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와 글로벌정치

앤드루 헤이우드님 외 1명 · 사회과학
612p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제3판은 세계정치(World Politics), 국제정치(International Politics), 글로벌정치(Global Politics)라는 용어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시작하여 글로벌정치의 중요한 개념, 논쟁 및 문제를 다루고 있다. 비판이론에 대한 새로운 장을 마련하고, 개념 및 사례 연구에 대해 덜 유럽중심적인 접근방식을 취하였다. 급변하는 글로벌 권력투쟁에서 패권국과 실패한 국가들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러한 차원에서 국가의 정치적 정의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글로벌화의 기원부터 21세기 다극화의 귀환에 이르기까지 글로벌정치의 변화 및 발전과 함께 미래를 논의하고 있다.

저자/역자

목차

간략목차 1장 글로벌정치의 소개 2장 글로벌정치의 역사 3장 글로벌정치의 전통이론 4장 글로벌정치의 비판이론 5장 글로벌 시대의 경제 6장 글로벌 시대의 국가, 개인과 외교정책 7장 글로벌 시대의 사회 8장 글로벌 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 9장 정체성, 차이, 문화의 글로벌정치 10장 권력과 21세기 세계질서 11장 전쟁과 평화 12장 대량살상무기의 글로벌정치 13장 테러리즘 14장 인권과 인도적 개입 15장 국제법 16장 빈곤, 개발, 불평등 17장 글로벌 환경이슈 18장 글로벌정치에서 여성, 젠더, 성 19장 국제기구와 유엔 20장 글로벌거버넌스 21장 지역주의와 글로벌정치 22장 누구의 글로벌정치인가? 세부목차 도해목차 저자소개 역자소개 제3판 서문 1장 글로벌정치의 소개 ‘국제’에서 ‘글로벌’로? 국가 중심주의에서 혼합 행위자 모델과 상호의존성으로? 국내적/국제적 분열에서 초국가주의로? 국제 무정부상태에서 글로벌거버넌스로? 글로벌화와 그 함의 글로벌화의 정의와 논쟁 반글로벌화 정치 글로벌주의, 세계화 그리고 세계주의: 글로벌정치의 상상 글로벌정치를 관찰하는 렌즈 전통적 관점 비판적 관점 글로벌정치의 연속성과 변화 2장 글로벌정치의 역사 글로벌세계의 형성 최초의 인류에서 ‘문명’으로 식민주의와 자본주의의 세계 재창조 산업화와 제국주의 ‘짧은’ 20세기: 1914-90년 대중사회와 사회운동의 여명기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제국주의의 종말 냉전의 등장과 종식 1990년 이후의 세계 ‘새로운 세계질서’? 9/11: 역사의 회귀? 다극체제의 귀환 3장 글로벌정치의 전통이론 이론이란 무엇인가? 이론의 유형 이론의 구성요소 국제관계이론의 탄생과 1919년의 ‘신화’ 전통적 서술 현실주의 고전적 현실주의 국가통치술과 국가이익 무정부상태와 그 함의 극(polarity), 안정성과 세력균형 현실주의의 평가 및 수정 자유주의 상호의존적 자유주의 공화주의적 자유 현실주의/자유주의 분열의 마감?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자유주의의 평가 글로벌하게 생각하기 상호연결성의 도전 세계주의 4장 글로벌정치의 비판이론 비판으로서의 이론 비판이론에서의 ‘비판’ 비판이론과 국제관계 반식민지론, 탈식민지론, 비식민지론 탈식민지 상태 반식민주의 실천 탈식민지 세계질서의 이론화 페미니즘이론 페미니즘 국제사상의 미시사회적 근원 페미니즘과 국제관계 페미니즘 사상을 이용한 국제관계의 이론화 마르크스주의, 신마르크스주의, 탈마르크스주의이론 마르크스주의와 국제관계 마르크스주의의 종류 후기 구조주의이론 후기 구조주의와 국제관계 구성주의이론 구성주의와 국제관계 국제체제의 구성주의, 갈등, 변화 글로벌정치에서 비판이론의 미래 주요 이론 내의 긴장과 시너지 효과 새로운 위기와 새로운 불공정에 대한 새로운 비판이론? 5장 글로벌 시대의 경제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의 비전과 모델 기업자본주의 사회자본주의 국가자본주의 인종자본주의 신자유주의의 ‘승리’ 신자유주의의 함의 경제 글로벌화 경제 글로벌화의 동인 어떻게 경제생활이 글로벌화되는가? 위기의 글로벌 자본주의 부흥과 쇠퇴에 대한 설명 대폭락의 교훈 현대 위기와 ‘연쇄확산’ 아시아 금융위기 2007년의 대폭락,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침체 민족주의의 부활과 글로벌 금융위기의 장기적 영향 6장 글로벌 시대의 국가, 개인과 외교정책 국가와 국가사회 국가와 주권 국가와 글로벌화 국가전환 행동경제학과 ‘넛지(Nudge)’국가 포스트모던 국가 국가의 회귀 국가정부에서 다층거버넌스로 정부에서 거버넌스로 다층 거버넌스 외교정책 외교정책의 종식? 외교정책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7장 글로벌 시대의 사회 사회적 연결: 두터움에서 얇음으로 산업화에서 후기 산업주의로 신기술과 ‘정보사회’ 위험성, 불확실성과 안보불안 글로벌화, 소비주의와 개인 사회를 통한 글로벌 이해 글로벌화의 사회·문화적 함의 글로벌화하는 소비주의 개인주의의 등장 글로벌 시민사회 글로벌 시민사회의 의미 초국가적 사회운동과 비정부기구 아래로부터의 글로벌화 8장 글로벌 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 민족주의와 세계정치 민족주의에 대한 이해 민족국가의 세계 민족주의,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격동의 글로벌시대에 정치, 경제, 안보, 인권, 환경 등의 개발과, 위기를 맞이하는 국가와 개인 그리고 국제사회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점점 더 필요하고 시급해지고 있다. 2013년 『국제관계와 세계정치』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어 이번에 개정‧출판된 제3판은 제1판의 많은 부분이 업데이트되었다. 이번 개정판은 세계정치(World Politics), 국제정치(International Politics), 글로벌정치(Global Politics)라는 용어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시작한다. Global Politics라는 용어의 경우 예전에는 지구정치, 세계정치 등으로 번역하였으나, 지금은 ‘Global’이라는 용어를 ‘글로벌’로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들이 활발해진 만큼 이 책 역시 1판 때는 세계정치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3판부터는 글로벌정치로 사용하고 있다. 글로벌정치가 광범위한 의미와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이 책 역시 여러 주제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나아가 글로벌, 글로벌정치, 글로벌주의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번 3판에서는 비판이론에 대한 새로운 장을 마련하고, 개념 및 사례 연구에 대해 덜 유럽중심적인 접근방식을 취하면서 글로벌정치의 중요한 개념, 논쟁 및 문제를 새롭게 다루고 있다. 급변하는 글로벌 권력투쟁에서 패권국과 실패한 국가들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러한 차원에서 이 책은 국가의 정치적 정의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글로벌화의 기원부터 21세기 다극화의 귀환에 이르기까지 글로벌정치의 변화 및 발전과 함께 미래를 논의하는 이 책은 국제관계와 글로벌정치를 공부하는 학생과 연구자, 그리고 국가와 개인의 임무와 역할에 관심있는 전문가와 일반인들에게도 중요한 서적이 될 것이다. 제3판은 글로벌정치의 중요한 개념, 논쟁 및 문제를 다루고 있다. ‧ 이론은 글로벌 팬데믹 정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 우리는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의 ‘탈진실’ 세계에 살고 있는가? ‧ 국제원조는 효과가 있는가? ‧ 미국은 여전히 글로벌 패권국인가? ‧ 인류세는 무엇이며 어떻게 글로벌정치를 형성하는가? ‧ 글로벌정치는 ‘북남’ 분열의 제약을 받는가? ‧ 글로벌정치와 우주의 정치 미래는 무엇인가?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