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잔동 일기

김익한 and 2 others · Essay/Humanities
422p
Where to buy
content
Rate
3.8
Average Rating
(3)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에 머무르면서 피해자의 삶과 마음을 채록해 온 인류학자 이현정과 4.16기억저장소를 설립한 기록학자 김익한이 일기 형식으로 엮은 생생한 4.16 참사의 기록. 섬세하면서도 때로는 단호한 저자들의 글은 유가족들을 비롯한 피해자들에게 건네는 위로로 한정되지 않는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인류학자와 기록학자의 세월호 일기 1부 참사 그리고 특별법을 향한 투쟁 (2014. 4. ~ 2014. 11.) 2014년 4월 24일 ㅣ 수업 시간에 학생들과 리본 나눔 2014년 4월 28일 ㅣ 기록 회의 2014년 4월 29일 ㅣ 비정규직 선장의 무책임 2014년 5월 1일 ㅣ 기억하겠습니다, 애쓰겠습니다, 약속합니다 2014년 5월 2일 ㅣ 성실한 수업 2014년 5월 2일 ㅣ 안산트라우마센터 첫 방문, 숫자화된 희생자들 2014년 5월 9일 ㅣ 시민단체와 첫 만남 2014년 5월 11일 ㅣ 한 어머니의 자살 기도 2014년 5월 13일 ㅣ 진도행 2014년 5월 16일 ㅣ 정부 합동분향소 천막 2014년 5월 17일 ㅣ 시민아카이브의 희망 2014년 5월 19일 ㅣ 박근혜 국민 담화 2014년 5월 25일 ㅣ 두 남자의 슬픈 우정 2014년 5월 28일 ㅣ 학자의 길 2014년 6월 5일 ㅣ 6.4 지방선거의 참담한 결과 2014년 6월 9일 ㅣ 프란치스코회관 모임 2014년 6월 10일 ㅣ 안산, 그 ‘검은 기운’ 2014년 6월 15일 ㅣ 참사 이후 심리지원 유감 2014년 6월 26일 ㅣ 단원고 특별위원회 그리고 화랑부동산 2014년 6월 29일 ㅣ 장관의 저 걸음걸이는 가짜다 2014년 7월 1일 ㅣ 피해자 심리지원에 대한 자문 간담회 2014년 7월 12일 ㅣ 화성휴게소 세월호특별법 제정 서명운동 2014년 7월 14일 ㅣ 세월호특별법 위기 2014년 7월 23일 ㅣ 국회 농성장 2014년 7월 24일 ㅣ 세월호특별법 제정 촉구 100일 시청 앞 행진 2014년 7월 25일 ㅣ 세월호 추모 인류학 간담회 2014년 8월 7일 ㅣ 오랜만에 진도에서 2014년 8월 10일 ㅣ 반별 모임과 농성 공동체 2018년 8월 12일 ㅣ 단식보다 소음이 더 힘들다 2014년 8월 15일 ㅣ 교육청의 선박 여행 권고 2014년 8월 16일 ㅣ 유민 아빠 2014년 8월 17일 ㅣ 단식을 풀었다 2014년 8월 21일 ㅣ 기억저장소 개소 2014년 9월 17일 ㅣ 세 가지 비판 2014년 9월 20일 ㅣ 온마음센터 의료전문가들이 믿는 ‘사실’ 2014년 9월 21일 ㅣ ‘대리기사 폭행’ 사건에 대한 유가족협의회 대응 2014년 10월 17일 ㅣ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발표 2014년 11월 5일 ㅣ청운동 철수, “대통령에게 미련 버렸다” 2부 끝없는 공격 (2014. 11. ~ 2015. 7.) 2014년 11월 7일 ㅣ세월호 3법 국회 본회의 통과 2014년 11월 11일 ㅣ심리치유센터 이웃, 정혜신 박사를 만나다 2014년 12월 9일 ㅣ예지 생일잔치가 가르쳐 준 것 2014년 12월 31일 ㅣ4.16 기억저장소의 진화 2015년 1월 9일 ㅣ보상지원특별법 유감 2015년 1월 16일 ㅣ추모관이 된 교실 2015년 2월 14일 ㅣ팽목에 도착한 도보 행진단 2015년 4월 1일 ㅣ배·보상 문자 공격 2015년 4월 2일 ㅣ칼을 들이댄 자들 2015년 4월 3일 ㅣ아이들의 방 2015년 4월 4일 ㅣ영정을 들고 행진한 부모들 2015년 4월 7일 ㅣ세월호 1주기 신문기고 2015년 4월 11일 ㅣ ‘기억함’을 매달며 2015년 4월 14일 ㅣ서울대 세월호 1주기 추모문화제 2015년 4월 17일 ㅣ어제, 세월호 참사 1주기 2015년 4월 18일 ㅣ물대포 2015년 4월 27일 ㅣ세월호 엄마는 담배 피우면 안 되나 2015년 5월 7일 ㅣ사회과학대 심포지엄 2015년 5월 10일 ㅣ고잔동, 하늘땅별 텃밭작업 2015년 5월 26일 ㅣ네버엔딩 스토리 0416 2015년 5월 27일 ㅣ찰흙으로 만든 지붕 없는 집 2015년 6월 2일 ㅣ구술팀 발족 2015년 6월 12일 ㅣ김지영 감독 2015년 6월 22일 ㅣ유가족 엄마들의 책읽기 모임 2015년 6월 23일 ㅣ김 교수의 폭탄 발언 2015년 6월 24일 ㅣ기억저장소 실무 개입 중단 2015년 6월 30일 ㅣ돈 없이는 아무래도 어렵다는 연구자들 2015년 7월 2일 ㅣ기억저장소 운영회의 2015년 7월 3일 ㅣ지성 아빠, “이것은 학살입니다” 2015년 7월 6일 ㅣ유네스코 기록문화유산 등재 2015년 7월 7일 ㅣ전시관 ‘밥식구’ 2015년 7월 7일 ㅣ마지막 화요일의 인수인계 2015년 7월 9일 ㅣ전교조와 기억 모으기 회의 2015년 7월 12일 ㅣ기억과 약속의 길에 참여하다 2015년 7월 16일 ㅣ결국 미국행 비행기를 타다 3부 진상규명은 가능할까 (2015. 7. ~ 2016. 9.) 2015년 7월 17일 ㅣ안종철 박사 2015년 7월 24일 ㅣ이재정 교육감의 사람들 2015년 7월 31일 ㅣ어떻게 기억해야 할까? 2015년 8월 27일 ㅣ단원고 특별위원회 회의 2015년 8월 28일 ㅣ단원고 교실 문건에 관한 의견 2015년 9월 1일 ㅣ동거차도 2015년 9월 4일 ㅣ유경근 집행위원장의 눈물 2015년 9월 16일 ㅣ아이들의 ‘빛’과 ‘자유’를 생각하다 2015년 9월 18일 ㅣ전문가들의 영역 싸움 2015년 9월 19일 ㅣ단원고 특별위원회 회의 종결 2015년 9월 23일 ㅣ설명회? 인간의 얼굴이 아니다 <

Description

2021년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사업 선정작품 4.16 세월호 참사는 끝나지 않았다 마침표가 아닌 진행형인 세월호 참사 이 책은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에 머무르면서 피해자의 삶과 마음을 채록해 온 인류학자 이현정과 4.16기억저장소를 설립한 기록학자 김익한의 공저이다. 일기 형식으로 엮은 생생한 4.16 참사의 기록을 통해 독자들은 깨진 유리 조각 위를 걷는 듯한 아픔과 국가 공동체로부터 외면받은 자들의 상실감을 저자들과 함께 하게 될 것이다. 섬세하면서도 때로는 단호한 저자들의 글은 유가족들을 비롯한 피해자들에게 건네는 위로로 한정되지 않는다. ‘세월호 참사’는 삶의 경험에서 우연히 만나는 ‘사고’가 아니다. ‘사고’가 아닌 ‘사건’이자, ‘참사’임을 독자들은 저자들의 글을 통해 다시 한번 자각하게 될 것이다. 세월호 참사를 향한 두 사람의 시선은 참사의 시작부터 일관된다. 진상규명을 밝히지 못하는 국가·사회 안팎의 구조적인 모순에 대한 경계심과 일침,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모두가 나아가야 할 방향, 국가 공동체 안에서 외면받은 국민 개개인의 시선이다. 이 시선 안에서 독자들은 학자의 고뇌는 물론, 공동체로부터 상처 입은 개인의 아픔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두 사람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누구라도 세월호 참사를 기억해야 하는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마를 틈 없이 차오르는 아픔을 꾹꾹 눌러 가며 쓴 저자들의 기록들을 통해 독자들은 세월호 참사가 마침표가 아닌 진행형임을 자각하리라 기대한다. 참사의 순간부터 함께 한 이 오랜 기록들을 따라가다 보면 참사의 아픔과 다시 만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과 함께 다시 돋아날 아픔이야말로 모순처럼, 참사로 인한 상실감과 무력無力함을 극복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