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심의 적막 속에서, 따스함의 발단을, 노래로, 이야기로
대전과 서울을 오가며 활동하는 싱어송라이터 듀오 ‘혹시몰라’(이강국·전영국)의 첫 에세이. 10여 년간 발표한 곡들 중 12곡을 엄선해 곡명과 같은 제목의 글 12편을 쓰고 묶었으며, 책의 발행일과 같은 11월 16일에 공개되는 신곡과 동명의 글 한 편을 히든 트랙으로 숨겨 두었다. 인트로와 아웃트로, 그리고 SIDE A와 SIDE B를 비롯한 본문의 형식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은 하나의 앨범처럼 읽히기를 바라는 ‘에세이 앨범’이다. 한 편의 글이 끝날 때마다 배치되어 있는 노랫말과 QR 코드로 연결되는 해당 곡을 함께 감상하면, 그 글에 얽혀 있는 ‘혹시몰라’의 삶과 음악을 함께 읽고 들을 수 있다.
신탄진. 익숙한 표지판이 눈앞에 들어온다. 어릴 때 아버지 차를 타고 친척 집에 다녀올 때면 늘 “집에 다 왔다”라고 말씀하시던 곳. 대전의 북쪽 끝부분에 자리 잡고 있어 상행선을 탈 때면 항상 마주쳐야 하는 곳. 서울을 다녀오는 날이면 처음과 마지막에 반드시 한 번씩 지나치는 이곳에 도달하고 나서야 하루 종일 온몸에 붙어 있던 긴장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유독 긴장을 많이 하는 내가 드디어 조금 편안해진다. 어깨에 잔뜩 들어가 있던 힘이 사르르 풀리고, 머릿속을 휘젓고 있던 잡념들 또한 일렬로 정리되었다. (23쪽)
13편의 글들의 성격은 모두 제각각이어서 이 책의 성격을 한마디로 규정할 수는 없으며, 바로 이 지점이 우리가 이 책을 하나의 앨범으로서 ‘들을’ 수 있게 만든다. 「동백꽃」이라는 글에서는 저자의 청소년 시절의 장면들과 함께 ‘혹시몰라’라는 음악의 시원을 엿볼 수 있으며,「신탄진」과 「보문산 메아리」 같은 글들에서는 저자들이 살고 있는 대전의 지역성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상행」이나 「마라탕」, 혹은 「꿈속에 잔뜩」처럼 따뜻한 시선이 담긴 일화와 함께, 곡의 비하인드스토리를 알 수 있는 이야기도 있으며, 「공항에서」와 「영종도」, 그리고 「온기가 남았네」처럼 사실인지 픽션인지 분간이 잘 되지 않는 짧은 소설 같은 글들도 있다. 독자-청자들은 순서와 무관하게, 자신의 취향과 우연에 맡겨 이 앨범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출판공동체 편않이 새로 론칭한 에세이 앨범 시리즈 〈흐름들〉 중 한 권으로, 여성 뮤지션 애리(AIRY)의 『수많은 내가 다른 곳에 살고』와 함께 나왔다. 이 시리즈를 기획한 지다율 편집자는 “평소 좋아하고 응원하던 뮤지션의 음악을 하나의 책으로 만들고 싶었다”면서 “어쩌면 팬심으로 시작한 기획인데, 만들면서까지 이렇게 행복할 줄은 몰랐다. 많은 분들이 이 책들을 들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