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서론
제1부 희랍 철학
희랍 철학의 가정들
I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1 밀레토스 학파
2 피타고라스주의자들
3 파르메니데스와 엘레아 학파
4 헤라클레이토스에서 데모크리토스까지
A) 헤라클레이토스│B) 엠페도클레스│C) 아낙사고라스│D) 데모크리토스
II 소피스트들과 소크라테스
1 소피스트들
2 소크라테스
III 플라톤
1 이데아
2 실재의 구조
3 이데아론에 의해 생겨난 문제들
4 시민과 도시 정체
5 철학
IV 아리스토텔레스
1 앎의 층위들
2 형이상학
3 존재의 양상들
4 실체
5 논리학
6 자연학
7 영혼론
8 윤리학
9 정치학
V 지혜로운 인간의 이상
1 소크라테스 전통의 윤리 철학들
A) 퀴니코스 학파│B) 퀴레네 학파
2 스토아주의
3 에피쿠로스주의
4 회의주의와 절충주의
VI 신플라톤주의
제2부 기독교
기독교와 철학
I 교부학
II 성 아우구스티누스
1 생애와 품성
2 철학
3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의의
제3부 중세 철학
I 스콜라주의
1 이행의 시기
2 스콜라주의의 특징
II 중세의 중심 주제들
1 천지창조
2 보편자들
3 로고스
III 중세 철학자들
1 스코투스 에리게나
2 성 안셀무스
3 12세기
4 동방의 철학자들
A) 아랍 철학│B) 유대 철학
5 13세기의 정신세계
6 성 보나벤투라
7 아리스토텔레스적 스콜라학
A) 성 알베르투스 마그누스│B) 성 토마스 아퀴나스
8 로저 베이컨
9 에스파냐에서의 기독교적 철학
10 둔스 스코투스와 윌리암 오캄
A) 둔스 스코투스│B) 윌리암 오캄
11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12 중세 철학의 마지막 국면
제4부 근대 철학
르네상스
I 르네상스의 세계
1 정신적 배경들
2 인문주의 사상
II 근대 철학의 시작
1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2 조르다노 브루노
3 근대의 자연학
4 에스파냐의 스콜라주의
17세기 관념론
I 데카르트
1 데카르트 문제
2 인간
3 신
4 세계
5 이성주의와 관념론
II 프랑스에서의 데카르트주의
1 말브랑슈
2 종교 사상가들
III 스피노자
1 형이상학
2 윤리학
3 생존 욕구로서의 존재
IV 라이프니츠
1 라이프니츠의 철학적 상황
2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3 인식론
4 변신론
경험주의
I 영국 철학
1 프란시스 베이컨
2 홉스
3 이신론
4 로크
5 버클리
6 흄
7 스코틀랜드 학파
II 계몽주의
1 프랑스 계몽주의
A) 백과전서│B) 루소
2 독일 계몽주의
3 역사에 관한 비코의 학설
4 에스파냐의 계몽주의 철학자들
III 근대의 형성
1 철학과 역사
2 이성주의 국가
3 종교개혁
4 근대적 사회
A) 지적 생활│B) 사회적 변화
5 신의 상실
독일 관념론
I 칸트
* 칸트의 학설
1 초월론적 관념론
2 순수 이성 비판
A) 판단들│B) 공간과 시간│C) 범주들│D) 전통 형이상학 비판
3 실천 이성
* 칸트 철학의 문제들
1 칸트 철학에 대한 해석들
2 인식론
3 존재
4 철학
II 피히테
1 피히테의 형이상학
2 피히테의 관념론
III 셸링
IV 헤겔
1 헤겔 철학의 개요
2 정신 현상학
3 논리학
4 자연 철학
5 정신 철학
V 낭만주의 시대의 사상
1 문예 운동들
2 역사학파
3 슐라이어마허와 종교 철학
4 관념론에서 도출된 사상들
5 쇼펜하우어
19세기 철학
I 감각론에 대한 승리
1 멘 드 비랑
2 유심론
II 콩트의 실증주의
1 역사
2 사회
3 과학
4 실증주의의 의의
III 실증주의에서 영감을 얻은 철학
1 프랑스의 사상가들
2 영국 철학
3 독일에서의 실증주의 시기
IV 생의 발견
1 키르케고르
2 니체
V 전통 형이상학으로의 귀환
1 첫 시도들
2 알퐁스 그라트리
제5부 현대 철학
I 브렌타노
1 철학사에서 브렌타노의 위치
2 심리학
3 윤리학
4 신의 현존
II 생의 이념
1 딜타이
2 지멜
3 베르그손
4 블롱델
5 우나무노
III 영미 철학
1 프래그머티즘
2 인격주의
3 그 밖의 동향들
IV 후설의 현상학
1 이념적 대상들
2 의미들
3 분석적인 것과 종합적인 것
4 의식
5 방법론이자 관념적 논제로서의 현상학
6 현상학적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