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_ 7
머리말 _ 11
1. 텍스트언어학사의 필요성 _ 19
2. ‘텍스트’, ‘역사’, ‘텍스트언어학’ 그리고 ‘텍스트언어학적’ _ 21
2.1 ‘텍스트’·‘텍스트들’_22
2.2 H. White의 ‘역사시학’_50
2.3 텍스트언어학_52
2.4 ‘텍스트언어학적’이란 무엇인가?_55
3. 텍스트언어학 이전사 _ 59
3.1 ‘언어기능’ 또는 ‘텍스트기능’ 개념의 선구:
Platon의 ‘오르가논 모델(Organonmodell)’ _ 59
3.2 텍스트유형 분류의 이전사로서 연설의 구분 _ 64
3.3 Aristoteles의 『시학』과 텍스트언어학 _ 76
3.4 문법학과 텍스트언어학 _ 99
3.5 M. F. Quintilianus의 작문교육 _ 105
3.6 수사학과 텍스트언어학 _ 109
3.7 문체론과 제어적 원리 _ 124
3.8 텍스트언어학과 문체론 _ 129
3.9 G. C. Longinus의 숭고미 이론 _ 148
4. 텍스트언어학의 태동 _ 157
4.1 텍스트언어학의 선구자로서 W. v. Humboldt _ 157
4.2 F. de Saussure(1915/1967)와 텍스트언어학 _180
4.3 I. Nye의 문장연결(Satzverbindung) _ 189
4.4 K. B?ler의 언어기능(Sprachfunktion)과 직시(Deixis) _ 195
4.5 L. Hjelmslev의 『랑가쥬 이론 서설』 _ 216
4.6 K. L. Pike의 문법소론(Tagmemik) _ 220
4.7 Z. S. Harris의 ‘대화 분석(Discourse Analysis)’ _ 232
4.8 W. Porzig의 ‘본질적 의미 관련(wesenhafte Bedeutungsbeziehungen)’과 ‘레데(Rede)’ 개념 _ 234
4.9 H. Brinkmann의 텍스트중심 품사론 _ 250
부설: H. Brinkmann: ‘지평(Horizont)’ - 언어적 ‘지식체계(Kenntnissystem)’인가? _ 276
5. 텍스트언어학과 주변학문 _ 307
5.1 S. Freud의 ‘실수 행위들(Fehlleistungen)’에서 텍스트언어학적 흔적들 _ 307
5.2 V. Y. Propp의 『민담 형태론(Morphology of Folktale)』 _ 316
5.3 M. Bachtin과 텍스트언어학 _ 329
5.4 논증 텍스트 분석의 출발점: S. Toulmin의 논증구조 _ 354
5.5 H.-G. Gadamer의 변증법적 또는 해석학적 텍스트언어학 _ 374
6. 텍스트언어학의 전개 _ 380
6.1 P. Hartmann 의 “첫 번째 언어기호로서의 텍스트 _ 380
6.2 R. Jakobson의 확장된 언어기능과 ‘반복’ _ 388
6.3 A. V. Issatschenko의 생략과 대명사화(Pronominalisierung) _ 399
6.4 H. Weinrich의 『거짓말의 언어학』과 사용의미(Meinung) _ 403
6.5 체계중심 텍스트언어학의 선구로서 R. Harweg의
『대명사와 텍스트구성(Pronomina und Textkonstitution)』 _ 410
7. ‘텍스트성’의 역사 _ 421
I. 서론 _ 423
II. 본론 _ 424
III. 결론 _ 439
8. 텍스트문법 _ 441
8.1 코헤지온 _ 443
9. 텍스트의미론 _ 465
9.1 텍스트코헤렌쯔 _ 465
9.2 B. Sowinski의 텍스트구성과 의미적 코헤렌쯔 _ 472
9.3 동위소(Isotopie) _ 474
9.4 E. Coseriu의 어휘 연대 _ 484
10. 텍스트테마 _ 487
10.1 테마전개 _ 488
10.2 테마 전개유형 _ 490
11. 텍스트화용론 _ 499
11.1 J. Frese의 언어행위이론 _ 502
11.2 G. Ungeheuer의 언어적 의사소통 _ 504
11.3 W. Motsch/D. Viehweger(1981)의 ‘화용적 연결’ _ 505
12. 텍스트언어학의 체제 구축과정 _ 515
12.1 W. Dressler의 『텍스트언어학 개론』 _ 515
12.2 H. Isenberg와 S. J. Schmidt의 ‘텍스트 이론(Texttheorie)’ _ 521
12.3 T. A. v. Dijk (1980) _ 527
12.4 E. Coseriu (1981) _ 544
12.5 R.-A. de Beaugrande/W. Dressler (1981) _ 547
12.6 B. Sowinski (1983) _ 573
12.7 K. Brinker (1985) _ 581
12.8 W. Heinemann/D. Viehweger (1991) _ 589
12.9 H. Vater (1992) _ 593
13. 텍스트언어학의 미래 _ 601
참고문헌 _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