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는 천자의 제국이었다

이덕일 and 2 others · History
51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1.9(51)
0.5
5
Rate
1.9
Average Rating
(51)
Comment
More

'우리 역사 바로잡기’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왜곡되고 폄하된 고구려 역사의 30가지 쟁점들을 되짚어보고 있는 책. <삼국사기>와 전통적인 중화 패권주의 사관에 입각해 쓴 중국 사서들의 잘못된 표기방식,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모순된 논리를 깨고 독자적인 천하관으로 대륙을 경영한 고구려를 풍부한 사료로 복원한다. 크게 7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구려의 건국, 전쟁과 외교로 보는 고구려의 강역, 고구려의 국왕과 지배층, 중원과의 전쟁, 고구려인의 사상과 풍속, 고구려인과 망명객 그리고 유민들, 답사기로 읽는 고구려사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이며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의 지은이로 널리 알려진 이덕일과 대한독립운동총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인 김병기,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연구원인 박찬규가 함께 책을 썼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1.9(51)
0.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1부 고구려의 건국 1_ 고구려 시조 추모왕은 단군의 아들인가? 2_ 고구려 시조 추모왕은 어디에서 왔을까? 3_ 베일에 싸인 예맥족의 실체 4_ 고구려 시조 동명왕과 부여 시조 동명왕 5_ 고구려 700년인가 900년인가 2부 전쟁과 외교로 보는 고구려의 강역 6_ 중원의 한·신·후한과의 숙명적 대결 7_ 선비족 모용씨의 전연·후연과의 관계 8_ 북위를 장악한 고구려 사람들 9_ 남북조를 이이제이로 다스리다 10_ 북방 유목민족들과 고구려 11_ 백제와 신라와 고구려 3부 고구려의 국왕과 지배층 12_ 고구려 초기의 이상한 왕위계승 13_ 태조대왕 즉위의 수수께끼 14_ 농민 출신 을파소의 개혁 정치 15_ 광개토태왕의 대제국 건설 16_ 장수왕의 평양 천도가 남긴 것 17_ 고구려 후기 왕실의 혼란 18_ 귀족과 국왕의 갈등 4부 중원과의 전쟁 19_ 고구려의 군사력이 강했던 이유는? 20_ 고구려는 왜 삼국을 통일하지 못했을까? 21_ 수나라 두 황제를 물리친 영양왕을 찾아서 22_ 대막리지 연개소문 일대기 5부 고구려인의 사상과 풍속 23_ 고구려식 천하관과 중국식 천하관 24_ 고구려인들의 종교 생활 25_ 고구려의 혼인제도는 데릴사위제였나? 26_ 형제의 부인이 된 왕후 우씨 6부 고구려인과 망명객 그리고 유민들 27_ 고구려에 온 중국 망명객들 28_ 덕흥리 고분벽화의 유주자사 진 29_ 고구려 유장들의 궤적 30_ 잊혀진 건국영웅 이정기 7부 답사기로 읽는 고구려사 31_ 발로 쓴 고구려사 32_ 산성의 나라 고구려 고구려 왕 계보도 찾아보기

Description

기마민족 특유의 대륙성과 진취성을 발휘하여 중원의 패자로 군림한 동아시아 최강국 고구려의 역사가 되살아난다! ‘우리 역사 바로잡기’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이 시리즈의 첫 책인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에 이어 엄중한 학문적 방법을 동원하여 왜곡되고 폄하된 고구려 역사의 30가지 쟁점들을 되짚었다. 고구려를 비롯하여 고조선의 옛 강역에 존재했던 부여, 비류국 등이 고조선 계승 의식을 갖고 있었던 이유, 고구려 건국연대에 관한 여러 설들, 무려 94년이나 재위했다는 태조대왕과 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차대왕(95세 즉위), 신대왕(77세 즉위)에 관한 의문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태왕의 북방확장정책을 계속 수행하는 대신 수도를 남쪽의 평양으로 옮긴 이유, 당시의 세계 최강대국 당나라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고구려를 멸망의 위기에서 구한 용장이자 영웅인 연개소문이 흉포하고 잔인한 독재자로 전해진 이유, 미천왕과 부인 주씨의 합장 무덤인 안악 3호분에 전연前燕에서 망명한 동수의 시신을 배장한 과정을 꼼꼼히 추적함으로써 중국 측 사료를 근거로 한 역사 기술로 그동안 왜곡되어온 고구려 역사의 진실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