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본성에 관한 10가지 이론

레슬리 스티븐슨 and other
49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23)
0.5
3
5
Rate
3.5
Average Rating
(23)
Comment
More

각종 서양철학 담론은 물론, 유교와 힌두교, 성서까지 인간의 본성에 관한 여러 문제와 중요한 의문들에 대한 이론들을 간결하게 해설했다. 1974년 초판 출간 이후 현재까지 동서양 사상 분야에서 최고의 개론서로 명성을 얻어온 책이다. 한국에서도 20여년이 넘게 스테디셀러로 큰 인기를 누린 책으로, 이번에 출간된 책은 2004년 나온 4번째 개정판을 옮긴 것이다. 이 책은 지은이 레슬리 스티븐슨이 1970년 철학을 처음 공부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개론서 성격으로 집필한 것이 그 시초이다. 철학과 사상을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로 인간의 본성, 즉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택하고, 고대부터 현대까지 여러 사상가들이 내놓은 다양한 주장들을 소개하고 비교하며 나아가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까지 답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가지 이론을 다룬 초판 이후 출간된 4판에서는 에드워드 O. 윌슨의 진화생물학을 비롯해 촘스키, 뒤르켐 등의 주장을 포괄적으로 소개한 진화론에 대한 장이 추가, 총 10가지 사상을 다루고 있다. 또한 "사상사적 간주곡"이라는 장을 따로 마련하여, 본 장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고대 후기부터 근대 전기의 사상가들의 이론까지 포함시켰다. 각각의 이론을 보다 쉽게 비교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각 이론들마다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에 관한 이론', '인간의 문제점에 관한 진단', '인간의 문제점에 관한 처방' 등에서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장에서 여러 철학/사상의 유용한 주장들을 다시금 되새겨보면서 독자로 하여금 각자 이 세상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데 있어 나름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게 했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Rating Graph
Avg 3.5(23)
0.5
3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서론 상반되는 이론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상반되는 이론들 상반되는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1장 유교 : 성인(聖人)들의 도리(道理)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진단 이후의 발전 비판적 토론 더 읽을 거리 제2장 우파니샤드 힌두교 : 궁극적인 지식을 향한 추구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 진단 처방 서로 다른 해석들 샹카라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 라마누자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비판적 토론 더 읽을 거리 제3장 성서 : 하느님과 관계된 인간 형이상학적 배경 : 유대-기독교적 개념에서의 하느님 인간의 본성에 관한 히브리의 이론 진단: 인간의 불복종 처방: 하느님의 언약과 회복 신약성서 신약성서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 진단: 죄에 대한 신약성서의 견해 처방: 예수를 통한 하느님의 구원 기독교의 영적인 부분과 초자연적인 부분 더 읽을 거리 제4장 플라톤 : 이성의 지배 플라톤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적 배경: 형상의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영혼의 세가지 구조 진단: 영혼과 사회간의 부조화 처방: 철인군주의 교육과 지배를 통한 영혼과 사회간의 조화 더 읽을 거리 제5장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의 완성이라는 이상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적 배경: 성질로서의 형상, 그리고 네가지 질문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 이성을 포함한 여러 능력의 집합체인 영혼 이상과 진단: 인간의 완성, 덕과 악,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지혜 깨달음, 혹은 처방 : 정치적 숙련과 지적 관조 더 읽을 거리 사상사적 간주곡 플라톤 이후의 고대 사상 : 철학은 과연 어떤 인생 지침을 제공하는가? 스토아 학파 / 에피쿠로스 학파 / 신플라톤주의 중세: 신앙에서 이성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아우구스티누스(354-430) / 이슬람 철학자들 / 아퀴나스(1224-1274) 종교개혁: 신앙의 권위를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 과학의 발전 : 어떻게 과학적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까? 홉스(1588-1679) / 데카르트(1596-1950) / 스피노자(1632-1677) 계몽주의: 과학이 우리 삶의 지침이 될 수 있는가? 흄(1711-1776) / 루소(1712-1778) / 콩도르세(1743-1794) 제6장 칸트 : 이유와 원인, 역사와 종교 칸트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과 지식의 한계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지각과 개념, 이유와 원인과 자유의지 진단: 이기심과 사회 처방: 순수한 종교와 문화적 발전 더 읽을 거리 제7장 마르크스 : 인간 사회의 경제적 기반 마르크스의 생애와 저술 역사적 유물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경제학, 사회, 그리고 의식 진단: 소외, 자본주의, 그리고 착취 처방: 혁명과 유토피아 더 읽을 거리 제8장 프로이트 : 정신의 무의식적 기반 프로이트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적 배경 : 신경학, 결정론, 그리고 유물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정신적 결정론, 무의식, 본능, 그리고 아동발달 진단: 정신적 부조화, 억압, 그리고 신경증 처방: 정신분석 요법 비판적 논의: 프로이트는 사이비 과학자인가? 비판적 논의: 도덕론자로서의 프로이트 더 읽을 거리 제9장 사르트르 : 근본적인 자유 사르트르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 : 의식과 대상, 무신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존재와 본질, 부정과 자유 진단 : 불안과 불성실, 타인과의 갈등 방 : 반성적인 선택 "제1윤리학" : 만인을 위한 본래성과 자유 "제2윤리학" : 사회와 인간의 욕구 더 읽을 거리 제10장 인간의 본성에 관한 다윈주의 이론 진화론 다윈의 자연선택론 / 진보인가, 진보가 아닌가? / 유신론자인가, 무신자인가? 진화론에 의거한 인간의 본성 뒤르켐과 표준 사회과학 모델 / 스키너와 행동주의 / 촘스키와 인지심리학 / 틴버겐과 동물행동학 / 윌슨과 사회생물학 / 사회생물학에 대한 반박 / 투비와 코스미데스 : 통합적 인과 모델 진화론에 의거한 진단과 처방 스키너 : 행동 기술에 관하여 / 로렌츠 : 인간의 공격성에 관하여 / "생물학적 결정론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