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스타트업 실전 UX

로라 클라인
26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11)
0.5
3
5
Rate
3.5
Average Rating
(11)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멋진 사용자 경험은 피상적이지만 점점 중요도는 올라가고 있다. 누구나 좋아할 법한 제품, 누구나 돈을 주고 구입할 법한 제품은 결국 멋진 사용자 경험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사용자를 이해하는 방법부터 시작해서 돈을 주고 살 제품을 구현하는 방법까지를 설명한다. 이 책은 1부 검증, 2부 디자인, 3부 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처음부터 책을 정독하는 독자도 있겠지만, 숨 가쁘게 돌아가는 실무현장에서 그럴 여유는 없을 듯하다. 필요한 부분, 필요한 내용부터 읽어봐도 도움이 된다. 전체 내용은 스타트업에서 일어나는 제품 구현 업무 전반을 관통하고 있지만, 각 장은 독자적인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실무에 적용해볼 수 있게 설명되어 있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Rating Graph
Avg 3.5(11)
0.5
3
5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____추천사 ____이 책에 쏟아진 찬사 ____옮긴이들의 수다 ____머리말 ____들어가며 __CHAPTER 0 개요 ____그래서, 린 UX가 뭐라고? PART I 검증 __CHAPTER 1 초기 검증 ____시장, 문제, 제품 들고 나가기 ____초기 검증을 위한 도구 ____초기 검증은 시작일 뿐이다 ____알아두면 좋은 것: 고충 기반 디자인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2 시기별 적합한 리서치 ____경쟁제품 테스트 ____5초 테스트 ____게릴라식 사용자 테스트 ____알아두면 좋은 것: 입다물기와 피드백 수집을 위한 팁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3 신속한 사용자 조사 ____반복! 반복! 반복! ____사무실 안에 있기 ____자율진행 테스트 ____설문은 언제하는가 ____알아두면 좋은 것: 리서치를 하지 않기 위한 어리석은 이유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4 정성조사가 언제나 답은 아니다 ____단변수 변경 ____다변수 또는 플로우 변경 ____다음 구현 범위 결정하기 ____알아두면 좋은 것: 만들면 살까? ____당장 시작하기! PART II 디자인 __CHAPTER 5 검증을 위한 디자인 ____도구 1: 제대로 문제 파악하기 ____도구 2: 테스트 우선 디자인하기 ____도구 3: 스토리 작성하기 ____도구 4: 팀이 함께 실현 가능한 해결책 찾기 ____도구 5: 의사결정하기 ____도구 6: 타당한 접근방법 고르기 ____도구 7: 스케치하기 ____도구 8: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 제작하기 ____도구 9: 테스트하고 반복개선하기 ____알아두면 좋은 것: 사용자가 정말 원하는 걸 제공하라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6 적당한 수준의 디자인 ____멋진 디자인보다 필요한 디자인 ____사례 소개 ____기능 토막 제작 ____오즈의 마법사 기능 만들기 ____중요한 문제만 해결하라 ____알아두면 좋은 것: 컵받침 고민은 이제 그만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7 손쉬운 디자인 ____디자인 패턴 ____경쟁사 리서치 ____경쟁제품 사용성 평가 ____일관성 ____프레임워크 ____플러그인 활용 ____아무것도 디자인하지 마라 ____전문가의 도움 ____알아두면 좋은 것: UX를 훔쳐쓰는 기술 ____제대로 훔쳐쓰는 법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8 다이어그램, 스케치,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____왜 다이어그램인가? ____스케치는 언제 할까? ____와이어프레임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____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이 필요할까? ____알아두면 좋은 것: 페이퍼 프로토타입이 싫은 이유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9 MVP는 M&V이다 ____랜딩페이지 ____첫 번째 이터레이션 ____알아두면 좋은 것: 제한된 제품 vs. 형편없는 제품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10 적당한 비주얼 디자인 ____UX에서 비주얼 디자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____알아두면 좋은 것: 세상에서 가장 멋진 비주얼 디자인 ____당장 시작하기! PART III 제품 __CHAPTER 11 측정하라! ____디자인 측정에 따른 효과는 무엇인가? ____A/B 테스트를 거부하는 궁색한 변명 ____A/B 테스트 시점과 리서치 시점 ____제대로 된 A/B 테스트란 어떤 것인가 ____제대로 된 정성평가란 어떤 것인가 ____어떻게 함께 활용되는가? ____사용자가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 지표로 알 수 있나? ____알아두면 좋은 것: 데이터 분석에서 발생하는 실수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12 더 빨라져라! ____다분야 융합팀으로 일하기 ____제품과 UX 역할 결합하기 ____가능하면 개발 안 하기 ____알아두면 좋은 것: 한 번에 다 하려고 들지 말고 빨리 출시하라! ____당장 시작하기! __CHAPTER 13 대단원

Description

멋진 사용자 경험은 피상적이지만 점점 중요도는 올라가고 있다. 누구나 좋아할 법한 제품, 누구나 돈을 주고 구입할 법한 제품은 결국 멋진 사용자 경험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사용자를 이해하는 방법부터 시작해서 돈을 주고 살 제품을 구현하는 방법까지를 설명한다. 출판사 리뷰(옮긴이들의 수다) Q. 가장 인상 깊었던 바는? 박기석: UX 실무자가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을 꽤 효율적으로,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빠르게 리서치하는 방법들이나 스케치, 다이어그램,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등을 언제 써야 하고 언제 쓰지 말아야 하는지를 명쾌하게 제시해주는 점이 실무자 입장에서 훌륭한 가이드라인이 된다. Q. 어떻게 활용하는 게 좋을까? 김수영: 이 책은 1부 검증, 2부 디자인, 3부 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처음부터 책을 정독하는 독자도 있겠지만, 숨 가쁘게 돌아가는 실무현장에서 그럴 여유는 없을 듯하다. 필요한 부분, 필요한 내용부터 읽어봐도 도움이 된다. 전체 내용은 스타트업에서 일어나는 제품 구현 업무 전반을 관통하고 있지만, 각 장은 독자적인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실무에 적용해볼 수 있게 설명되어 있다. 이건 UX와 디자인 실무자들에게 권하는 방법이다. 제품 관리자나 프로젝트 관리자라면 책 전체를 읽어볼 것을 권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린 방식에 기반을 둔 제품 구현 과정을 실무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어떻게 접근하든 린 UX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가장 먼저 '서문'을 읽어보고 시작하는 게 좋다. Q. 지금 당장 사용하려면? 박기석: 이 책의 키워드를 뽑으라면, 속도, 검증, 적당한 디자인, 지표 등을 들 수 있다. 이 모두는 최소 존속 제품MVP을 토대로 한다. 지금 당장 업무 프로세스를 바꾸기는 창업을 하지 않는 한 당연히 어렵다. 그렇다면 우선 2장에서 빠르게 리서치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실천해보길 추천한다. 그리고 5장에서 가설 검증을 위해 필요한 도구를 익히고 8장에서 디자인에 필요한 산출물의 종류와 장단점, 그리고 사용해야 하는 시기를 판단하는 방법을 익혀 활용한다면 린 UX의 장점의 많은 부분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배포한 뒤에는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AARRR(Acquisition, Activation, Retention, Revenue, Referral)을 보고 내가 잘했는지 확인하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한다. Q. 프로젝트에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김수영: 지금 일하는 방식에서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하는 것부터 시도하고 지속해보라. 문제 해결을 위해 솔루션을 실행해서 그 효과를 확인한 다음 개선해가는 것은 제품 구현 과정뿐만 아니라 업무 변화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사용자 의견을 듣고 싶은데 제대로 된 조사를 할 시간이 없는가? 조사 방법을 바꿔봐라. 2장과 3장에 당장 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UX 품질에 대한 논쟁을 지속하는가? 6장을 확인해보라. 일단 가장 필요한 것 그리고 당장 할 수 있는 것부터 실행에 옮겨보길 권한다. 처음부터 잘될 거란 욕심은 금물이다. 한번하고 그다음에 더 잘하면 된다. 그렇게 지속해본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