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 현대시를 읽는 한 방법 알레고리, 멜랑콜리, 숭고, 주이상스―하나의 이론적 시론(試論) 아방가르드와 숭고의 시적 실천―대중문화 시대의 한국 전위 시 공포와 환상의 시적 계보―숭고 및 주이상스와의 연관성 제2부 알레고리와 멜랑콜리 시적 풍자와 혼재향의 시간 구조―이창기의 시 불가능성의 사랑, 묵시록적 비전, 기억의 변증법―허수경 시의 구조화 원리 두 층위의 세 겹 알레고리―이연주 시의 문화 의사적 위상학 멜랑콜리, 영혼, 근육의 시―심보선 시의 미학적 특이성과 시사적 위상 메트로폴리탄의 시적 기억술―신용목의 시 모성과의 길항, 다중적 알레고리―김이듬 시의 의식과 기법 알레고리, 실재와 시뮬라크르의 간극―황성희 시의 방법론과 주제 제3부 숭고와 주이상스 숭고의 시학―김명인 시의 미학 1 숭고의 두 차원―김명인 시의 미학 2 죽음의 존재론―김혜순의 시 반추와 예언의 순환적 나선 운동―최승자 시의 구조화 원리 이질 혼재성과 불협화음의 어법―김민정 시의 미학적 특이성 주이상스와 윤리, 시적 질문의 두 차원―김안 시의 원리와 특이성 천사, 더러운 사랑, 물.불과 거울―정한아 시의 풍크툼 제4부 상징과 미 세계에 대한 연민과 시간의 중층적 구조―이건청 시의 풍크툼 시간, 소리, 풍경―김광규 시의 구조화 원리와 지향성 극서정시의 미학적 원리―최동호의 후기 시 지독한 패러독스―원구식 시의 미학적 원리 꿈 이야기와 복화술―최정례 시의 형식과 방법 체험의 강도와 실험의 밀도―성윤석의 시 상징과 유비의 연금술―이혜미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