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트레이닝 : 이론편

손지상
19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2.6(10)
0.5
2.5
5
Rate
2.6
Average Rating
(10)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작가, 작가 지망생, 평론가, 책이나 영화, 만화 등 스토리 컨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독자들에게 모두 적합한 책이다. '이론편'은 두뇌가 재미를 느끼는 원리와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이야기의 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실전편'은 이론편에서 익힌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집필 과정에서 마주치는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2.6(10)
0.5
2.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2 1. 두뇌의 작용 : 열쇠들 가. 당신을 작가로 만들어주는 열쇠, 전이 30 나. 좌뇌와 우뇌 사이의 단절을 극복하자 37 1)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의 단절 37 2) R-모드와 L-모드 : 뇌의 두 가지 처리 과정 41 다. 벽을 넘기 위해서 44 2. 짬과 모남 : 자연스러운 생소함 가. 달걀 부칠 줄 알면 전이를 안다 46 1) 전이의 달걀 프라이 3단계 50 2) 우주=삶=스토리=전이의 운동 과정 50 나. 어떻게 전이를 만드는가? 54 1) 짬 54 2) 모남 55 3) 짬과 모남의 관계 59 다. 전이 취급 주의 사항 61 1) 전이는 합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61 2) 모남이 과하면 위험하다 64 3. 추상도 : 우주의 척도 가. 추상도를 알면 우주가 훤히 보인다 68 1) 추상도란? 68 2) 포섭과 모순 71 3) 추상도와 전이는 동전의 양면! 73 나. 공(空) 76 4. 기억의 우주 : 임장감의 비밀 가. 뇌는 어떻게 기억으로 우주를 만드는가 80 1) 뇌의 정보를 걸러내는 수문장, RAS 80 2) 우리는 과거에 살고 있다 82 3) 우리는 각자가 하나의 우주다 85 나. 임장감은 어떻게 구축하는가 86 1) 임장감의 3대 축 86 2) 기억에 닻을 내리는 앵커링 90 3) 주의 : 마법은 한 개만! 91 다. 임장감은 스토리를 만들어낸다 94 1) 우리 머릿속의 스크립트 94 2) 스토리 : 생존 도구 96 5. 재미의 발생 : 프라이밍(점화)→예기실패→납득 가. 감정의 달걀 프라이 3단계 100 나. 1차 재미: 프라이밍 103 1) 프라이밍 덕에 음식을 먹고 섹스를 한다 103 2) 놀이와 프라이밍의 관계 107 3) 알고 있는 정보, 맥락의 중요성 109 4) 적나라하고 원초적으로 112 5) 주인공으로 시작하라 115 다. 2차 재미 : 예기실패 117 1) 스크립트가 중단되면 감정이 생긴다 117 2) 뇌는 실패한 사건만 기억한다 120 3) 예기실패로 상대를 조종한다 122 4) 세부정보 : 공명하면서도 구체적인 124 5) 가추법 : 새로운 스크립트 만들기 127 라. 3차 재미 : 납득 132 1) 감정과 이성은 사촌형제 132 2) 완급과 마무리와 개연성 135 마. 1, 2, 3차 재미의 예 137 6. 무기 : 작가의 길 가. 밝은 점 146 1) 요정나라와 조지아 주 이야기 146 2) 스터닌은 어떻게 베트남의 영양실조를 해결했는가 148 3) 당신 안에 있는 ‘밝은 점’을 찾자 151 4) 밝은 점은 점차 성장한다 156 나. 마음가짐 161 1) 이소룡이 추구한 자유의 길 161 2) 당신의 인생과 라포를 형성하라 165 다. 벽: 70쪽 증후군 168 1) 프롤로그 병, 70쪽 증후군, 라이터스 블록 168 2) 연습은 당신의 몫 175 라. 달인을 향한 쉽고 편리한 길 178 1) 자기효능감의 비밀 178 2) 의식적으로 반복하라 181 용어해설 183

Description

뇌인지과학, 심리학, 신경학, 창작론, 작법의 이론을 합쳐 풀어낸 작법서의 작법서! 이야기의 작동 원리를 알면, 누구나 작가로 향하는 첫 걸음을 뗄 수 있다! 작가, 작가 지망생, 평론가, 책이나 영화, 만화 등 스토리 컨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독자들에게 모두 적합한 책이다. 수많은 이론서와 학술서에 흩어져 있었던 원리를 명쾌한 작법으로 정립하려는 최초의 시도이기도 하다. 스토리 트레이닝 <이론편>은 두뇌가 재미를 느끼는 원리와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이야기의 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스토리 트레이닝 <실전편>은 <이론편>에서 익힌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집필 과정에서 마주치는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손지상 작가의 작법은 소설, 만화, 영화시나리오, 라이트노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끝나지 않고 더 많은 작법서와 이론서의 바다로 연결시켜 주는 ‘관문’ 역할도 한다. 다른 작법서들을 먼저 읽은 경우, 이 책을 통해 더 분명한 창작 구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작가가 아닌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다양한 스토리 컨텐츠 중에서 좋은 작품을 어떻게 알아보고 바라봐야 할지에 대한 큰 그림을 얻고, 더 능동적으로 감상하고 즐길 수 있다. *온우주 팟캐스트에서 책 구입자를 위해 손지상 작가의 오디오 강의 무료 연재 예정. onuju.com 참조. “작가는 선택받은 자만이 되는 특권이 아닙니다. 스스로 선택한 자가 되는 역할이자 기능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작가의 의미는 매우 넓으면서 협소합니다. 작품활동에 관계없이,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을 이해하고, 인생 경험을 곱씹어 통찰력을 갖추고, 이를 객관적으로 표현한다면, 당신은 작가입니다. 누구나 자신의 인생에 대한 경험과 통찰력, 가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반은 작가인 셈입니다. 나머지 반은 스토리를 미리 설계하고, 고쳐 쓸 때 필요한 이해와 기술입니다. 배우기만 하면 누구나 구사할 수 있습니다.” - 프롤로그 “작법서 중에는 창작 과정의 개념에 대해 큰 그림을 그려주지 못하거나, 명시적이고 실제 현상과 연결되지 않는 책도 많았습니다. “이 정도는 다 알고 있겠지”, “관습적으로 이런 건 다 합의되어 있으니까” 하고 넘어간 암묵적인 부분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실제 창작자나 관계자와 의사소통을 할 때 너무 많은 문제가 발생해 왔습니다. 많은 창작자와 창작 지망생이 어떻게 자기 작품을 미리 계획하고, 파악하고, 다 쓴 뒤에 검토하고, 고쳐야 하는지를 감으로 어림잡아 더듬더듬 해 왔습니다.” - 에필로그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