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 연구

르네 데카르트
36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6(31)
0.5
3.5
4
5
Rate
3.6
Average Rating
(31)
Comment
More

근세 철학의 창시자요 아버지는 데카르트다. 그는 자신의 원리의 무전제와 새로움에 의하여 근세 철학에 길을 열어 준 사람이요, 그 원리가 내적 시사를 간직하고 있음으로써 근세 철학의 기초를 세운 사람이다. 데카르트의 저서 <방법서설> ·<성찰>의 번역과 데카르트 연구로서 <데카르트의 중심 사상과 현대적 정신의 형성> ·<데카르트의 생애>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6(31)
0.5
3.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6

Table of Contents

머 리 말 5 데카르트의 생애 11 서 장(序章) 천재의 세기 ― 서양 사상사에서 데카르트의 위치- 12 1.늦잠 자는 데카르트 18 2.방 랑(放浪) 22 3.소명의 꿈 29 4.진리의 자유를 위하여 숨어 사는 데카르트;저작 36 5.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와 데카르트;평화에의 희원(希願) 52 6.데카르트의 영향 61 방법서설(方法序說) 67 제1부 학문에 관한 고찰 68 제2부 방법의 주요 규칙 77 제3부 이 방법에서 나오는 도덕의 규칙 87 제4부 하나님 및 인간 영혼의 현존의 증명 95 제5부 자연학의 문제의 순서 104 제6부 자연탐구를 전진시키는 데 필요한 것 122 성 찰(省察) 139 파리 신학부에 보내는 편지 140 독자에게 드리는 서언 146 다음 여섯 성찰의 요약 150 성찰1 의심할 수 있는 것들에 관하여 155 성찰2 인간의 정신의 본성에 관하여; 정신은 신체보다 인식되기가 더 쉽다는 것 162 성찰3 하나님에 관하여;그는 현존하신다는 것 174 성찰4 참과 거짓에 관하여 195 성찰5 물질적 사물의 본질에 관하여; 그리고 다시 하나님에 관하여, 그는 현존하신다는 것 206 성찰6 물질적 사물의 현존 및 정신과 신체의 실재적 구별에 관하여 215 데카르트 연구 237 제1편 데카르트의 중심사상 238 제1장 주체성의 문제 238 제2장 데카르트의 철학관 239 제3장 방법적 회의 247 제4장 Cogito, ergo sum의 의미 257 제5장 데카르트의 인식론 267 제6장 데카르트의 신관(神觀) 280 제2편 데카르트의 현대적 정신의 형성 305 제1장 근대화 문제 305 제2장 현대적 정신의 형성과 특색 306 제3장 데카르트의 사상적 편력 315 제4장 데카르트의 방법 326 제5장 데카르트의 자연상(自然像) 341 제6장 정념론(情念論) 350 참고문헌 355

Description

“진리를 찾기 위한 방법서설ㆍ성찰, 데카르트 연구” 이 책에는 데카르트의 저서 ≪방법서설≫·≪성찰≫의 번역과 데카르트 연구로서 ≪데카르트의 중심 사상과 현대적 정신의 형성≫·≪데카르트의 생애≫가 수록되어 있다. 데카르트는 암흑을 헤치고, 정신의 힘만으로 끈기 있게 사색하여, 밝은 빛으로 나아간 독창적 사상가였다. 그의 사상 가운데에는 오늘날에 이르러 타당성을 잃은 것이 적지 않지만, 그의 줄기찬 철학적 사색의 자세와 정신은 지금도 영롱한 빛을 발하고 있다. 슈베글러(Albert Schwegler)는《서양철학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근세 철학의 창시자요 아버지는 데카르트다. 그는 여태까지의 철학과 절연하고 아주 새로운 일을 시작한 점에서는 과도기 사람들과 같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컨같이 그저 방법적 원리를 제시하기만 한 것이 아니고, 또 뵈외메 및 동시대의 이탈리아인같이 방법적 기초를 세우지 않고 철학적 견해를 논술하기만한 것도 아니라, 전혀 전제 없는 입장에서 출발하여 새롭고 적극적이고 내용이 풍부한 철학 원리를 제시하고, 이 원리로부터 곧장 일관된 논증의 길을 거쳐 자신의 체계의 여러 근본적 명제를 끌어내려 했다. 그는 자신의 원리의 무전제와 새로움에 의하여 근세 철학에 길을 열어 준 사람이요, 그 원리가 내적 시사를 간직하고 있음으로써 근세 철학의 기초를 세운 사람이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