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 시인의 말
시인의 말
거리의 기타리스트―돌아오지 마라, 엄마 ― 11
욕조들 ― 13
별 모양의 얼룩 ― 14
Fluxfilm No. 4(lesbian) ― 16
비슷하거나 아예 똑같을 것을―금요일의 갤러리를 지나 ― 18
지금은 自慰 중이라 통화할 수 없습니다 ― 20
조개껍데기 가면을 쓴 주치의의 달변 ― 22
공사의뢰인 ― 23
물류센터 ― 24
운문의 똥막대기 ― 25
Third Eye ― 26
봉인된 여자 ― 28
유디트 ― 29
로시니 혹은 누가 누구와 잤는가 하는 사소한 문제―음악을 하는 시인에게 ― 30
보수동 우리책방 노상길 씨께 보내는 메일 ― 32
안나푸르나, 두 겹의 크로키 ― 33
고야와 나의 오월 ― 36
후이족의 아내와 양의 끊어진 인터뷰 ― 38
나는 나무를 이해한다 ― 40
언니네 이발소 ― 42
가릉빈가 ― 44
콜로라투라 ― 45
벌 ― 46
정동진 횟집 ― 47
덜미 잡고 놀자 ― 48
조문객 ― 49
오수전(五銖錢) ― 50
분실물 보관소 ― 52
지하 스튜디오 고장 난 앰플리파이어 ― 53
회피성 중독 ― 54
만어석촌(萬魚石村) ― 55
침대 옆 탁자 위 ― 56
피팅룸 ― 57
청춘이라는 폐허 2 ― 58
방조와 가담의 차이에 관한 시퀀스 ― 60
네모난 연못 ― 62
동짓달 ― 63
가내공업 ― 64
여름날 난로처럼 있다 ― 65
오프너 ― 66
어둠 속의 댄서 ― 67
계단을 내려가는 암소 ― 68
오페라의 유령 ― 70
불안한 재미 ― 71
나는 내가 사라지는 것을 보았고 ― 72
뒤주 속의 아리아 ― 74
구름무늬 족좌(足座) ― 76
시소 ― 78
무의지의 수련, 부풀었다 ― 80
드므 ― 81
렌즈 없이 본다는 거 ― 82
사랑했지만 ― 83
콘크리트 쿠키 ― 84
밀가루 반죽은 나비처럼 ― 86
달에 씻다 ― 88
해설
황현산 김이듬의 감성 지도 ― 90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https://an2-img.amz.wtchn.net/image/v2/RxnUqIIUbhVRwcPaJ4NB2Q.jpg?jwt=ZXlKaGJHY2lPaUpJVXpJMU5pSjkuZXlKdmNIUnpJanBiSW1KbklsMHNJbkFpT2lJdmRqSXZjM1J2Y21VdmNISnZiVzkwYVc5dUx6UTVPVEUzT1RrME5URXhOREl4TVNKOS40RzQyRFphdS03anZOWWY5U1FBVWZFWmpzaWdBQmdOSnZvRG9VSHc3Uk04)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https://an2-img.amz.wtchn.net/image/v2/i69HSjdDu0FbqFRTyouubA.jpg?jwt=ZXlKaGJHY2lPaUpJVXpJMU5pSjkuZXlKdmNIUnpJanBiSW1KbklsMHNJbkFpT2lJdmRqSXZjM1J2Y21VdmNISnZiVzkwYVc5dUx6RXhOekExTURBNU9UVTRORGMwTXpNM0luMC5yN1dOc1RvM3BEY0I5ZTRuUXEtZWQ1N1FyalQ0RzRfSm1hTWhLbi1wRmg4)
시작시인선 54권. 김이듬 시인의 첫 번째 시집 <별 모양의 얼룩> 개정판. 김이듬에게는 쉽게 규정하기 어려운 허기가 있다. 그것은 욕망이 만들어 준 허기가 아니라, 오히려 철저하게 억제된 욕망을 뚫고 욕망하려는 허기, 욕망에 대한 허기라고 불러야 할 그런 것이다. 욕망의 억제가 말을 불모에 이르게 한 연원이라고 본다면, 그 허기를 또한 말에 대한 허기라고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이 이상한 허기, 이 욕망하려는 욕망이 육체의 감각에 날을 세우고, 이 날 선 감각들은 그의 욕망을 무참 하게 잘랐던 낡은 상처들이 다시 피를 흘리게 한다. 그 상처 하나하나마다 붕대처럼 감겨 있는 문화적 형식들이 벗겨지고 허기 아래 눌린 말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 말들은 사실에 부합하고 따라서 순결하지만, 사실을 말하나 숨기는 방식으로 말하기에 어지럽다. 이 어지러움이 김이듬에게는 일종의 정돈에 해당한다. 그것은 극단에 이르려는 표현을 복잡성의 형식으로 절제하고, 상처와 원한의 관계가 조정될 때까지 시간을 버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가 숨기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차릴 수 있는 독자에게는 이 어지러운 말만큼 잘 정돈된 말도 드물다.
Author/Translator
Comment
1Table of Contents
Description
(주)천년의시작에서 2005년 발간되었던 김이듬 시인의 첫 번째 신작 시집 <별 모양의 얼룩> 개정판이 2014년 11월 14일 발간되었다. 김이듬 시인은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한 뒤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1년 <포에지>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시집으로 <별 모양의 얼룩> <명랑하라 팜 파탈> <말할 수 없는 애인> <베를린, 달렘의 노래> <히스테리아>를, 장편소설로 <블러드 시스터즈>를 발간하였다. 시와 세계 작품상, 김달진 창원문학상, 2014 올해의 좋은 시상 등을 수상하였다.
김이듬에게는 쉽게 규정하기 어려운 허기가 있다. 그것은 욕망이 만들어 준 허기가 아니라, 오히려 철저하게 억제된 욕망을 뚫고 욕망하려는 허기, 욕망에 대한 허기라고 불러야 할 그런 것이다. 욕망의 억제가 말을 불모에 이르게 한 연원이라고 본다면, 그 허기를 또한 말에 대한 허기라고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이 이상한 허기, 이 욕망하려는 욕망이 육체의 감각에 날을 세우고, 이 날 선 감각들은 그의 욕망을 무참하게 잘랐던 낡은 상처들이 다시 피를 흘리게 한다. 그 상처 하나하나마다 붕대처럼 감겨 있는 문화적 형식들이 벗겨지고 허기 아래 눌린 말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 말들은 사실에 부합하고 따라서 순결하지만, 사실을 말하나 숨기는 방식으로 말하기에 어지럽다. 이 어지러움이 김이듬에게는 일종의 정돈에 해당한다. 그것은 극단에 이르려는 표현을 복잡성의 형식으로 절제하고, 상처와 원한의 관계가 조정될 때까지 시간을 버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가 숨기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차릴 수 있는 독자에게는 이 어지러운 말만큼 잘 정돈된 말도 드물다.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