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발상과 사고 방법의 최강 도구인 트리즈
1.1 트리즈란 무엇인가
1.1.1 트리즈는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1.1.2 트리즈의 유래
1.1.3 다른 방법과 어떻게 다른가
1.1.4 트리즈의 일본 국내와 해외의 활용 상황
1.2 트리즈의 체계
1.2.1 트리즈의 여러 가지 도구
1.2.2 창의성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위한 요인과 인자
1.2.3 주요 창의성 개발 기법의 종류와 특징
1.2.4 트리즈의 문제 해결 사고방법
1.3 트리즈를 잘 사용하는 방법
1.3.1 트리즈의 수법별 도입 분포
1.3.2 조직에서 전개 방법
1.3.3 특허에 활용
1.3.4 각종 수법을 활용하는 경우
1.4 주요 지원 소프트웨어
1.4.1 고기능 DB 소프트웨어 GFIN 및 TOPE
1.4.2 고기능 DB 소프트웨어 IWB
1.4.3 간이 소프트웨어 Innovation Suite
1.4.4 주요 지원 소프트웨어 비교
제2장 트리즈의 기법과 활용법
2.1 트리즈의 활용 과정과 해법의 선택
2.2 문제 분석과 문제 정의
2.2.1 ‘목적 전개’와 ‘왜-왜 전개’
2.2.2 기능과 속성 분석(근본 원인 분석)
2.2.3 S-커브 분석(우선순위 붙이기)
2.2.4 9-화면법(시간 및 공간 분석)
2.3 해결책의 생성
2.3.1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
2.3.2 물질-장 분석과 76가지 표준해
2.3.3 기술 진화 트렌드
2.3.4 물리 효과(역추적 사건)
2.3.5 트리밍
2.3.6 아리즈(발명 문제 해결의 알고리즘)
2.3.7 9-화면법
2.3.8 이상해, 셀프-X, 자원
2.3.9 ‘난쟁이’의 도움으로 모델링
2.4 해결책의 평가
2.4.1 해결책 평가의 사고 방법
2.4.2 결정 분석
2.4.3 리스크 분석
제3장 USIT(쉬운 트리즈)-트리즈의 신조류
3.1 USIT의 체계
3.1.1 USIT 성립 배경과 사고 방법
3.1.2 USIT의 체계
3.1.3 USIT의 플로차트
3.1.4 32가지 USIT해결책 생성 방법
3.2 문제의 정의
3.2.1 대상, 기능, 속성
3.2.2 문제의 설정과 도해
3.2.3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 추출과 억제
3.2.4 대상군의 열거와 최소화
3.2.5 근본 원인 서술
3.2.6 필터 제거
3.2.7 문제 서술의 단순화
3.3 문제 분석
3.3.1 폐(閉)세계법에 의한 분석
3.3.2 파티클법에 의한 분석
3.4 공간 및 시간 특성 분석
3.5 해결책의 생성 방법
3.5.1 속성 차원법
3.5.2 대상 복수화법
3.5.3 기능 배치법
3.5.4 해결책의 조합법
3.5.5 해결책의 일반화법
3.6 USIT는 팀에 의한 문제 해결을 활성화한다
제4장 트리즈의 적용 사례
4.1 에나멜선의 품질 개선 (40가지 발명 원리)
4.2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 대책 (물리적 모순)
4.3 제3섹터-철도의 적자 대책 (물리적 모순)
4.4 인재 개발에 응용 (기술 진화 트렌드)
4.5 형광 램프의 흑화(黑化)대책 (물리 효과)
4.6 경영ㆍ관리 과제 (궁극적 이상해, 셀프-X, 자원)
4.7 입체 인쇄의 활자 강도 개선 (USIT)
제5장 도해 해법
5.1 40가지 발명 원리의 도해판
5.2 모순 매트릭스
5.3 기술 진화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