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다시 경제민주화다

김종인
27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6(6)
Rate
3.6
Average Rating
(6)
미국을 비롯해 독일과 스웨덴 등 ‘경제민주화 선진국’ 사례를 자세히 소개했다. 경제민주화 개념에 대한 설명도 최근 국내외 경제 상황을 반영해 덧붙였다. 이런 점들을 짚어가며 왜 다시 경제민주화가 절실한가를 정리했다. 격차 해소와 거대경제세력 개혁, 노동시장 변혁, 복지 패러다임 전환, 재정 건전화, 금융 혁신 등 경제민주화를 향한 주요 정책과제의 큰 그림도 함께 제시했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6(6)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제1부 2017년, 한국의 선택제1장 왜 결국 다시 경제민주화인가?시장실패 극복의 길…경제민주화 3압축성장 25년…경제사회 구조 왜곡 7기업의 탐욕, 정부와 의회가 억제해야 12시장에만 맡기지 말고 ‘포용적 제도’로 제어해야 14더불어 사는 포용적 성장으로 17소득 불평등이 성장의 걸림돌 20격차 해소가 2017년 시대정신 25제2장 선진국들이 먼저 한 경제민주화‘경제민주화 선진국’, 미국 30‘사회적 시장경제’의 모체, 독일 34‘고(高)부담 고(高)복지’ 국가, 스웨덴 39‘3권(權)담합’이 망친 경제, 일본 43제3장 신자유주의는 실패한 경제 논리신자유주의의 퇴조 48신자유주의는 만능이 아니다 51대공황 이후 득세한 케인지언이즘 53사회안전망 강화한 루스벨트 대통령 55신자유주의 채택해 실패한 레이거노믹스 59‘제3의 길’ 모색하는 선진국들 62경제정책, 시대적 과제 해결해야 65차례제4장 누가 집권하든 경제민주화가 과제 시대 변화를 못 읽으면 망한다 68새로운 계층, 산업화 세력을 포용하라 71선거결과 못 읽으면 권력 잃는다 75압축성장의 산물, 재벌 79경제민주화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공생 원리 81기업이 마음대로 하는 게 시장경제? 84헌법 제119조 제2항, 자본주의 지키는 안전장치 88경제민주화에 대한 오해 9160세를 경계로 다른 사람들 93경제민주화로 정경유착 고리 끊어야 96대통령이 의지를 갖고 실천해야 한다 98제5장 준비 없이 대통령 되면 아무것도 못한다 산업화 과정에서 커진 근로자 파워 103근로자 세력 보듬기…재형저축 도입 105복지연금에 밀릴 뻔했던 의료보험 108너무 서두른 부가가치세 도입 112기업공개가 이익의 사회환원이라고? 114끝내 무위로 끝난 노동법 개정 116대통령의 철학과 소신이 중요하다 120준비 없이 대통령 되면 아무것도 못 한다 122성장 콤플렉스에서 벗어날 때 됐다 125‘라인강의 기적’ 주역 에르하르트 127희망을 주는 정치를 보고 싶다 130제2부 경제민주화를 통한 포용적 성장의 길제1장격차 해소밀물이 들어와도 배가 뜨지 않는다 138핵심 당면 과제, 양극화 해소 141골목상권 몰락이 상징하는 양극화 144양극화 못 풀면 민주주의?자본주의도 없다 147경기부양 아닌 구조조정 정책 써야 149제2장 거대경제세력(재벌) 개혁 경제세력이 정치세력을 압도하는 시대 153출자제한보다 기업 지배구조 개선해야 159‘절제된 시장경제’가 정답 166전경련, 이제 달라져야 한다 170제3장 노동시장 변혁근로자도 기업경영 알 수 있어야 174기업 내 노조로는 안 된다 178격차 해소 위해서도 필요한 노동법 손질 180비정규직 문제 풀지 않고선 미래 없다 182젊은이들을 IT 마당에서 뛰놀게 하자 186제4장 복지 패러다임 전환 성장과 복지 사이의 균형을 맞춰라 190교육?보육은 복지로 보지 말자 191관료사회의 현상유지 논리가 걸림돌 194연금, 적립 및 부과 방식 병행 196기본소득 도입 논의 시작하자 198제5장 재정 건전화 감세(減稅)한다고 소비 늘지 않는다 203예산 구조조정하면 복지재원 마련 가능 205국민연금, 지금처럼 주식투자해선 안 된다 208재정적자만 부풀린 일본의 경기부양책 209제6장 금융 혁신 중앙은행이 독립돼야 물가안정 가능 215금산분리 원칙 지켜야 한다 219양적완화로 돈 풀어도 월가만 살쪄 220미국, 네 번째 각성을 할 때다 222제3부 더불어 사는 경제로 가는 길제1장 경제정책의 틀을 새로 짜라 경제 ‘기술자’만 있지 ‘경제정책가’는 없다 227슬로건만으로 경제, 나아지지 않는다 229융합정책 시대…정부조직 정비해야 232보육.교육은 복지정책 아닌 경제정책 234제2장 인구구조 변화에 대비하라 세계를 지배하는 힘, 인구에서 나온다 238현실화한 인구 오너스 시대 241저출산 해소대책에 국민연금 활용하자 244제3장 부동산정책은 잊어라 분배구조 악화시킨 부동산투기 246부동산정책 따로 쓰지 않아야 249세금으로 부동산 못 잡는다 253제4장 될 만한 산업으로 구조조정하라 자영업, 이대로는 안 된다 258프랜차이즈 횡포, 공정위가 나서야 261수요독점.수요과점을 활용하자 2634차 산업혁명, 재벌만으론 안 된다 267 제5장 북한의 개혁 개방을 유도하라 중국 경제로 편입되고 있는 북한 경제 271남북관계 최대 변수, 중국 273남북문제, 우리가 주도권 잡아야 276북한의 개혁 개방을 유도하라 278

Description

머리말 경제민주화가 1987년 개정된 헌법(제119조 제2항)에 명시된 지 벌써 30년이 흘렀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경제민주화가 구현된 현장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동안 계층간 소득 격차는 크게 벌어졌고 오히려 양극화가 심화됐다. 1987년 체제 이후 30년 동안 ‘정치민주화’는 상당히 진전된 반면 경제민주화는 여전히 답보 상태이다. 경제민주화 조항이 헌법에만 규정돼 있으면 뭐하겠는가.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우리말 속담처럼 경제민주화도 우리 사회가 의지를 갖고 실천을 해야 한다. 그런데 현실은 딴판이다. 경제민주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 가득하다. 1987년 경제민주화 조항을 만든 개헌 당시나 2017년 현재나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재계의 반발은 조직적이고 정략적이다. 이들은 “경제민주화를 하면 경제가 어려워진다”고 주장한다. 실상은 경제민주화가 되지 않아 경제가 어려운데도 말이다. 우리 사회는 곳곳에서 이들의 논리에 젖어들었다. 경제민주화에 대한 그릇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기 위해 절절한 심정으로 이 책을 다시 고쳐 썼다. 경제민주화란 구슬을 제대로 꿰어 우리 사회의 미래를 담보하는 소중한 보배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경제민주화는 결코 개별 거대경제세력(필자는 재벌을 이렇게 표현한다) 그룹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양극화가 진행될수록 경제·사회적 긴장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결국 경제와 정치 영역에서 작동해야 할 민주주의 질서가 위협받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바로 경제민주화다. 독일 유학 당시 국가의 건국부터 정치, 경제 발전 과정을 오랫동안 연구했다. 독일을 보면서 한국이 발전하는 과정에 어떤 정치적, 경제적 문제가 뒤따를 것인지 고민했다. 나름의 예방책을 만들어 한국에 돌아가 기여해야겠다는 마음에서다. 영국, 미국, 독일 등 성공한 나라들을 보라. 이들 국가가 정치발전과 함께 경제적 번영을 이룬 바탕에는 경제 질서를 바로잡는 사전적인 조치가 전제 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영국은 입헌정치의 시발점인 대헌장(Magna Carta) 이래 산업혁명 시기 노동자의 선거권 획득을 위한 차티스트(Chartist) 운동에 이르기까지 ‘피를 부르는 혁명’ 없이 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정착시킴으로써 경제발전의 기반을 다졌다. 미국의 건국정신은 자유주의였다. 정부가 개인의 경제활동에 관여해선 안 된다는 의식이 팽배했다. 그러나 독점기업의 폐해가 심각하자 19세기 말 독점금지법을 제정했고, 20세기 초 US스틸 등 거대 독점기업을 해체시키는 등 이른바 반기업적 조치를 과감히 실행했다. 이어 누진소득세를 도입하는 등 일련의 경제민주화 조치를 취해 사회개혁의 기초를 다졌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국이 된 독일은 어떻게 부활했을까?초대 부총리와 2대 총리를 지낸 루트비히 에르하르트라는 뛰어난 지도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사회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했다. ‘사회적 시장경제’란 시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신자유주의를 택하면서도 정부 역시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도록 심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정부가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영역에 개입하도록 했다는 것이 신자유주의와 다른 지점이다. 독일 경제를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 이끌고, 수출의 70%를 담당하게 된 배경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선택은 자명해진다. 경제민주화의 길을 차근차근 밟아 나가야 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가 소득격차로, 소득격차가 다시 계층격차로 고착화되는 과정에서 많은 국민들이 경제민주화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경제민주화는 어려운 개념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매일 경제활동하면서 체험하고 느끼는 개념이자 일상에서 통용되는 원리다. 그럼에도 우리 정치권은 아직도 이를 겸허히 받아들이지 않는다. 심지어 재계는 경제민주화란 표현에 거부감을 보이면서 ‘경제합리화’나 ‘경제선진화’로 용어를 바꾸는 게 어떠냐고 제안하기도 했다. 다시 얘기하지만 경제민주화는 어디서 갑자기 나타난 해괴한 논리가 아니다. 민주주의 국가가 구성원의 갈등을 줄여나가면서 안정적으로 시장경제의 효율을 높이는 데 필수불가결한 핵심 개념이다. 다른 나라의 전례들이 이를 증명한다. 우리는 ‘정답’을 알면서도 이를 실행할 용기가 없는 것 같다. 대통령 선거의 해인 2017년 시대정신은 단언컨대 경제민주화일 것이다. 2012년 18대 대선에서 정치권이 경제민주화 이슈를 주도했다면 지금은 국민이 경제민주화를 요구하고 있다. 금수저와 흙수저라는 ‘수저계급론’으로 계층격차를 자조하는 국민들이, 연인원 1,500만명이 운집한 광장의 촛불 민심이 경제민주화를 시대정신으로 소환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초래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근원도 따지고 보면 경제민주화에 역행한 결과다. 정치권이 한낱 선거구호로만 경제민주화를 외친다면 결국 국민이 직접 경제민주화를 실현시키고자 나설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 사회는 결코 적지 않은 비용을 치러야 할 것이고, 기성 정치권이 설 공간은 더욱 좁아질 것이다. 돌이켜보면, 19대 총선을 앞둔 2011년 말부터 여의도 정치권은 물론 경제계 키워드로 경제민주화가 등장했었다. 지난 18대 대선에서도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의 핵심 공약으로 채택돼 당시 박근혜 후보의 당선에 기여했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예전 같은 대기업 중심 경제정책으로 되돌아가고 말았다. 30년 전 헌법에 경제민주화 조항을 명문화하는 데 일조하고 18대 대선 과정에서 경제민주화 공약에 관여한 당사자로서 이를 지켜보는 마음이 착잡하다. 경제민주화는 필자 평생의 소임이었다. 1970년 이후 ‘경제민주화’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경제민주화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사회 안정을 함께 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다. 필자는 박정희 정권에서 의료보험 도입을 주장해 관철시켰다. 당시 국민소득이 1,000달러도 안 되는 상황에서 시기상조라는 내각의 반대가 거셌지만 ‘근로자가 아프면 일을 못 하고, 소득이 줄어들면 사회가 불안정해진다’고 설득했다. 전두환 정권에서는 기업 감세 정책을 반대했고, 헌법 개정안에 경제민주화 조항을 포함시켰다. 그러나 정치민주화가 이뤄진 1987년 이후 경제세력과 정치세력간에 힘의 역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1987년 이전 권위주의 대통령들이 재벌을 만들었다면, 정치민주화 이후 대통령들은 경제세력에 압도당하면서 경제민주화는 계속 좌절됐다. 노태우 대통령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을 맡아 재벌들이 3개 주력 업종만 하도록 하는 구조조정을 추진했지만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김대중 대통령은 외환위기를 서둘러 수습하기 위해 대기업에 공적자금을 대거 투입했고, 결국 대기업 구조조정의 기회를 놓쳤다. 노무현 대통령 역시 경제민주화 의지를 보이면서 도움을 요청했지만 끝내 “권력은 시장으로 넘어갔다”고 고백하기에 이르렀다. 박근혜 대통령은 경제민주화 공약을 걸고 당선됐지만 1년도 안 되어 경제민주화라는 말 자체가 사라졌다. 더불어민주당도 지난해 4·13총선에서 경제민주화 공약을 내세워 승리했지만, 실천할 것인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역대 대통령 재임기간 경제민주화가 번번이 좌절되는 것을 지켜보면서 경제민주화를 실현시키려면 대통령의 정확한 상황 인식과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더구나 이제는 선거 구호로만 경제민주화를 외쳐서는 결코 안 되는 시기가 도래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사회 구조의 틀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는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3년 연속 2%대의 저성장을 기록하게 된 우리 경제는 경제민주화라는 장치 없이 재도약 자체가 어렵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세계 질서가 요동치고 있는데 한국 외교는 낭떠러지 앞에 서 있다. 이런 총체적 위기 속에서 한국은 앞으로 5년이 마지막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절박감이 든다. 다음 대통령이 이런 경제 상황을 인식하지 못 하면 한국 경제도 일본처럼 20년 저성장의 늪에 빠질 것이다. 중산층 이하 대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