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숫자에서 막히는 직장인을 위한 실전 회계상식

채수윤
319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4)
Comment
More

회계의 기초부터 사업성평가와 기업가치평가에 이르는 회계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단계적, 체계적으로 쉽게 설명함으로써 직장인들이 회계력을 높여 성장과 성공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회계의 개념을 겉 핥기 식으로 익히는 것이 아닌, 실제 기획이나 영업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과 함께 관리자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회계 및 자금 관련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한 회계나 재무관리와 연관된 사회적 이슈 등을 칼럼 등으로 구성해 독자들이 내용을 좀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했으며, 재무분석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엑셀 기능 사용법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을 보면 회계만 제대로 알아도 회사 내부 운영 개선이나 부서 간 협의, 주요 의사결정 등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_ 이 책의 범위와 기본구조는 이렇습니다 1장 회계의 기초 개념부터 알아보자 01 자산·부채·자본 : 우리 기업은 무엇을 얼마나 가지고 있을까? 부채와 자본은 자산의 꼬리표 / 기업의 성장이 가장 간절한 사람은? [회계상식 플러스+] 적정부채비율이란? 02 수익·비용·이익 : 우리 기업은 사업을 통해 돈을 얼마나 벌었을까? 기업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column] 사업의 목적은? 03 비용·원가 : 이 사업을 하면 정말 돈을 벌 수 있을까? 비용과 원가의 관계는? / 왜 비용에서 원가를 찾아내야 할까? [column] 메모리반도체업계의 치킨게임 2장 거래는 언제 어떻게 기록할까? 01 차변과 대변 : 복식부기와 금전출납부의 차이는? 차변과 대변은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관계다? / 거래는 자산, 비용, 부채, 수익 4요소의 결합 / 재무제표에 당기순이익(순손실)이 나타나는 원리 02 수익과 비용의 인식 : 수익과 비용은 언제 얼마큼 기록해야 할까? 발생주의 /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 / 계속기업의 원칙 03 분개 : 실제로 거래를 기록해보자! 거래는 결국 자산이 늘었는지 줄었는지를 표시하는 것 / 실전! 거래기록 분개해보기 / 실전! 거래기록 결산해보기 / 분개를 하면 거래의 실체가 보인다 04 재무제표 : 거래는 어떻게 재무제표로 만들어질까? 4가지 재무제표의 작성흐름 [회계상식 플러스+] 기업의 재무제표를 찾아보는 방법 [회계상식 플러스+] 다양한 회계기준 비교 :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 IFRS, K-IFRS, 중소기업회계기준 3장 재무상태표에서는 무엇을 살펴봐야 할까? 01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표를 살펴봐야 하는 이유는? 02 당좌자산 : 기업에 현금이 많으면 좋은 걸까? 당좌자산의 종류 / 당좌자산에서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내용은? 03 재고자산 : 기업에 재고가 많이 쌓이면 뭐가 나쁠까? 재고자산은 핵심 자산이자 위험요소 04 투자자산 : 장기투자로 생긴 수익은 어떻게 인식할까? 원가법과 지분법 [회계상식 플러스+] 투자자산과 기업가치 05 유형자산 : 재무상태표상의 부동산가치는 믿을 수 있을까? 정액법 vs. 정률법 / 유형자산 가치변동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06 무형자산 : 형태도 없는데 왜 자산이지? 연구개발비를 무형자산으로 인식하는 이유6 / 연구개발비를 둘러싼 회계처리 논란 / 영업권을 재무상태표에 기록할 수 있는 기준은? / 영업권 회계처리방식에 대한 2가지 기준 [회계상식 플러스+] 셀트리온 사례로 본 제약업체 개발비 이슈 [column] M&A의 성공조건 07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 우리 기업의 빚은 갚을 만한 수준일까?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 유동성 장기부채 [column] 신용평가와 신용등급 08 퇴직급여충당부채 : 왜 직원의 퇴직금이 부채가 되는 걸까? 퇴직급여충당부채를 회계처리해야 하는 이유 / 퇴직급여충당부채를 회계처리하는 방법 / 그 밖의 충당금의 처리방법 [회계상식 플러스+] 손상차손에 따른 유통업계의 3중고 4장 손익계산서에서는 무엇을 살펴봐야 할까? 01 매출원가·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 이것만 봐도 기업의 업종을 알 수 있다? 손익계산서의 주요 내용 / 판관비 비중을 보면 기업이 보인다 02 영업이익과 EBIT : 경영계획에 반영되는 이익개념은 따로 있

Description

회계를 모르는 직장인을 사업성평가까지 도전하게 해주는 책! 비회계분야 실무자들은 평소 회계나 재무관리가 자신과는 관계없는 분야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당장 회의자료나 기획자료를 만들더라도 회계 관련 정보는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마련이죠. 특히 사업과 관련한 분석이나 신사업계획에 대한 자료에는 이런 정보가 빠질 수 없습니다. 의사결정권자 입장에서 ‘숫자’가 빠진 자료 자체를 신뢰할 수 없을 테니까요. 이렇듯 직장인에게는 숫자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이자 늘 머리를 아프게 하는 골칫덩어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회계와 재무관리에 대한 개념만 이해하면 그 골칫덩어리가 성과를 인정받고 한 단계 성장하는 기회로 바뀔 수 있습니다. 숫자가 탄탄한 자료는 그만큼 더 큰 신뢰와 설득력을 발휘하기 때문이죠. 이 책은 회계의 기초부터 사업성평가와 기업가치평가에 이르는 회계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단계적, 체계적으로 쉽게 설명함으로써 직장인들이 회계력을 높여 성장과 성공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회계의 개념을 겉 핥기 식으로 익히는 것이 아닌, 실제 기획이나 영업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과 함께 관리자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회계 및 자금 관련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또한 회계나 재무관리와 연관된 사회적 이슈 등을 칼럼 등으로 구성해 독자들이 내용을 좀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했으며, 재무분석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엑셀 기능 사용법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보면 회계만 제대로 알아도 회사 내부 운영 개선이나 부서 간 협의, 주요 의사결정 등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재무제표의 최종 결과치가 아니라 기업의 실질적인 상황을 파악하라 여러분은 재무제표에서 어떤 숫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나요? 단순히 매출이나 영업이익 등의 결과치를 알고 싶다면 굳이 회계를 자세히 알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회계를 알아야 하는 진짜 이유는 재무제표상 주요 항목의 분석과 경쟁사와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현재 위치와 문제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을 찾아내는 데 있습니다. 이 책은 바로 위와 같은 측면에 초점을 맞춰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여러분이 기업의 실질적인 상황을 파악하여 새로운 사업기회와 경쟁력을 창출해내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먼저 1장에서는 회계를 잘 모르는 직장인을 위해 자산, 부채, 자본 등 회계에 쓰이는 주요 용어와 개념들을 쉽게 풀어주고 있습니다. 특히 실제 사업현장에서의 사례를 통해 각 용어 등에 어떤 의미가 있고,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2장에서는 회계의 출발점이 되는 거래가 어떻게 기록되고, 그 거래의 기록이 어떻게 재무제표로 만들어지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실제 거래사례를 차근차근 따라가며 각 거래가 어떤 기준과 원리에 따라 기록되며, 그 기록의 결과물이 어떻게 짝을 이뤄 재무제표로서 정리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거래의 출발부터 결산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3~6장까지는 사업에 따른 모든 거래가 정리되는 결과물인 재무제표, 즉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 현금흐름표에 대해 설명합니다. 특히 각 재무제표를 ‘왜 알아야 하는지’와 ‘무엇을 중심으로 살펴봐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설명함으로써 실무 측면에서의 이해와 활용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7~9장에서는 6장까지의 내용 이해를 토대로 회계를 배우는 진짜 목적인 사업성평가, 기업가치평가, 재무분석에 대해 설명합니다. 즉, 실제 사업현장에서 사업기회를 어떻게 평가해서 전략적으로 추진할 것인지와 기업의 실질적인 모습을 분석해서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책은 여러분이 회계 관련 전 영역 간의 연관관계를 이해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활용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