 연출의도. 같은 자리에 앉아 있는 우리의 이웃들이 과연 어떤 콤플렉스와 망상을 가지고 있는지 상상해본다. 이런 망상과 콤플렉스는 각자를 살아가기 위해 때로는 힘이 되기도 하지만 그것이 깊어져 신념이 되면 현실을 똑바로 바라보지 못하게 한다. 지금 우리의 대화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