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의 역설

김영평님 외 2명
296p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지난 몇 년간 정부는 규제개혁을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범정부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기업과 국민생활에 대한 정부의 지나친 간섭이 오히려 국가경쟁력을 저하시키고 국민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공익을 위한 규제가 오히려 공익을 해치는 '규제의 역설'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규제의 역설적 현상이 왜 벌어지는지 사례를 통해 유형화하여 규제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러한 역효과에도 불구하고 왜 규제는 지속되고 강화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저자들은 규제가 목표로 하는 공익을 좀더 현실적인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저자/역자

목차

발간사 서문 제1부 규제, 뜻대로 되지 않는다 1. 지켜지지 않는 규제 2. 문서로만 그친다 3. 도우려다 울리는 규제 4.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5. 규제에서는 콩 심은 데 팥도 난다 6. 규제의 숨바꼭질 제2부 규제, 왜 실패하기 쉬운가? 1. 시장을 모르면 규제도 모른다 2. 스스로 따르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 3. 규제의 원죄 : 획일성과 경직성 4. 규제로 풀지 못할 문제들 5. 규제의 집행 : 이래도 문제, 저래도 문제 6. 규제는 뒤를 보지 않는다 7. 규제는 만능이 아니다 제3부 그럼에도 왜 규제인가? 1. 정부 역할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2. '신계급'의 출현과 새로운 시장질서의 요구 3. 정부 주도 발전 전략의 귀결 4. 생산적인 국회가 규제를 늘린다 5. 규제가 규제를 낳는다 6. 규제 반대가 규제를 강화하는 역리 7. 규제에 의한 기득권과 연합 세력의 형성 8. 큰 사고를 만나면 규제가 강화된다 9. 이데올로기가 규제로 10. 단기 효과에 대한 집착 11. 규제기관이 규제 강화의 유인 제4부 시장과 자율이 질서의 근본이다 1. 규제의 참모습 : 상식과 과학 2. 규제 시스템 개선의 근본은 생각을 바꾸는 것 3. 규제를 대처할 방안도 많다 4. 시장 친화적 규제 시스템을 향하여 참고문헌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