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_ 이 책의 범위와 기본구조는 이렇습니다
1장 회계의 기초 개념부터 알아보자
01 자산·부채·자본 : 우리 기업은 무엇을 얼마나 가지고 있을까?
부채와 자본은 자산의 꼬리표 / 기업의 성장이 가장 간절한 사람은?
[회계상식 플러스+] 적정부채비율이란?
02 수익·비용·이익 : 우리 기업은 사업을 통해 돈을 얼마나 벌었을까?
기업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column] 사업의 목적은?
03 비용·원가 : 이 사업을 하면 정말 돈을 벌 수 있을까?
비용과 원가의 관계는? / 왜 비용에서 원가를 찾아내야 할까?
[column] 메모리반도체업계의 치킨게임
2장 거래는 언제 어떻게 기록할까?
01 차변과 대변 : 복식부기와 금전출납부의 차이는?
차변과 대변은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관계다? / 거래는 자산, 비용, 부채, 수익 4요소의 결합 / 재무제표에 당기순이익(순손실)이 나타나는 원리
02 수익과 비용의 인식 : 수익과 비용은 언제 얼마큼 기록해야 할까?
발생주의 /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 / 계속기업의 원칙
03 분개 : 실제로 거래를 기록해보자!
거래는 결국 자산이 늘었는지 줄었는지를 표시하는 것 / 실전! 거래기록 분개해보기 / 실전! 거래기록 결산해보기 / 분개를 하면 거래의 실체가 보인다
04 재무제표 : 거래는 어떻게 재무제표로 만들어질까?
4가지 재무제표의 작성흐름
[회계상식 플러스+] 기업의 재무제표를 찾아보는 방법
[회계상식 플러스+] 다양한 회계기준 비교 :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 IFRS, K-IFRS, 중소기업회계기준
3장 재무상태표에서는 무엇을 살펴봐야 할까?
01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표를 살펴봐야 하는 이유는?
02 당좌자산 : 기업에 현금이 많으면 좋은 걸까?
당좌자산의 종류 / 당좌자산에서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내용은?
03 재고자산 : 기업에 재고가 많이 쌓이면 뭐가 나쁠까?
재고자산은 핵심 자산이자 위험요소
04 투자자산 : 장기투자로 생긴 수익은 어떻게 인식할까?
원가법과 지분법
[회계상식 플러스+] 투자자산과 기업가치
05 유형자산 : 재무상태표상의 부동산가치는 믿을 수 있을까?
정액법 vs. 정률법 / 유형자산 가치변동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06 무형자산 : 형태도 없는데 왜 자산이지?
연구개발비를 무형자산으로 인식하는 이유6 / 연구개발비를 둘러싼 회계처리 논란 / 영업권을 재무상태표에 기록할 수 있는 기준은? / 영업권 회계처리방식에 대한 2가지 기준
[회계상식 플러스+] 셀트리온 사례로 본 제약업체 개발비 이슈
[column] M&A의 성공조건
07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 우리 기업의 빚은 갚을 만한 수준일까?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 유동성 장기부채
[column] 신용평가와 신용등급
08 퇴직급여충당부채 : 왜 직원의 퇴직금이 부채가 되는 걸까?
퇴직급여충당부채를 회계처리해야 하는 이유 / 퇴직급여충당부채를 회계처리하는 방법 / 그 밖의 충당금의 처리방법
[회계상식 플러스+] 손상차손에 따른 유통업계의 3중고
4장 손익계산서에서는 무엇을 살펴봐야 할까?
01 매출원가·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 이것만 봐도 기업의 업종을 알 수 있다?
손익계산서의 주요 내용 / 판관비 비중을 보면 기업이 보인다
02 영업이익과 EBIT : 경영계획에 반영되는 이익개념은 따로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