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김세균) 1 사회과학, 인문학, 자연과학은 어떻게 만날 것인가?: 통합적 학문 연구의 관점에서(장회익) 인간 주체성을 중심으로 하는 삶의 세계에 대한 과학을 찾아서(김광억)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 통섭 개념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삼아 (이남인) 인문학과 과학 기술의 통합 모색 : 과학기술학자의 관점에서(홍성욱) 동태적 인문으로서의 통합적 학문(김월회)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경계 넘기(오명석)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자연과학자의 입장에서(최무영)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만남 :‘해석학적 비판 과학’으로의 학문 통합을 위하여(김세균) ‘통시적 분석’과 ‘공시적 분석’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역사학의 차원에서(최갑수) 시공간 체제론과 통합 학문의 가능성: 역사학과 사회과학 사이에서(정근식) 2 육화된 욕망에 대한 과학적, 인문학적 시각(우희종) 생물학의 경계에서 철학을 만나다(장대익) 생명윤리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권복규) 복잡계 과학과 사회과학(한준) 통합적 학문 연구로서의 인지과학 : 현황과 전망(이정모 김청택) 디지털 정보 시대에서 사람들의 행동 패턴 이해(강병남) 진화심리학의 연구 현황과 전망(전중환) 정치심리학의 연구 현황과 전망(이상신) 통합적 학문 연구의 가능성과 전망 : ‘혁명 연구’를 중심으로(최갑수) 여성학의 정체성 : 독자성과 학제성 (배은경) 환경경제학에서 본 경제학의 지평(이정전) 통합적 학문 연구 관점에서 본 한국학(박태균) 진화경제학(이근 김창욱 윤민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