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과학 철학

C. G. 헴펠
232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3)
Comment
More
🏛️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논리실증주의 학파들 가운데 베를린 학파의 지도자였으며, 나치가 득세하자 미국에 망명하여 예일, 하버드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한 바 있는 C. G. 헴펠의 역작. 자연 과학의 방법론과 자연 과학에 관한 철학에서 논의의 중심을 이루는 몇 가지 주제를 소개하는 과학 철학의 입문서이다. 자연 과학을 대상으로 삼고 있는 이 책은 가설, 법칙, 이론, 과학적 개념 형성 등의 문제 등을 개관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철학을 하였다> 외 다수의 철학 책을 옮긴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곽강제 교수의 신중한 번역이 과학사의 유명한 실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특별한 과학 지식의 도움 없이도 저자의 요점을 쉽게 깨달을 수 있을 정도로 간명하고 조직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과학 철학 전공자들은 물론 일반 독자들에게도 이해하기 편하도록 구성했다.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말 5 「철학의 기초」총서에 대하여 11 머리말 13 1_이 책의 의도와 목표 17 2_과학적 탐구-발명과 시험 21 과학적 탐구 과정의 한 실례 21 | 가설을 시험하는 기본 절차 26 | 귀납이 과학적 탐구에서 하는 역할 33 3_가설에 대한 시험-시험의 논리와 힘 51 실험적 시험 대 비실험적 시험 51 | 보조 가설의 역할 57 | 결정적 시험 63 | 미봉 가설 68 | 원리적 시험 가 능성과 경험적 의미 72 4_확증과 승인 가능성에 관한 기준 77 입증 증거의 양과 다양성과 정확성 78 | “ 새로운”시험 명제에 의한 확증 84 | 이론적 입증 87 | 단순성 91 | 가설의 확률 100 5_법칙과 과학적 설명에서의 역할 103 과학적 설명의 두 가지 기본 조건 103 | 법칙-연역적 설 명 107 | 보편 법칙과 우연한 일반 명제 115 | 확률적 설명의 기초 사항 123 | 통계적 확률과 확률 법칙 125 | 확률적 설명의 귀납적 성격 139 6_이론과 이론적 설명 145 이론의 일반적 특성 145 | 내부 원리와 교량 원리 149 | 이론적 이해 154 | 이론적 대상의 격위 158 | 설명과 “익숙한 것으로의 환원” 168 7_개념 구성 171 정의 171 | 조작적 정의 178 | 과학적 개념의 경험적 의 미와 체계적 의미 183 | “ 조작적으로 무의미한 물음”에 대하여 193 | 해석 문장의 성격 195 8_이론적 환원 201 기계론과 생기론의 논쟁 201 | 용어의 환원 204 | 법칙 의 환원 207 | 기계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 210 | 심리 학의 환원-행동주의 212 독서 안내 221 찾아보기 225

Description

철학서적 전문출판 서광사에서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1966)를 번역한 책 『자연 과학 철학』을 출간하였다. 이 책의 저자인 C. G. 헴펠은 논리실증주의 학파들 가운데 베를린 학파의 지도자였으며, 나치가 득세하자 미국에 망명하여 예일, 하버드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번역은 『나는 이렇게 철학을 하였다』 등을 옮긴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곽강제 교수가 맡았다. 헴펠 교수의 『자연 과학 철학』은 자연 과학의 방법론과 자연 과학에 관한 철학에서 논의의 중심을 이루는 몇 가지 주제를 소개하는 과학 철학의 기초 입문서이다. 자연 과학을 대상으로 삼고 있는 이 책은 가설, 법칙, 이론, 과학적 개념 형성 등의 문제 등을 개관하고 있다. 본문은 모두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이 책의 집필 의도와 목표를 밝히고 있다. 이어지는 2-8장에서는 과학적 탐구의 여러 가지 근원적 목표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고찰하고 있다. 우리는 과학적 지식에 어떻게 도달하며, 그 지식은 어떻게 입증되고 또 어떻게 변하는지, 나아가 과학이 경험적 사실을 어떻게 설명하고, 과학적 설명이 어떤 종류의 이해를 우리에게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간다. 이 분야의 전문가답게 정확하고 신중한 번역에 공들인 곽강제 명예교수가 소개하듯이 이 책은 “과학사의 유명한 실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누구나 생동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 특별한 과학 지식의 도움 없이도 저자의 요점을 쉽게 깨달을 수 있을 정도로 간명하고 조직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과학 철학 전공자들은 물론 일반 독자들에게도 이 책이 좋은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Collections

1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