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와 조선의 틈새에서

오세종 · History
347p
Where to buy
content
Rate
4.5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오키나와전쟁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키나와의 조선인에 대한 역사. 오키나와는 미군 점령 후 1972년 반환 이전까지 일본이 아니었기 때문에 오키나와의 조선인은 재일 조선인도 아니려니와, 불가시화된 자들, 귀속처가 불분명한 자들, 그 틈새에 끼인 자들이었다. 전쟁에 동원되거나 그 이전부터 틀림없이 존재하던 오키나와의 조선인들, 그러나 오키나와전쟁 이후 증발되었다고까지 일컬어질 만큼 행방이 묘연해진 이들의 흔적을, 저자는 오키나와 현사와 시정촌사, 그리고 오키나와 및 한국 신문자료, 회고록, 위령비와 탑에 새겨진 글귀 하나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혼신의 힘을 다해 발굴하여 일본과 한반도의 근현대사를 메우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말 시작하며 1장 / 오키나와전쟁으로 뒤엉킨 역사, 불가시화된 조선인 1. 오키나와전쟁 속 조선인들 2. 오키나와인과 조선인의 관계 3. 조선인과 오키나와인들의 위계질서를 넘어선 관계 2장 / 조선인들의 ‘전후’-수용·귀향·잔류 1. 미군의 점령정책 속 조선인들 2. 수용 후 두 갈래의 길-귀향하는 조선인과 오키나와에 잔류하는 조선인 3. 일본 ‘본토’와 오키나와의 입국(역) 관리체제-무국적자가 된 오키나와의 조선인 3장 / ‘오키나와’를 둘러싸고-국제적 동향과 내부의 저항운동 1. 미국의 군사전략 속 오키나와와 한국 2. 한일회담, 한일조약과 오키나와의 조선인 3. 탈식민지화를 향한 오키나와-『류다이분가쿠』와 복귀운동 4장 / 오키나와 내 조선인의 출현과 담론공간 1. 오키나와 내 조선인들의 출현 2. 주민이 주체가 된 오키나와전쟁의 기록운동과 조선인 담론 3. 담론공간을 둘러싼 사태-오키나와, 일본 ‘본토’, 한국정부 5장 / 오키나와 내 조선인의 행방-시정권 반환 이후 1. 조선총련과 일본인이 함께 한 오키나와전쟁 합동조사 2. 돈을 벌기 위해 오키나와로 건너온 한국인 노동자(1973~1976) 3. 배봉기의 등장 4. 결론-회귀하는 조선인들과 오키나와의 탈식민지화 나가며 | 오키나와의 조선인 관련 비 및 탑 소개 1. 백옥의 탑 2. 청구의 탑 3. 오키나와 병참 위령의 비 4. 통한의 비 5. 한국인 위령탑 6. 평화의 초석 7. 아리랑 위령 기념비 8. 유혼의 비 9. 아시아태평양전쟁·오키나와전쟁 피징발 조선반도 출신자 한의 비 10. 아리랑 비·여자들에게 저자 후기 참고문헌·영상·사이트 인명 찾아보기

Description

오키나와에도 ‘조선인’이 있나요? 아름다운 바다의 섬, 오키나와는 지난 세기 전쟁의 상흔을 뚜렷하게 간직한 아픔의 땅이기도 하다. 지금도 곳곳에 옥쇄작전과 미군 점령의 흔적이 남아 있는 오키나와에 그러나 우리 민족의 숨결도 섞여 있었다는 사실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오키나와에 조선인이 있었을까?” 류큐대학에 재직 중인 오세종 교수는 그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각종 사료를 수집하여 “틀림없이 존재했던” 오키나와의 조선인을 찾아낸다. 그간 묻혀 있던 오키나와의 조선인, 군부 혹은 위안부로서의 그/그녀들의 삶을 밝힌 이 책은 동시 간행된 일본에서는 출간과 함께 신문 『오키나와 타임즈』에 소개되는 등 화제를 낳았던 문제작이기도 하다. 희미하게, 보일 듯한 사람들 이 책이 주목하고 있는 전시와 전후 오키나와를 살아간/살고 있는 ‘오키나와의 조선인’이 놓인 위치는 그야말로 중층적이고 복합적이다. 이들 ‘오키나와의 조선인’은 식민지 역사 속에서, 오키나와전쟁 속에서, 그리고 미군 점령하에서 불가시화되고 때에 따라서는 희미하게 가시화되기도 하지만 그마저도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적이고 불확정적인 존재들이다. 미군 점령 후 1972년 ‘복귀’ 이전까지는 오키나와는 일본이 아니었기 때문에 ‘오키나와의 조선인’은 재‘일’ 조선인도 아니려니와, ‘불가시화된 자들’, ‘귀속처가 불분명한 자들’, ‘그 틈새에 끼인 자들’이라는 저자의 비판적 자리매김은 큰 울림을 준다. 저자는 전쟁에 동원되거나 그 이전부터 틀림없이 존재하던 오키나와의 조선인들, 그러나 오키나와전쟁 이후 ‘증발’되었다고까지 일컬어질 만큼 행방이 묘연해진 이들의 흔적을, 오키나와 현사県史와 시정촌사市町村史, 그리고 오키나와 및 한국 신문자료, 회고록, 위령비와 탑에 새겨진 글귀 하나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혼신의 힘을 다해 발굴해 낸다. 이렇게 해서 오랫동안 역사의 수면 아래에 깊이 침잠해 있던 조선인 ‘군부’와 ‘위안부’를 비롯한 ‘이름 없는(이름을 밝히지 못한)’ ‘무국적자’들의 존재가, 그/그녀들의 이름(본명)이, 개인사가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다. 이 책의 부제이기도 한 ‘가시화’와 ‘불가시화’를 둘러싼 역사와 담론이 비로소 가능해지게 된 것이다. 틀림없이 오키나와에 있었던, 그러나 증발해버린 듯 보이지 않는 오키나와 조선인을 다시 불러오고자 함은 곧 잊혀졌던 타자들의 이름을 증언함으로써 역사 속의 ‘공백’을 메우고 아직도 잡힐 듯 잡히지 않는 탈식민지로 나아가기 위한 도정을 시작하는 첫 걸음이다. 『오키나와 타임즈 플러스』 2019년 2월 23일 기사 오세종 저 『오키나와와 조선의 틈새에서』 역사의 암부에 빛을 비추다 사키야마 다미, 소설가 일본 식민지시대의 ‘조선’에서 연행되어 와 전시하에서 가혹한 노동과 ‘성노예’에 시달린 ‘종군위안부’, ‘군부’라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여기 오키나와 땅에서도 이름도 알려지지 않고, 전후에는 ‘보이지 않는’ 존재로 묻혀버린 그/그녀들의 흔적에, 재일조선인 3세인 저자가 역사의 암부에 희미한 빛을 비추고자 혼신의 힘을 기울인 저서이다. 앞서 출판된 한국 출신 연구자 홍윤신의 『오키나와전장의 기억과 ‘위안소’』(2016)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 책에서는, 현사, 시정촌사, 신문기록, 개인사, 회고록 등 적지 않은 자료들을 섭렵하고, 위령비를 찾고, 기록비문에 새겨진 혹은 새겨지지 않은 그/그녀들의 배제와 차별을 성실히 해독한다. 다루고 있는 테마는 모두 절실하다. 허점투성이인 ‘한일조약’(1965) 문제. 한 사람의 인간을 ‘~인’이라는 틀 안에 가두어 차별의 하층에 자리매김하고, 그로 인해 ‘불가시화’된 그/그녀들의 역사의 경위를 호적제도에 의한 배제 문제로 고찰한 2장은, 인권의식도 갖추지 못한 채, 외국인의 유입을 노동자로만 한정하려 하는 현 일본의 외교정책에도 경종을 울린다. ‘일본인’에 대해서만이 아닌, ‘오키나와인’에 의한 ‘내부의 타자’ ‘조선인’의 가해성과 자기정당화로 흘러가는 담론에 대한 비판도 잊지 않는다. 특히 깊은 울림을 주었던 것은, ‘조선’과 오키나와의 ‘틈새’에서 생겨난 상징적 존재로 ‘조선인’ 차별을 호소하며 도쿄타워점거사건(1970)을 일으킨 도미무라 준이치의 저항사상을 급진적으로 다룬 제4장과, 전후에도 계속해서 오키나와에서 생활하며, ‘위안부’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커밍아웃한 배봉기 씨의 등장이 갖는 의미를 기술한 제5장. 또한, 오랜 식민지지배의 역사를 방기한 채 ‘15년 전쟁’ ‘오키나와전쟁’이라는 범주 안에서만 이야기하고, 자의적인 분단의 가치관(‘남’과 ‘북’)으로 타자화된 이들을 단순히 비판하는 난폭함을 저자는 강조한다. 이러한 여러 논의를 되묻는 일이야말로, 현재의 뒤틀린 한일관계를 풀어갈 유일한 실마리가 아닐까. 『沖縄タイムス+プラス』 2019.2.23 「[話題本題] 呉世宗著「沖縄と朝鮮のはざまで」歴史の暗闇に光ともす」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