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사적인 마음의 탐색

최현미 and 4 others · Essay
288p
Where to buy
Rate
3.2
Average Rating
(5)
세상에 마냥 행복하기만 한 사람은 없다. 우리는 자주 우울하고, 불안하며, 때로 분노한다. SNS에서는 행복 일색의 삶을 가장하지만 실상, 마음속에는 다양한 감정의 폭풍이 친다. 우리를 괴롭히는 이 ‘마음의 문제’들은 대체로 타인의 시선에서 잉태되는데, 이 사회적 관계가 만든 날것의 감정은, 아무도 들여다볼 수 없는, 가장 사적인 내 마음속에서 뿌리를 내리고 발아한다. 우리는 이 마음들을 어떻게 돌봐야 할까? 이 책은 솔직한 대화에서 시작했다. 《가장 사적인 마음의 탐색》의 다섯 필자들은, 사람들이 내색하지 않고 살지만, 대체로 겉보기와는 달리 속마음이 아프다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우리는 왜 모두 아플까’ 하는 질문을 던졌고, 아무도 들여다볼 수 없는 가장 사적인 영역, ‘내 마음’을 열심히 들여다보아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그렇게 가장 사적인 마음의 문제를 탐색해보기로 결의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이 구체적으로 겪는 개인의 문제이면서도 한국 사회의 모순이 함께 녹아 있는 감정을 정리해 보니 우울, 분노, 나르시시즘, 콤플렉스, 집착, 번아웃, 행복, 사랑, 8개가 추려졌다. 다섯 저자는 이 주제들을 학문적으로 깊이 파헤치는 전문가와, 가장 치열하게 삶에서 경험한 당사자를 찾아 인터뷰했다. 그렇게 다섯 저자는 뇌과학자 정재승, 정신과 전문의 윤홍균, 하지현, 김건종,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가수 핫펠트, 방송인 홍석천을 만났고, 각자가 추적했던 마음들을 자신의 경험에 빗대어 곱씹으며 파고들었다. 나아가 자신의 삶에서 새로운 고민을 던졌고, 지나간 인터뷰를 회고했다. 새로운 참고 문헌들을 뒤적였고, 막연하게 그렸던 사회적 맥락을 좀 더 선명하게 정리했다. 책은 그렇게 이 시대 사람들의 마음의 지형을 그리게 되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라 1장 우울: 한없이 가라앉고 무력해지는 마음 사소한 것이라도 결정해 보세요 뇌과학자 정재승의 우울 탐색 _ 나윤석 2장 집착: 그만두고 싶은데, 멈출 수 없다 내가 내 삶의 대주주가 되어야 합니다 정신과 전문의 하지현의 집착 탐색 _ 나윤석 3장 행복: 이토록 개인적이고 사적인 순간 어둠을 받아들여야, 진정한 행복이 시작됩니다 정신과 전문의 김건종의 행복 탐색 _ 박동미 4장 사랑: 애착이 사라진 무한 경쟁 시대의 사랑 사랑은 언제나 우리의 생존 전략이었다 정신과 전문의 윤홍균의 사랑 탐색 _ 최현미 5장 나르시시즘: 자기애와 자존감 사이에서 비틀거리다 나 자신에게 거리를 둬야, 인간이 보입니다 소설가 정유정의 나르시시즘 탐색 _ 박동미 6장 분노: 강자에겐 공포를, 약자에겐 분노를 느낀다면 온라인에서 벗어나, 문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범죄심리학자 이수정의 분노 탐색 _ 안진용 7장 번아웃: 최선을 다한 대가로 사그라든 열정 다 좋은데 일단은 살자고요 가수 핫펠트의 번아웃 탐색 _ 김인구 8장 콤플렉스: 남들보다 못하다는 열등감 사이에서 극복하지 말고, 일단 받아들여야 합니다 방송인 홍석천의 콤플렉스 탐색 _ 안진용

Description

매일매일 감정의 파도 속에서 분투하는 우리의 마음속 폭풍에 대하여 = 우울, 분노, 나르시시즘, 콤플렉스, 집착, 번아웃, 행복, 사랑 = 정유정, 핫펠트, 이수정, 정재승, 홍석천, 윤홍균, 하지현, 김건종과 함께 탐색한 우리 마음의 지형도 ‘우리는 모두 아프다’ ‘나는 어디가 아픈가?’ ‘다른 사람들은 지금, 어디가 아프지?’ 서로의 속마음을 보고, 나 자신에게 질문해야 한다 시작은 코로나였다. 우울하다는 말이 한창 넘쳐나던 코로나19 창궐기에, 다섯 저자는 서로가 느끼는 고립감과 스트레스를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우리는 모두 아프다’는 허심탄회한 토로는 ‘아프면 아프다고 말해야 한다’는 나름의 진단에 도달했고, 구체적으로 ‘다른 사람들은 지금, 어디가 어떻게 아플까?’ 라는 커다란 질문으로 나아갔다. 그렇게 다섯 저자는 8개의 감정을 설명할, ‘마음의 당사자’들을 찾아 나선다. 저자 나윤석은 정재승을 만나 우울과 뇌과학의 관계를 곱씹으며 직장인으로서 가장 우울했을 때를 반추했는데, 뜻밖에도 정재승 또한 자신도 날마다 우울을 경험한다고 고백한다. 이 말을 들은 저자는 우울이라는 감정이 사회적 성취와 세간의 평가와 상관없이 감기처럼 찾아오는 거구나, 깨달으며 묘한 위안을 받는다. 정재승도 우울하고, 나도, 당신도 우울하다는 깨달음이 ‘나만 아프다’는 외로운 감각을 불식시킨 것이다. 또한 저자 나윤석은 정신과 전문의 하지현을 만나 한국의 교육 집착 세태를 보며 딸의 사교육 문제를 고찰하기에 이른다. 저자 박동미는 김건종을 만나 행복을 과시하고, 집착하는 문화적 움직임을 성찰하고, 소설가 정유정을 만나 시대의 나르시시즘적 풍경을 조망했다. 최현미는 사랑의 진화적 유래와, 역사성, 그리고 개인적 구원의 의미를 해찰한 뒤, 윤홍균을 만나 사랑이 절실하면서도, 한없이 사랑에 서툰 이 시대 사람들을 성찰했고, 김인구는 가파른 성공 뒤에 지독한 번아웃을 겪고, 용기 있는 모습으로 스스로 탈바꿈시키며, 가수 인생의 2번째 스테이지에 오른 가수, 핫펠트를 만났다. 안진용은 영화 <해피투게더>가 개봉하던 즈음, 커밍아웃을 하자마자 한국 사회가 한목소리로 상처 입혔던 홍석천을 만나 ‘콤플렉스’에 대한 달관의 이야기를 들었고, 범죄심리학자 이수정을 만나 미디어에서 비쳐지는 일촉즉발의 ‘국민적 분노’를 객관적으로 분석했다. 이 책은 권위자들의 견해를 빌리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자기 삶과 자기 고민과 섞여 들어간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했다. 책에서도 강조되었듯이 이 마음의 문제는 무엇보다도 ‘나 다움’이 중요하다. 결국 각자가 찾아 나서야 하는 ‘나만의 길’인 것이다. 아래 소개한 정신과 전문의 김건종의 말에, 주제의식이 녹아 있다. 순전히 나만 느끼는, 오롯이 사적인 나만의 행복은 타인의 것과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자기 자신에게 말을 걸 수 있어야 한다. 다섯 저자들 또한 이 맥락에서 자기 자신에게 말을 걸고, 마음의 탐색을 시작했다. 우린 자꾸 ‘보편적인 행복’이 있을 거라 믿어요. 그래서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지?’ ‘권위자는 뭐라고 말했지?’ ‘그들 얘기가 옳은 거겠지?’ 하게 되고, 결국 괴리가 생기는 것이죠. 솔직히 이게 정말 우리 사회의 큰 문제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권위자나 전문가의 말을, 타인이 규정하는 행복이나 타인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가치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 말이에요. 행복은 내 자리에서 찾는 것이니까, 내 자신에게 먼저 질문할 수 있어야 해요. (88쪽) ‘왜 다들 행복을 과시하는가?’ 셀피와 SNS 시대 속 자존감과 나르시시즘 소설가 정유정은 자기 객관화가 전제되지 않은 채, 그저 자존감과 자존심을 높이라는 조언만 팽배한 작금의 세태를 꼬집는다. 그중에서도 SNS의 셀피 문화를 지적하며 이상적으로 미화되고, 부풀려진 자아의 표상이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지 역설한다. 저자 박동미도 행복에 관한 김건종의 이야기와 연이어서, 나르시시즘 문제를 고찰하게 된다. SNS에 난무하는 수백만 개의 해시태그를 관찰하며, 왜 타임라인에서 타임의 행복은 쉬워만 보이는지, 왜 나만 불행해 보이는지, 곱씹으며 이미 하나의 문화가 된, 행복을 과시하는 행복 중독적 행위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연해진 나르시시즘은 지극히 개인의 문제인 동시에, 한 시대의 풍경이 되었음을 지적하는데, 수많은 개인들이 비대해진 ‘내 안’에 갇혀 타인을 볼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정신과 전문의 윤홍균이 말하듯이, 낮은 자존감을 잘 회복한 사람은 나르시시스트가 아니라 자기 허물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된다. 낮은 자존감에 갇힌 사람들은 대체로 인생에서 제대로 사랑과 지지를 받아 본 경험이 적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SNS에 즐비한 나르시시즘적 셀피의 행렬, 혹은 행복 과시, 즉 타인이 좋다고 여기는 행복을 좇으며 남에게 보이기 위한 해시태그(#)대열은 저마다 서로 사랑하지 않고 지지를 제대로 받아본 적 없기 때문에 비롯된 아우성일까? 홍석천 또한 SNS에서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삶’을 사는 불행한 이들을 지적한다. 무엇이 우리 스스로의 마음 탐색을 가로막고 있는 것일까? 정신과 전문의 김건종이 제시한 ‘행복 중독’이라는 개념은 이 질문에 답이 되어 준다. 타인의 시선이 중시된, 그저 그런 행복 중독에서 벗어나야, 진정한 행복에 가까워진다고 역설하는데, 이 지점에서 저자 박동미 또한 행복에 관한 긴 글을 쓰고 읽는 자신과 (이 책의 ‘행복’ 파트를 읽을) 독자들 모두 어느 정도, 행복에 집착하고 있음을 인정한다. 나아가 우리는 결국 그다지 행복하지 않았던 순간을 깊이 기억하기도 하고, 삶에서 가장 불편했던 순간을 가치 있다고 여기는 존재임을 숙고한다. 결국 행복에 대해 사유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김건종은 다양한 어두운 감정과 그늘을 받아들일 줄 아는 태도를 강조하고, 우리가 추구할 것이 과연 행복뿐이냐는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각자의 행복의 길은 저마다 다를 수 있지만 김건종의 경우, ‘사람’ 이었고 ‘누군가와 함께하는 삶’이었다. 그리고 사랑을 강조한다. 자신의 깊고 오랜 감정들을 나눌 수 있는 상대를 만드는 일, 일반적인 사회적 관계에서 잘 쓰지 않는 ‘친밀함’을 토대로 만들어지는 그 관계 말이다. 이 맥락에서 최근 들어서 ‘이별 후유증’ 즉, ‘연애의 실패’ 후 상담을 오는 환자들이 늘었음을 지적한다. ‘삶에서 오는 자연스러운 괴로움’을 견디지 못하고 어두운 감정 자체를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늘었다는 것이다. 사랑을 하기 위해서는 상처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 만큼, 충분히 강한 내면이 갖춰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모든 게 갖춰져 있어도, 이 사랑 또한 쉽지 않다. 무한경쟁시대의 사랑과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법 저자 최현미는 우리 모두가 어느 정도 애정 결핍 상태임을 지적하며, 지금 이 시대의 사랑이 어려움에 처했음을 강조한다. 나아가 너나없이 예민하고 고슴도치같이 뾰족뾰족한 우리가 어떻게 사랑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지며, 게랄드 휘터가 말한 애착과 경쟁의 관계를 소개한다. 그렇게 작금의 경쟁 시스템이 사랑으로 가는 길을 막고 있다는 시대적 맥락을 읽어내며, 윤홍균에게 ‘사랑 수업’을 받기로 결심한다. 윤홍균은 예전에는 대가족 안에서 다른 가족이 연애와 사랑을 어떻게 하는지 몸소 관찰하며 자랐지만 지금은 그저 몇몇 친구의 사랑의 데이터, 드라마, 인터넷 게시판, 포르노라는 정보가 거의 전부가 되다 보니 더욱더 사랑이 어려워졌다고 말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사랑의 형태라는 현실적 대안과 중년과 노년의 사랑에 롤모델이 없는 현실을 지적하며 미디어에서 강조하는 이별의 과한 감정 소모 같은 정형화된 이미지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최현미는 이 사랑 수업을 찬찬히 따라가며, 인류 진화 역사에서 줄곧 중요한 생존 전략이었던 ‘사랑’이 현재 어떤 위기에 처했는지 조망한다. 책은 가장 주관적으로 보이는 이 마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