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힌두교의 정수 베단따 사상
베단따, 자기초극의 서사시/존재의 습관 버리기/참된 자아를 찾아가는 여정/'베단따'라는 말이 가리키는 것/베단따는 만들어진 전통일까?/힌두교를 대변하는 영혼학/현재에도 살아 있는 전통
2. 베단따와 전통 계승의 역사
인도는 버전들의 천국/우빠니샤드와 베단따의 기원/샹까라 이전의 베단따/샹까라와 그 이후의 베단따/근현대의 베단따/집단지성이 만든 전통/전통적인 접근법이 필요할까?
3. 세속적 삶에 대한 탈속적 삶의 우위
개별성을 버리는 사유/베다의 이상으로 회귀하기/미맘사의 연장으로서 베단따/미맘사를 비판하는 베단따/연속적 계승이라는 관점/조용한 혁신과 인문정신
4. 신성한 우빠니샤드의 가르침
인간 이성에 대한 불신/'우빠니샤드'라는 이름의 계시/지식을 낳는 우빠니샤드의 말/해석을 통해 권위 확립하기/재해석된 범아일여와 그 의미/주어진 것과 받아들이는 것/인도적인 합리성
5. 참으로 존재하는 참된 나
인간을 격상시키는 사유/브라흐만에 대한 정의/'참된 나'로서 아뜨만이란?/순수의식과 관찰자/본질이 동일하다는 말의 뜻/베단따의 단순한 진리/자력구원과 인도식 인본주의
6. 유신론을 껴안는 무신론
이분법적 사고 넘어서기/만신전에 자리 잡은 무신론/낮은 브라흐만과 신/창조는 무지의 산물일까?/인과관계를 넘는 도약/신이 필요한 이유/경계를 짓지 않는 사유
7. 가상현실과 유사한 이 세계
현실과 가상현실/힌두교에 익숙한 환술과 환영/베단따의 환술 이론/가상과 관련되는 용어들/풍성한 가상 담론/태도 변경을 위한 이벤트/소멸하는 것들을 위한 헌시
8. 삶의 무의미에 대한 직시
베단따의 엄숙주의/시각 교정의 중요성/의미화한 것의 무의미화/업 만들지 않기란?/무의미를 직시하는 가상 유희/연기는 하되 배역에 빠지지 않기/거리를 두는 삶
9. 세상 모든 것을 아는 하나의 지식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베단따의 지식 중심주의/혼동 너머의 분별/간접적 지식과 직접적 지식/지식을 전하는 방법들/지식을 얻기 위한 수단들/체험하는 앎이 진정한 앎/모름에 대한 어떤 전망
10. 자기탐구를 통한 자기치유
'나는 누구인가?'라는 호기심/자기탐구란 어떤 것인가?/자기탐구의 조건들/인과의 방법론과 5덮개의 방법론/3상태의 방법론/현실 가능한 서사/고통을 덜어내는 자기치유
11. 듣기, 숙고하기, 명상하기의 실천
세부적인 것을 버리는 수행법/'문사수'라는 이론 또는 실천/듣기, 숙고하기, 명상하기란 무엇일까?/듣기냐 명상하기냐/계시와 이성과 체험의 상승작용/자신의 삶을 다시 쓰기
12.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기
죽음이라는 문제/우빠니샤드의 사후세계/죽음이란 무엇인가?/두려움이 없는 브라흐만의 승리/죽음의 죽음으로서 해탈/경계를 떠도는 진리유랑자/죽은 듯이 살아가기
13. 지금 여기의 생생한 깨우침
베단따의 지금 여기/인간의 지고한 목표/해탈이란 무엇인가?/자기 본래성의 회복/해탈 이후에는?/인간의 자립성에 대한 찬양/유랑의 끝과 정착
14. 베단따와 함께 성장한 다른 전통들
타자와의 만남과 성장/영원한 큰집, 미맘사/멀고도 가까운 이웃, 상크야와 요가/남 같은 이복형제, 유신론적 베단따/잃어버린 한쪽 날개, 딴뜨라 사상/만난 적이 있는 평행선, 불교/불교와 베단따의 유사성과 차이성/사유의 연결망 속 베단따
15. 인도의 힘 베단따의 힘
영혼의 방전과 충전/삶의 무의미 깨우치기/자립적인 존재로 탈바꿈하기/정신적 미니멀리즘/베단따의 빛과 어둠/베단따의 보이지 않는 힘/인류의 베단따로 남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