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록으로 본 이낙연

이제이 · Self-Development/Essay/Social Science
304p
Where to buy
content
Rate
2.3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문재인 정부의 초대 총리를 지낸 이낙연 전 총리의 삶과 그가 지켜온 정치적 소신과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당사자인 이낙연 전 총리가 결정적인 장면마다 남긴 주옥같은 '어록'을 중심으로 담고 있다.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역대 최장수 기록이었다는 이 전 총리의 재임 기간 내내 연설비서관으로 일하며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그를 보좌해 온 이제이가 보편적 인간으로서의 이낙연의 모습과 양심과 원칙을 지키며 살아온 정치 지도자로서의 이낙연의 본색을 밀도 있는 언어로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추천사 이낙연 표 ‘황홀한 감옥’’ 이기명 책머리에 빙의憑依의 시간을 마치고 1 총리의 탄생 _ “사람 먼저” 사이다 총리의 등장 “좀 더 공정한 채널을 보고 있습니다”/민심을 달랜 사투리 대화 “이렇게 합시다요잉~”/몸을 낮춰 국민 속으로 “공직자에겐 설명의 의무가 있습니다”/세월호 유족과 나눈 위로 “고통은 비교하면 안 됩니다”/국민을 울린 총리의 호소문 “타인의 삶을 상상해보세요” 2 먼 길을 떠나며 고향 그리고 부모님 “부모의 뒷모습을 보며 아이들은 자랍니다”/초가지붕 아래 7남매 “팥죽처럼 달콤하고, 따뜻하고”/광주 유학 시절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선생님입니다”/정의와 부끄러움 사이에서 “내 몫으로 한 방울의 피도 남기지 않겠다”/시골출신 법대생의 서울 살이 “남루한 청춘에 꽃이 피었습니다”/이 기자의 치열한 취재기 “논평은 자유다. 그러나 사실은 신성하다” 3 새로운 인연 연애와 결혼 “상대가 50세에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 보세요”/선택의 갈림길에서 “국회의원보다 특파원이 더 하고 싶었습니다”/김대중 대통령과의 만남 “그분의 명복을 빌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국회에서 마이크 잡다 “지름길을 모르거든 큰길로 가라”/노무현 대통령과의 만남 “당신을 사랑하는 못난 이낙연”/문재인 대통령과의 만남 “모두 함께 용광로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4 현장, 더 낮게 더 멀리 르포국감에 도전 “정책은 현장에서 나옵니다”/정책의 사각지대로 “민생의 눈물을 잊어선 안 됩니다”/최초의 상시국감 “혼자라도 해보고 싶었고, 해보니 가능했습니다”/농업의 난제 풀기 “역사 앞에 큰 죄를 지을 수 있어”/도지사의 현장 바꾸기 “가까이 듣고 멀리 보겠습니다”/안전 총리의 24시 “상상 가능한 모든 경우에 대비해야”/이낙연 외교법 “축구만 빼고 모두 같이하고 싶어” 5 국민과 ‘통’하는 길 사회적 감수성 “국민의 아픔이 내 아픔으로 느껴져야”/이낙연식 이름 부르기 “풀꽃에도 고운 이름이 있습니다”/SNS와 목욕론 “목욕처럼 남에게 맡길 수 없지요”/이낙연식 아재 개그 “제가 허드렛물입니다”/막걸리 소통 “내가 마신 건 사이다가 아닌 막걸리”/명과 암을 살피는 균형감 “낙관하지는 않지만 지레 비관하지도 않는” 6 이낙연이 사는 법 이 총리의 작업복 고르기 “멋 부리지 마세요”/수첩은 현실과 이상의 균형추 “메모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깐깐함이 매력 “잔소리가 아니라 큰 소리입니다”/몸치 이낙연의 유연성 “저 닫힌 사람이 아닙니다”언제나 직진 “심지 있는 사람을 좋아합니다”/이낙연식 발효 미학 “막걸리도 인연도 발효가 필요하다” 7 큰길로 나아가다 동서, 남북의 상생 “10년을 내다보고 씨앗을 심습니다”/충무공이 알려준 여민與民 “지도자와 백성이 친하면 은혜로 돌아온다”/역사의 아픔을 안고 “광주는 광주다웠습니다”/이타심의 DNA “세상을 향한 3인칭 사랑이 있어”/책임 총리의 시작과 끝 “‘총’자는 ‘모두’를 뜻해”/미래를 준비하는 총리의 서재 “마십니다. 잡니다. 읽습니다”/이낙연의 길 찾기 “산길 어딘가에는 반드시 길이 있다” 글을 마치며 책임감 있는 만남이 되어야 한다

Description

빈농의 아들에서 4선 국회의원, 도지사, 촛불 정부 초대 총리, 유력한 대선 후보에까지 이른 이낙연은 과연 누구인가. 연설비서관이 그려낸, 역대 최장수 총리, 차기 대선 지지율 1위 이낙연의 입체적인 모습 이 책은 문재인 정부의 초대 총리를 지내면서 강력하면서도 포용력 있는 리더십을 선보여 많은 국민의 사랑과 지지를 받고 있는 이낙연 전 총리의 삶과 그가 지켜온 정치적 소신과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당사자인 이낙연 전 총리가 결정적인 장면마다 남긴 주옥같은 ‘어록’을 중심으로 담고 있다.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역대 최장수 기록이었다는 이 전 총리의 재임 기간 내내 연설비서관으로 일하며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그를 보좌해 온 이제이 씨가 보편적 인간으로서의 이낙연의 모습과 양심과 원칙을 지키며 살아온 정치 지도자로서의 이낙연의 본색을 밀도 있는 언어로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TV의 보도 채널을 통해 보여지던 총리의 모습이 아니라 꾸밈이 없는 인간 이낙연의 입체적인 모습을 궁금해 했던 독자라면 이 책은, 그 욕구를 상당 부분 충족시켜주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이낙연 전 총리는 현재 2년 정도 앞두고 있는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 투표에서 부동의 1위를 점하고 있을 정도로 전 국민적인 기대를 받고 있는 중량감 있는 정치인이다. 총리직을 마치고 정치 일선으로 복귀한 뒤에도 집권여당의 중요한 리더로서 수많은 정치 현안과 정책들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이 책은 호남이라는 출신 지역의 국회의원과 광역단체장을 역임하며 로컬 리더의 이미지로 존재하던 그가 어떻게 막중한 사명을 띤 문재인 정부의 초대 총리에 중용되어 중앙 정치의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후 성공적인 총리직 수행을 통해 국민적인 지지를 받으며 자신의 정치력과 리더십을 실현할 수 있었는지, 그 배경과 맥락을 설명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이 전 총리의 삶의 총체적인 내력과 연혁, 관련 인물과 주변 지인을 샅샅이 탐색하고 취재하는 데 주력한다. 저자는 책의 서문에서 먼저 이낙연 전 총리의 연설비서관으로서 자신이 경험한 시간을 이 총리에게 빙의憑依되는 시간이었다고 인상적으로 회고한다. “연설비서관은 모시는 상사의 생각과 스타일에 ‘빙의憑依’해야 한다. 연극무대에 오르는 배우가 아닌 다음에야 이 빙의란 고역이다. 빙의에 성공하기 위해 나는 연설을 녹음해서 영어 청취를 훈련하듯 매일 듣고 다녔다. (중략) 이낙연의 인생을 탐구하는 일에도 나섰다. 어릴 때부터 어떻게 살았는지 부모님은 어떤 분인지, 누구와 친하며, 어떤 활동을 해왔는지 인생 경로를 따져 나갔다. 평소에 보고하는 시간을 틈타 사소한 행동도 주의 깊게 관찰했고,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집중적으로 탐구했다. (중략) 연설비서관은 이낙연 전문가가 되는 과정이었다. 어느덧 나의 글은 이낙연의 글이 되고 있었고 이낙연의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