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오구라 기조
27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8(71)
Rate
3.8
Average Rating
(71)
현대 한국 사회를 성리학의 핵심개념인 ‘리’와 ‘기’로 해부한 독창적인 한국론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를 세밀하게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절반은 한국에 몸담고 있으면서 절반은 한국 밖에 나와 있는,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한 상태에서 한국을 조망하면서,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독특한 모습들을 저자가 고안한 ‘리기시스템’이라는 내재적인 방법론으로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Rating Graph
Avg3.8(71)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0+

Table of Contents

1장 ─ 한국, 도덕 지향적인 나라 1. 도덕 지향적인 사람들 2. 도덕을 외치는 사람, 도덕을 외치지 않는 사람 3. 일본과 한국에서의 도덕의 이미지 4. 는 오류이다 5. 월드컵 유치경쟁에서 보여준 도덕 지향성 6.?도덕 지향적인 세계 속에서의 일본의 개성 7.?일본은 메이지 이후에 유교 국가화의 완성을 지향한다 8.?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9. 도덕·권력·부 10. 도덕쟁탈전 11.?철학은 삶 그 자체 12.?리(理) 신앙 13.?위기의식과 리(理) 지향성 14. 리(理)의 변천 15. 한국과 일본의 리(理)의 형태 16.?형이상학적인 한국으로 드디어 출발! 17. 약간의 범례 2장 ─ 상승을 향한 열망 1.?리(理)와 기(氣)의 구조 2. 인간관계의 구조 3. 상승 지향의 구조 3장 ─ ‘리’와 ‘기’의 생활공간 1. 리의 세계와 기의 세계 2. 리기의 생활학 3. ‘리’와 ‘기’의 방법론 4장 ─ ‘리’와 ‘기’의 문화체계 1. 질서(cosmos) 신앙의 민족성 2. 리기의 문화 표징 3. 리기의 정신성 5장 ─ ‘리’와 ‘기’의 사회구조 1. 도덕 지향성과 지식인 2. 리기의 혈연 공동체 6장 ─ 리기의 경제·정치·역사 1. 경제 ― 리(理)와 리(利)의 각축과 타협 2. 정치 ― ‘리’는 질서라는 이름의 혼돈 172 3. 역사 ― ‘리’의 힘과 가상(假想)의 도덕적 역사 4.?90년대의 변화 7장 ─ 리기와 세계·일본 1. 국제 관계의 구조 2. 문화라는 ‘리’와 세계화 3. 한일 관계의 난관과 미래

Description

한국이 유교적인 사회라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째서 유교적인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저자는 이 물음에 명쾌하게 답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은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유학이었는데, 성리학의 특징은 ‘리’와 ‘기’라는 두 개념으로 인간과 사회와 우주를 통일적으로 설명한다는 데에 있다. 여기에서 ‘리’가 도덕과 이념을 의미한다면 ‘기’는 욕망과 현실을 나타낸다. 성리학에서는 현실이 이념에 따르고 욕망이 도덕의 인도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리와 기 중에서 어느 한쪽만을 강조하여 한국 사회를 분석하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저자에 의하면 한국인에게는 도덕과 이념을 중시하는 ‘리’적인 측면과, 변화와 현실을 ‘기’적인 측면이 모두 들어 있고, 이 양면성이야말로 한국 사회를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근본적인 요인이다. 이 책은 현대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 틀로서 리와 기라는 내재적인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법론과는 선을 긋고 있다. 종래에 한국을 분석하는 이른바 ‘과학적인’ 방법들은 대개 서양의 사회과학 이론이나 철학적 담론과 같은 외부의 시각에 의존해 왔는데, 그 이유는 현대 한국을 분석하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이른바 서양에서 훈련받은 해외 ‘유학파’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유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유학적 지식을 현대 한국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하기보다는, 조선시대 유학을 설명하는 데에 주로 사용해 왔다. 다시 말하면 한국의 원형을 아는 사람들은 지금의 한국에 관심이 적고, 지금의 한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국의 원형에 어두웠던 것이다. 바로 이 점이 한국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저자와 같은 내재적인 방법론이 나오지 못했던 이유이다. 외국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한국문화가 지니는 독특성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그 독특성의 원인을 한국인의 ‘리’ 지향성에서 찾고 있다. 여기에서 ‘리’는 ‘도덕’의 다른 말로, 한국인들의 가장 큰 특징은 ‘도덕지향적’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인들의 도덕지향성을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사고방식 속에서 하나하나 증명해 나감으로써 일본인들에게 한국을 이해시키고 있다.

Collection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