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공단

마영신 · Humanities/Comics
24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9(20)
0.5
3.5
4
5
Rate
3.9
Average Rating
(20)
Comment
More

마영신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이다. 작가는 2002년 인천 남동공단의 한 공장에서 병역특례로 일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3년 반은 차라리 군대를 갈 걸, 하고 후회할 정도로 짧지 않은 기간이었다. 친구들은 다시 군대에 가는 악몽을 꾼다는데, 작가는 다시 공장에서 일하는 악몽을 꾸곤 했다. 제대 후 작가는 공장에서의 경험을 만화로 그리기 시작했다. 이 만화는 2013년 새만화책에서 출간되었다 절판되었고, 2022년 송송책방에서 복간본을 출간했다. 20대의 마영신이 겪은 이야기는 생생한 경험과 입체적 인물과 리얼한 감정 묘사로, 책장을 펼치면 쇳가루 날리는 어둑한 공장 한 켠에 들어선 듯한 체험을 선사한다. 연재도 출간에 대한 기약도 없이 혼자 아르바이트 해가며 그린 만화였다. 개인적으로는 별 소득 없이 지나간 인생의 3년 반을 어떻게든 기록해두려 한 작가의 분투가 왠지 모를 감동을 준다. 한 예술가의 20년 전 청춘의 기록이 한 시대의 기록으로, 또한 변화 없는 노동현실에 대한 생생하고 뼈아픈 자료로 남았다. 한편 복간본에는 초판에는 없는 단편 만화 '김사장 동생 김실장'을 실었다. 마영신 작가 자신이 실명으로 등장해 공장 체험을 들려준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9(20)
0.5
3.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1화 첫 출근 2화 제관 3화 공장 사람들 4화 회식 5화 수습기간 6화 아저씨들 7화 화해 8화 Catch Me If You Can 9화 사고 10화 병문안 11화 고민 12화 벌써 1년 13화 실장의 위기 14화 탁구의 계절 15화 아슬아슬한 평온함 16화 두 딸의 아빠 17화 꿈틀꿈틀 특별 단편 수록∥ 김사장 동생 김실장 작가의 말 개정판을 내며

Description

이것은 내 청춘의 한 토막 군 복무를 대신해 병역특례업체에서 일했다 인천의 한 공장에서 용접, 제관, 조립 등을 했다 별 소득 없이 견뎌낸 3년 반 동안 생소했던 노동이 손에 익고 직원들과 친해지고 공장 생태계가 눈에 들어왔다 21살 김종민은 ‘대한민국 남성으로 태어나 개처럼 군대에 끌려갈 뻔했…지만’ 운 좋게 지인 소개로 병역특례업체에 들어가게 되었다. 인천의 한 공장에 취업한 종민은 철판을 자르고 용접하는 제관실에서 일한다. 군 복무를 대신해 3년 반 일하는 동안 생소했던 노동이 손에 익고 공장 아저씨들과 친해지고, 공장의 생태계가 눈에 들어온다. 《남동공단》은 마영신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이다. 작가는 2002년 인천 남동공단의 한 공장에서 병역특례로 일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3년 반은 차라리 군대를 갈 걸, 하고 후회할 정도로 짧지 않은 기간이었다. 친구들은 다시 군대에 가는 악몽을 꾼다는데, 작가는 다시 공장에서 일하는 악몽을 꾸곤 했다. 제대 후 작가는 공장에서의 경험을 만화로 그리기 시작했다. 이 만화는 2013년 새만화책에서 출간되었다 절판되었고, 2022년 송송책방에서 복간본을 출간했다. 20대의 마영신이 겪은 이야기는 생생한 경험과 입체적 인물과 리얼한 감정 묘사로, 책장을 펼치면 쇳가루 날리는 어둑한 공장 한 켠에 들어선 듯한 체험을 선사한다. 연재도 출간에 대한 기약도 없이 혼자 아르바이트 해가며 그린 만화였다. 개인적으로는 별 소득 없이 지나간 인생의 3년 반을 어떻게든 기록해두려 한 작가의 분투가 왠지 모를 감동을 준다. 한 예술가의 20년 전 청춘의 기록이 한 시대의 기록으로, 또한 변화 없는 노동현실에 대한 생생하고 뼈아픈 자료로 남았다. 한편 복간본에는 초판에는 없는 단편 만화 '김사장 동생 김실장'을 실었다. 마영신 작가 자신이 실명으로 등장해 공장 체험을 들려준다. “제대 후 나는 공장에서의 경험을 만화로 그리기 시작했다. 고스란히 만화로 녹여내면 보는 사람들이 그 자체로 재밌게 읽어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만들었다.” -2013년 작가의 말 中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