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조이스 시집 : 체임버 뮤직

James Joyce · Poem
19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6(15)
0.5
3.5
5
Rate
3.6
Average Rating
(15)
Comment
More

아티초크 빈티지 시선 6권. <체임버 뮤직>(Chamber Music, 실내악)은 제임스 조이스가 최초로 출간한 책이다. 1907년 그의 나이 25세에 낸 이 작은 시집은 국내에서는 단행본으로 아티초크가 최초로 출간하였다. 이번 시집은 <악의 꽃>, , , <소리와 분노>, <밤은 부드러워>, <번역 예찬> 등 다수의 번역서로 인정받은 전문 번역가 공진호가 맡아 제임스 조이스가 추구한 음악성을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 수동 타자기로 조판한 <체임버 뮤직>은 총 36수의 시와 조이스의 사진 및 앙리 마티스와 로베르 들로네의 명화 등 40점의 삽화, 그리고 <더블린 사람들>의 네 번째 단편 '에벌라인 (Eveline)'으로 구성되어 독보적인 시적 경험을 선사한다. 표지 디자인은 세계적인 사진가 엘리엇 어윗과 데니스 스톡의 작품으로 제작해 세계 및 국내 최초로 3가지 디자인으로 동시 출간하였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6(15)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1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2 자수정 황혼 빛 3 만물이 휴식하는 그 시간 4 수줍은 별 5 창밖으로 몸 좀 내밀어 봐요 6 그 감미로운 가슴에 안기고 싶어라 7 내 사랑 가벼운 옷 입고 8 그녀를 장식해 주는 봄철의 9 오월의 바람, 바다에서 춤추네 10 밝은 색 모자와 리본 11 안녕, 안녕, 안녕을 고해요 12 사랑하는 그대여, 고깔 쓴 달이 13 그녀를 찾아 정중하게 14 사랑하는 그대여, 아름다운 이여 15 이슬 젖은 꿈에서, 사랑의 깊은 잠에서 16 이제 계곡이 서늘하니 17 너의 목소리가 내 곁에 있어 18 그대여, 당신을 사랑하는 19 슬퍼하지 말아요 20 어두운 솔밭에 21 명예를 잃고 22 내 영혼, 그리도 기분 좋은 그 감금을 23 내 가슴 가까이 파닥거리는 이 가슴은 24 말없이 머리 빗는 그녀 25 사뿐히 오거나 사뿐히 가세요 26 당신은 밤의 외피에 27 내가 네게는 독화살에 견디도록 단련된 28 상냥한 아가씨, 사랑의 종말에 대한 29 사랑하는 사람아 30 지나간 옛날에 사랑이 우리에게 왔지 31 오, 그것은 도니카니 구역이었다 32 온종일 비가 내렸다 33 이제는, 이제는 34 이제 잠들라, 이제 잠들라 35 온종일 신음하는 36 땅 위로 군대가 돌진하는 소리가 들린다 단편소설 에벌라인 번역 노트 제임스 조이스 연보

Description

“사랑은 사랑이 멀리 있어 슬퍼라!” 《체임버 뮤직》의 주제는 청춘의 사랑과 그 사랑의 상실이다. 이 목소리는 단 하나, 사랑에 빠진 청년의 목소리다. 조이스를 세상에 알린 에즈라 파운드는 “제임스 조이스의 참된 모습은 감수성이 예민한 《체임버 뮤직》의 화자”라고 말한다. 《체임버 뮤직》의 화자는 사랑, 금발머리 처녀, 그의 “임”을 노래한다. “임”은 사랑의 대상, 사랑의 주제, 사랑 그 자체, 사랑의 화신이다. 시 한 구절에 복잡한 중의를 의도하지 않는 간결한 언어와 음악이 이루어내는 절묘한 균형, 이것은 르네상스 시인들이 성취한 우아함으로 조이스는 노래로 그것을 표현하고자 했다. 음악은 사랑을 움직이는 원동력 《체임버 뮤직》의 주제는 사랑이지만, 이 사랑을 움직이는 원동력은 단연 ‘음악’이다. “감미로운 현악기 소리” “피아노 선율” “하프” “나팔” “아침 꽃 종들”, “야생벌” 등 소리와 음악은 구애에 필수적이다. 심지어 그의 시에서는 바람마저 음악적이어서 “흥겨이 휘파람”을 분다. 그만큼 음악은 조이스의 운문에, 나아가 산문에도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이스는 《체임버 뮤직》을 ‘모음곡’이라고 일컫고, 자신이 작곡가라면 직접 시집 전체에 곡을 붙일 것이라고 말했다. 《체임버 뮤직》에 담긴 시들은 조이스가 희망했던 대로 그의 생전에 40명의 작곡가들이 곡을 붙여 노래로 만들어졌다. 감미로운 테너 가수의 목소리를 타고난 데에 대한 자부심이 컸던 조이스는 스물여섯 살 때 오른쪽 눈의 홍채염으로 거머리 시술을 받으면서도 오페라 가수가 되고자 성악 레슨을 받기도 하였다. 그는 노래에 위로와 고통 및 슬픔을 잊어버리게 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고, 그래서 사람의 목소리로 부르는 노래가 음악 중에서 최고의 형식이라고 믿었다. 《체임버 뮤직》에서 시작된 조이스의 작가 인생 제임스 조이스는 첫 책 《체임버 뮤직》으로 작가 인생을 시작하였다. 소설로 문명(文名)을 떨쳤지만, 복잡한 감정을 간결한 언어로 추리는 법은 초기의 시작(詩作)으로 배웠다. 그의 모든 작품의 저변에 흐르는 음악, 그 작은 속삭임은 《체임버 뮤직》에서 볼 수 있는 섬세한 감수성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체임버 뮤직’ 즉 ‘실내악’이라는 제목에서 암시되듯이, 이번 시집은 따뜻하고 섬세하며 유혹적인 연가(戀歌)의 진수를 보여준다. 아울러 수동 타자기로 조판된 《체임버 뮤직》에 포함된 감각적인 삽화와 조이스의 인생 스토리는 ‘20세기 최고의 작가’의 첫 시집을 감상하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