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326p
Where to buy
content
Rate
2.6
Average Rating
(5)
Comment
More

수천년간 동양사상을 지배해 온 유학(儒學)을 동경하여 ‘인(仁)’과 ‘의(義)’를 공부한 저자가 공자의 가르침을 현대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책. 공자가 그 무렵의 공경 사대부 및 제자들과 서로 묻고 대답한 내용을 여러 제자들이 보고 들은대로 기록한 글이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머리말_중국의 대철학자 01 죄인을 다스리다 02 노나라의 대신이 된 공자 03 다섯 등급의 인품에 대하여 04 유행(儒行) 이란 무엇인가? 05 왕의 말에 대하여 06 왕의 혼인에 대하여 07 예절을 물음 08 절개를 말하다 09 자로 처음으로 만나다 10 교(郊)에 대하여 묻다 11 최상집 개 12 정치에 대하여 13 여섯 가지 근분 14 갈기를 좋아함 15 주나라를 살피다 16 생각함에 대하여 17 세 가지 용서하는 법 18 정치하는 방법을 말하다 19 어진 왕 20 제자들을 마라다 21 벼슬을 하다 22 화액을 당하다 23 애공이 정치에 대하여 묻다 24 물건을 말하다 25 다섯 황제의 덕 26 다섯 황제 27 향사례를 보다 28 명(命)과 성(性)에 데하여 29 예를 논다하 30 묘(廟)의 제도에 대하여 31 다섯 가지 형벌데 대하여 32 형?과 정치 33 관례에 대하여 34 옥을 말하다 35 음악에 대하여 말하다 36 본성(本姓)을 풀이하다 37 공자의 예언 38 안회를 말하다 39 곡례에 대해서 단목사가 묻다 40 곡례에 대해서 복상이 묻다 41 곡례에 대해서 공서적이 묻다

Description

중국의 대(大) 철학자 - 유교(儒敎)의 시조(始祖) 공자의 학파는 유가(儒家)로 불리며 그의 사상은 맹자(孟子)와 순자(荀子)에 의해 이어졌는데, 인(仁)을 이상의 도덕이라 하여 효제(孝悌)와 충서(忠恕)로써 이상(理想)을 이루는 근거로 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공자가 그 무렵의 공경 사대부 및 제자들과 서로 묻고 대답한 내용을 여러 제자들이 보고 들은대로 기록한 글이다. 그런데 다 같은 성인의 글인데도 《논어(論語)》, 《효경(孝經)》은 특별히 순수한 글이라고 하여 유학을 연구하는 사람은 모두가 읽었으나 이 책만은 내용이 이것 저것이 뒤섞여서 순수하지 않다고 하여 외면당하고 심지어는 달갑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경향까지 있었다. 그런 탓인지 기록에 의하면 진시황이 온갖 시서(詩書)를 불살라 버리는 이른바 ‘분서갱유(焚書坑儒)’때 이 책 한 질은 공자의 옛 집에 보관되어 있어서 화액을 면했다고 한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