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 5 감사의 말씀 12 서문 14 1 배경과 기본 원리 배경 20 기본 원리 23 연대 측정 가능 물질 28 범지구적 탄소 순환 30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의 기본 가정 요약 30 사망 시점의 연대와 시료의 연대폭 34 2 방사성탄소 농도 문제 대기 중 14C의 변이 38 변화 효과 48 공급원 효과 또는 저장고 효과 56 오염 64 전처리 68 3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전통적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76 가속기질량분석법 84 측정연대의 한계 91 인위적 탄소 증식 92 오차 범위 93 정확도 대 정밀도 96 고정밀도 연대측정 98 실험실 간 상호비교 99 오차 승수 100 시료의 연대폭 및 연대 편차로 인한 오차 102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 보고 103 4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 보정 보정의 필요성 108 나이테연대측정법 110 각종 보정곡선 113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의 보정 116 시료의 시간폭이 보정에 끼치는 영향 121 보정곡선과의 대비 122 방사성탄소 보정연대 보고 123 5 방사성탄소와 고고학 시료와 맥락 사이의 자명한 관계 129 ‘고목(古木)’ 문제 130 공반관계 132 지연 사용, 재사용 및 잔상 효과 134 방사성탄소 실험실과의 협력 137 시료 채집과 포장 142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의 이용 145 방사성탄소연대와 상대연대 146 측정결과의 조합 148 상이한 고고학적 사건 연대측정결과의 비교 153 측정결과의 수용 거부 155 시료 채집 전략 156 베이즈통계학과 방사성탄소연대의 해석 159 관련 문헌 165 그림 관련 참고문헌 168 찾아보기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