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죽거리 잔혹사

유하
172p
Where to buy
content
Rate
3.8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영화진흥위원회는 한국 영화의 정사와 기록을 발굴하고 정리하는 의미에서 제작된 극영화 가운데 우수한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1983년부터 매년 ≪한국 시나리오 선집≫을 발간하고 있다. 2004년 한국시나리오 선집에는 총 10편의 시나리오가 선정되어, <귀여워>, <말죽거리 잔혹사>, <범죄의 재구성>, <빈집>, <송환>, <아는 여자>, <알포인트>,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인어공주>, <태극기 휘날리며>가 수록되었다. ≪한국 시나리오 선집≫은 2004년 한국 영화의 흐름을 요약하면서 동시대에 가장 뛰어난 작품성과 시나리오 완성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2004년 한국시나리오선집 심사 총평 본문 작품해설 시나리오_유하 제작_(주)싸이더스 감독_유하 제작년도_2004년 나오는 사람들_현수, 우식, 유진, 찍새, 햄버거, 종훈, 성춘

Description

<결혼은, 미친짓이다>를 끝내고 한가한 시간을 보내던 유하 감독은 종종 이소룡의 절권도 얘기를 꺼냈다. 그건 차기작에 대한 구상인 동시에 그 자신의 오랜 기억에 대한 향수어린 반추이기도 했다. 그는 절권도가 지닌 기막힌 동작과 에너지를 박진감 넘치게 늘어놓으면서도, 이소룡에겐 왜 그렇게 절박한 무술이 필요했는지 설파하기도 했으며, 절권도에 심취할 수밖에 없었던 과거의 한 시절을 쓴웃음 속에 돌아보기도 했다. 이것은 고스란히 <말죽거리 잔혹사>로 옮겨졌다. 유신 정권 말기, 순진하면서도 폭발력을 잠재한 현수(권상우)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학교 폭력 이야기는 정확히 현수라는 개인의 심상과 시대의 공기를 양분시켰다. 이 영화의 모든 갈등은 이 대립 축으로부터 나온다. 처음엔 말도 잘 못하는 쑥맥 전학생이었던 현수는 같은 반 ‘학교 짱’ 우식(이정진), 선도부장 종훈(이종훈) 등을 알게 되며 폭력이 만연한 학교를 보게 된다. 학교를 휘감은 폭력의 기운은 아이들이 등교하는 영화의 첫 장면에서부터 배어나온다. 학생들은 두발 불량, 복장 불량 등의 이유로 같은 학생인 선도부에게 체벌을 받고, 교사들에게 구타를 당한다. 당대의 고등학교에서 폭력은 제도권과 유사 제도권, 그리고 비제도권을 가리지 않고 일상 그 자체였다. 그것은 유신의 잔재이기도 했고, 실은 그 무시무시한 등교 풍경이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대한민국의 여전한 교육 현실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유하 감독은 이것을 철저하게 현수의 마음속으로 끌고 들어온다. 유약한 그의 마음속에선 순응과 저항을 양측에 둔 싸움이 벌어진다. 그는 절권도를 익혀 모든 부조리를 한꺼번에 끝장내기로 결심한다. (중략) _<작품 해설>중에서 [저자 소개] 편찬위원(가나다 순) 유동훈 한국시나리오작가협회 이사장 이유진 (주)영화사 봄 프로듀서 이정국 영화감독 이지훈 ≪필름2.0≫ 편집장 황조윤 시나리오 작가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