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제1부 신체화된 마음은 서구의 철학적 전통에 어떻게 도전하는가? 1. 서론 : 우리는 누구인가? ...25 2. 인지적 무의식 ...35 3. 신체화된 마음 ...45 4. 일차적 은유와 주관적 경험 ...85 5. 복합적 은유의 분석 ...105 6. 신체화된 실재론 : 인지과학 대 선험철학 ...125 7. 실재론과 진리 ...151 8. 은유와 진리 ...183 제2부 기본적인 철학적 개념들의 인지과학 사건, 인과관계, 시간, 자아, 마음, 도덕성 9. 철학적 개념들의 인지과학 ...201 10. 시간 ...207 11. 사건과 원인 ...253 12. 마음 ...347 13. 자아 ...391 14. 도덕성 ...427 제3부 철학의 인지과학 15. 철학의 인지과학 ...497 16.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 : 초기 그리스 형이상학의 인지과학 ...509 17. 플라톤 ...535 18. 아리스토텔레스 ...547 19. 데카르트와 계몽의 정신 ...573 20. 칸트적 도덕성 ...605 21. 분석철학 ...641 22. 촘스키 철학과 인지언어학 ...681 23. 합리적 행위 이론 ...743 24. 철학 이론들은 이떻게 작용하는가? ...779 제4부 신체화된 철학 25. 몸의 철학 ...795 *부록 - 언어신경이론 패러다임 ...819

Description

<몸의 철학>은 4부 25장 및 부록에 걸쳐 최근의 인지과학적 탐구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종합하고, 그것을 철학적 주제들에 관한 논의로 확장시키고 있는 새롭고 방대한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레이코프와 존슨(G. Lakoff and M. Johnson)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인 공동 작업의 성과를 한데 집약시키고 있는데, 폭넓은 일반 독자들을 감안한 쉽고 평이한 글쓰기를 시도하고 있지만, 이 책이 담고 있는 주장들은 결코 익숙한 것도 가벼운 것도 아니다. 적어도 이들의 분석을 옳은 것으로 받아들인다면 서양철학을 주도해 왔던 주요 개념들과 이론들은 대부분 전면적으로 수정되거나 폐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간과 함께 단시간 내에 세계적으로 수많은 독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이들이 주로 제시하고 있는 풍부한 경험과학적 증거들의 설득력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우선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의 방대함에 있다. 레이코프와 존슨은 우선 1950년대 후반에 처음 출발했던 인지과학적 탐구를 제1세대 인지과학과 제2세대 인지과학의 두 갈래로 구분하고, 1970년대에 들어 시작된 제2세대 인지과학적 탐구가 제시하는 중심적 주제들을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한다. ① 인간의 인지는 대부분 무의식적(unconscious)이다. ② 정신은 본성적으로 신체화(embodied)되어 있다. ③ 우리의 사고의 대부분은 은유적(metaphorical)이다. 이러한 새로운 발견은 서구의 지성사를 통해 제시되어 왔던 철학적 개념들과 이론들의 본성에 대한 전적으로 새로운 해명의 길을 열어 준다. {몸의 철학}은 바로 이러한 새로운 해명의 집약적 표현이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