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티머시 모턴 · Social Science
350p
Where to buy
content
Rate
3.8
Average Rating
(4)
Comment
More

우리시대 질문총서 5권. 지구온난화, 생태학적 사유, 자본주의, 인류세라는 흥미로운 주제들을 다루면서 새롭게 열린 이론적 지형을 생태학적 사유라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헤쳐 나가고자 한다. 모턴은 이 책에서 인간/자연의 이분법을 통렬히 비판하지만 정작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를 근본적으로 다시 묻는다. 인간과 비인간, 생명과 비생명, 주체와 객체, 유기체와 무기체 간의 경계가 불확실해지고 있는 오늘날 이 질문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발간사 6 감사의 말 9 서론 공통적인 사물들 15 1장 생명 77 2장 유령들 89 3장 저월 163 4장 종 193 5장 유형성 217 역자해제 및 후기 294 주석 311 색인 346

Description

※ 이번에 출간된 <우리시대 질문총서>는 기술·환경·휴머니즘·지역(부산) 등 우리 앞의 현실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추진됐다. 우리 세계의 변화를 미시적이고 거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학문적 시각을 제공하는 한편, 도래할 세계와 지난간 미래의 쌍방향적 대화와 성찰을 통해 우리시대를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예견하는 문제적 활동을 기획· 소개한다. 이 책은 지구온난화, 생태학적 사유, 자본주의, 인류세라는 흥미로운 주제들을 다루면서 새롭게 열린 이론적 지형을 생태학적 사유라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헤쳐 나가고자 한다. 모턴은 이 책에서 인간/자연의 이분법을 통렬히 비판하지만 정작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를 근본적으로 다시 묻는다. 인간과 비인간, 생명과 비생명, 주체와 객체, 유기체와 무기체 간의 경계가 불확실해지고 있는 오늘날 이 질문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 책은 비인간적 존재들과의 공존적 관계를 박탈하는 자본주의적 논리에 저항하는 한편 우리에게 종으로서의 인간, 비인간적 존재들과의 연대 속에 있는 인간을 중심에 둔 인류의 정치학을 새롭게 사고함으로써 새로운 생태학적 사유를 제공하는 수작이다. 아마도 이 책은 지구온난화와 코비드-19로 고통받고 있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사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