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만주족에 대한 문제
민족주권과 팍스 만주리카 | 만주의 법도 | 만주족인가 기인인가? | 후기중화제국의 민족성에 대한 재고찰 | 야만족과 중국인: 역사상 만주족에 대한 상반된 견해들 | 한화와 만주족 | 새로운 서술
1부 팔기사회의 구조
1장 팔기와 만주족의 기원
팔기란 무엇인가? | 만주족 기원의 신화 | 여진족은 누구인가? | 건주여진의 후예 | 권력의 기반: 팔기의 형성 | 정체성의 기반: 홍타이지 시대의 팔기와 만주국가 | 몽골팔기와 한군팔기 | 민족의 서열과 팔기 내의 지위
2장 만성: 산의 호랑이
입관 전의 주둔지 | 청 점령의 개략 | 만주족 차별주의와 북경 분할 | 지방의 만성 | 답답한 숙소 | 점령에 대한 생각 | 이중 주둔 체제―팔기와 녹영
3장 황제의 사람
팔기 관료제의 성격 | 주방 장군 | 부도통과 다른 관리들 | 민정 관리와의 관계 | 기인 구제 | 분노와 칭찬: 주접 | 팔기 행정과 만주족의 나라
2부 기인 생활의 유형
4장 철밥그릇과 팔기의 특권
위장에서 | 수렵에서 전쟁으로 | 황제의 녹을 먹는 것 | 특권층
5장 한인 속에서
만한일가 | 집안 싸움 | 민족 간 거래 | 만주족과 한인 간의 중재 | 주인과 노예 | 민족 간의 갈등과 공존
6장 외래 거주인
만주족의 샤머니즘 | 만주족의 이름과 작명 관습 | 만주족 여성의 위치 | 만주족의 분산 거주 | 고향만 한 곳은 없다 | 삶과 죽음의 문제 | 외래 거주인
3부 18세기의 위기
7장 만주족의 법도는 어디로?
문화변용과 만주족의 법도 | 풍요로운 삶을 살다 | 국어 언어를 잃어 가다 | 언어와 정체성
8장 팔기제 구하기
팔기제의 비용 | 빈곤의 길 | 팔기 안의 이급 신분 | 족보와 팔기 호구제도의 개혁 | 가변적인 정체성 | 뒤쳐진 집단: 팔기의 한인들 | 한군팔기를 희생시키다 | 팔기와 만주족
결론 만주족의 정체성과 중국 지배
만주족은 어떻게 차별성을 유지했는가? | 무엇이 중요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