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재무제표 보는 법 Chapter 1. 손익계산서 보는 법 - 회사의 기초체력을 확인한다 01. 이런 사람들에게 재무제표분석이 필요하다 02. 재무제표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03. 손익계산서는 이렇게 구성된다 04 손익계산서를 보면 알 수 있는 정보 05. 영업수익과 영업외수익의 차이점 06. 영업비용과 영업외비용의 차이점 07. 손익계산서의 핵심 체크포인트 Chapter 2. 재무상태표 보는 법 - 회사의 덩치와 체성분(근육·지방량)을 체크한다 08. 재무상태표는 이렇게 구성된다. 09. 재무상태표를 보면 알 수 있는 정보 10. 부채와 자본을 더한 것이 총자본이다 11. 총자산(체격)보다 순자산(근육량)이 중요하다 12. 자본속에 자본금이 들어있다 13.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의 차이점 14. 자본잠식은 기업부실의 끝판왕이다 15. 무상증자는 호재이지만 유상증자와 무상감자는 악재인 이유 16. 재무상태표의 핵심 체크포인트 Chapter 3. 현금흐름표와 자본변동표 보는 법 - 혈액순환이 원활한지와 순자산이 변동한 이유를 점검한다 17. 현금흐름표의 핵심 체크포인트 18. 자본변동표의 핵심 체크포인트 제2부 재무비율을 이용한 기업진단법 Chapter 4. 재무안정성 진단법 - 빚 갚을 능력이 있는 안전한 회사인가? 19. 재무비율분석을 통해 숫자의 불균형을 체크한다 20. 표준비율보다는 업종평균비율과 비교하거나 추세를 봐야 한다 21. 단기부채의 상환능력을 보여주는 3대 지표 22. 부채비율보다 차입금의존도가 더 중요한 이유는? 23. 이자보상비율을 결정하는 4대 변수에 주목해야 한다 24. 자기자본비율은 너무 높아도 탈이고 너무 낮아도 탈이다 25. 유동비율을 뒤집어 보면 비유동장기적합률이 나온다 Chapter 5. 활동성 진단법 - 사업자본(자산)을 놀리지 않고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가? 26. 자본효율성이 높아야 자본수익성이 확보된다 27. 총자산 중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적정비중은 어느 정도인가? 28. 재고자산의 판매속도가 느려지면 안되는 이유 29. 매출채권의 회수속도가 느려지면 자금이 고갈된다 Chapter 6. 수익성 진단법 - 매출과 투자된 자본에 비해 충분한 이익성과를 내고 있는가? 30. 수익성은 상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31. 수익성으로 판정하는 우량기업의 기준은? 32. 투하자본수익률(ROIC)은 총자산순이익률(ROA)을 수정한 것이다 33. 주주에게는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이 높은 회사가 최고다 34. ROA를 결정하는 두 가지 변수를 파악하라 35.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의 결정변수를 알면 투자할 기업이 보인다 36. 매출수익성이 좋은데도 자본수익성이 낮은 이유는? 37. 당기순이익보다 주당이익(EPS)이 더 중요하다 Chapter 7. 성장성 및 생산성 진단법 - 앞으로도 쑥쑥 커나갈 회사이며 부가가치는 충분히 나오는가? 38. 매출이 우상향해야만 하는 이유가 있다 39. 총자본(총자산)증가율보다 매출액증가율이 더 낮으면 생기는 일 40. 생산성이 높은 회사와 낮은 회사의 차이 제3부 현금흐름분석과 기업가치평가법 Chapter 8. 현금흐름 분석법 - 회사가 돈을 어떻게 조달해서 어디에 쓰는가? 41. 당기순이익과 현금흐름이 서로 맞지 않는 이유는? 42. 흑자기업이 부도나고 파산하는 이유 43.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창출이 제일 중요하다 44. 영업현금흐름으로 회사의 수익성과 안정성을 따져보자 45. 투자활동과 재무활동현금흐름의 체크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