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사이더 하우스>의 원작 소설
존 어빙의 여섯번째 장편소설 『사이더 하우스』는 라쎄 할스트롬이 감독을 맡고 마이클 케인, 토비 맥과이어, 샤를리즈 테론이 주연을 맡은 영화 <사이더 하우스>의 원작 소설이다. 영화는 두 시간이 넘는 만만치 않은 분량인 데다 비록 흥행몰이는 하지 못했지만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1, 2권 도합 10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의 원작을 담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저 호머 웰즈라는 한 청년의 사랑과 성장기로 읽히는 영화가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 것은, 낙태금지법이 발효되던 당시 미국에서 원치 않는 아이를 가진 여성과 버려진 아기들을 구제하는 사명을 지닌 한 의사의 고집스런 삶이며, 더 깊게는 삶의 ‘룰(규칙)’에 대한 진지한 질문이다. 원제 ‘The Cider House Rules(사이더 하우스 룰스)’, 즉 ‘사과농장의 규칙’의 깊은 뜻이 여기에 있다.
‘규칙과 삶’에 관한 소설, 『사이더 하우스』
이 책에서 ‘사과농장의 규칙’은 일반적인 삶의 규칙을 말한다. ‘낙태금지법’처럼 우리 삶을 결정적으로 구속하는 큰 법률에서부터, 공장 지붕에 올라가지 말라는 단순한 작업상의 규칙, 그리고 자동차극장에서는 영화보다는 연인과의 데이트에 열중해야 한다는 연인들의 데이트 규칙에 이르기까지, 삶의 무수한 순간들을 지배하는 무수한 규칙들. 그게 하필 ‘사과농장’인 이유는 이 소설에서 ‘사과농장’은 ‘바깥세상’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세인트 클라우즈 고아원에서 나고 자란 호머 웰즈와, 이 병원에서 청춘을 바쳐 일한 닥터 라치에게 세인트 클라우즈 이외의 세상은 다 ‘바깥세상’이다. 청년기를 문턱에 두고 있는 호머는 우연한 기회에 고아원에서 벗어나 오션 뷰 사과농장으로 가서 살게 된다. 거기서 그는 ‘바깥세상의 규칙들’을 배우고 이 규칙들이 삶을 돕거나 삶을 방해하는 것을 배우며 인생살이를 깨치게 된다.
‘규칙’에 관한 이야기. 언뜻 보면 이처럼 딱딱한 주제를 가지고 이만큼 감동어린 작품을 쓴 것은 거장이 아니고서는 할 수 없는 일이다. 분명한 주제의식과 탄탄한 스토리, 독자를 울고 웃기는 감동을 제조해내는 솜씨, 수많은 인물들 각자에게 전혀 다른 개성을 부여하여 엑스트라 1인이라도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그 재주 역시 거장이 아니고서는 할 수 없는 일이다. 존 어빙 스스로가 “나는 이야기를 짓는 목수이다”라고 선언한 것은 무릎을 칠 만큼 정확한 표현이다. 섬세한 톱질과 대패질, 정확한 측정, 빈틈없는 끼워맞춤으로 크고도 복잡하여 만들기 까다로운 장 하나를 훌륭히 만들어냈다는 느낌이 드는 이 소설은, 인간애 가득한 정통 서사를 갈구했던 독자들에게 훌륭한 선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