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졸병이 겪은 한국전쟁

이무호
324p
content
Rate

지은이는 6.25가 터지기 일주일 전, 임진강을 넘어 남한에 안착한 다음 본의 아니게 간첩으로 내몰려 갖은 고초를 당한다. 전장의 최전방에서 인민군, 의용군, 중공군, 친북부역자를 죽이는 등 졸병으로 겪을 수 있는 갖은 비참한 전투원의 고초를 겪었고, 휴전시에는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폭동을 경험하기도 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끝까지 양떼를 지키는 목자 제2장 월남 제3장 6·25가 터지다 제4장 국방군 입대 제5장 패잔병 토벌작전 제6장 패잔병에게 쫓기는 춘천수비대 제7장 제2사간 32연대에 편입 제8장 삼팔선을 넘는 중공군 제9장 무질서한 퇴각 행렬 제10장 적지 농가에서 은신생활 21개월 제12장 거제도 포로수용소 제13장 실망스런 대한민국 사회상 제14장 명예제대 후기

Description

이무호의《어느 졸병이 겪은 한국전쟁》은 ‘경험은 기록으로 남아야 문화를 이루고 역사로 남는다’ 뜻에서 벌이는 나라 안팎 한국인 기록문화상 회상기 갈래 당선작 가운데 하나이다. 지은이는 6?25가 터지기 일주일 전, 임진강을 넘어 남한에 안착한 다음 본의 아니게 ‘간첩’으로 내몰려 갖은 고초를 당하게 된다. 전장의 최전방에서 인민군, 의용군, 중공군, 친북부역자를 죽이는 등 졸병으로 겪을 수 있는 갖은 비참한 전투원의 고초를 겪다가 전쟁 첫 해 겨울, 그만 발이 동상에 걸려 수용소로 이송된 뒤에 발 절단 수술을 받는다. 그 뒤로 휴전할 때까지 여러 수용소와 병원을 전전하면서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을 경험한다. 전쟁은 한 가지 빛깔만 띠는 게 아니라 갖은 공간과 시간에 따라 여러 빛을 내뿜는다. 그는 ‘전쟁’이라는 구조 안에서 한 개인의 ‘선택’과 ‘판단’의 폭이 얼마나 좁은 것인지를, 그리고 그 좁은 선택지 가운데서 하나를 고르도록 내모는 상황 자체가 얼마나 ‘비인간적인지’를 담담하게 증언하고 있다. 그의 증언은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군 지휘관이나 장교들이 겪은 그것들과는 성격이나 양상에서 전혀 다르다. 부대를 지휘하거나 명령하는 처지가 아니라, 그들의 명령을 받들고 목숨 걸고 싸워야 했던 말단 졸병의 시각에서 서술한 점이 특이하다.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회고록이 대체로 지휘관과 특정부대의 업적을 과대평가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 이무호의 이 ‘참전’ 수기는 ‘전쟁’이라는 구조와 현실 속에서 벌어지는 냉랭한 일화들에 더욱 충실하려고 애쓴다. ‘전쟁의 속살’은 과연 어떤 빛깔일까? 이 책은 ‘졸병’의 시선을 통해서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