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나는 생물학과 어떻게 만나게 되었는가 생물 연구를 시작하다 자연에 둘러싸인 우리 영혼과 육체 생명의 시작이라는 신비 화학진화에서 원시생명체로 엄마 찾아 백억 광년 생명의 탄생 3억 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올챙이의 변태 올챙이는 서둘러 개구리가 되려 하지 않는다 ‘생명의 원점’을 생각하다 감각과 행동에 대한 연구 파리와 침식하며 곤충의 미각기관을 살피다 먹이를 식별하는 곤충의 감각모 춤파리의 현란한 구애댄스 아이다움을 잃지 않길 생물학자에게 일은 놀이의 연장 국제 너구리 학자 나는 식물의 정령, 마키노 도미타로 박사 능력의 가능성, 한계는 어디인가 놀라운 동물의 초능력 인간의 고도 지능 일단 태어나야 사람이 된다 도대체 어떻게 ‘나’ 라는 의식이 생겨나는 것일까 ‘나’라고 인식하는 뇌 2 사회와 나, 그 사이에서 그렇게까지 해서 생명에 다가서려 하는가 방랑시인 스기야마 산로쿠 가미노 류조의 조용한 투지 ‘생명’을 찾아 떠도는 방랑자 인체 해부 쇼크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던 생명탐구 여행 어떻게 하면 자연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가 누에와 졸도균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자연과의 조화를 실천하려면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끊을 사람은 누구인가? 베트남전쟁 중에 수행된 고엽작전 종군사진기자 오카무라 아키히코의 이야기 3 하나로 이어지는 생명의 실천 ‘밑으로 올라가는 삶’의 방식이란 우리는 ‘비장애인문명’을 부정한다 ‘이상적인 장애인 마을’은 어디에 스스로 낮아진 노숙자 마을의 성직자들 지식과 관념을 놓아주다 본질적인 솔직함 대자연과 협연하는 ‘즐거움’이라는 심포니 밝고 즐겁게 살아야 한다 하나로 이어지는 손쉬운 실천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자연의 혜택 지금 여기서 할 수 있는 일 눈에 보이지 않는 보물 어떻게든 유쾌하고 즐겁고 재미있게 4 지금은 새로운 여행 중 현실에서 체험적으로 하는 생명탐구 병아리 키우기와 평화로운 사회 숲을 보호하려면 그리고 새우와 장어 양식으로 큰징거미새우 양식 양식 장어 기술개발 5 내 아이의 교육환경 만들기 지역공원 만들기부터 첫발을 내딛다 동네에서 뛰어 노는 아이들의 모습을 되찾자 즐거운 마음속 공원 만들기 프로젝트 자연체험으로 아이들의 오감 개발 아이들만의 세계, 비밀기지 만들기 물가에는 어떤 생물들이 살고 있을까 간석지에서 뒹굴며 진흙놀이 아소의 자연과 농촌체험 흥미진진한 화석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