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마와 아니무스

이부영 · Humanities
36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0(40)
0.5
4
5
Rate
4.0
Average Rating
(40)
Comment
More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속담이 사실은 암탉의 자율성에 대한 수탉인 남성의 불안에서 나온 말이라고 하면 어떨까? 더 나아가 모성에 대한 남성의 의존심을 은폐하기 위해서라거나, 남성이 갖고 있는 여성성을 애써 낮추어 남성성을 더욱 강화시키려는 반작용이라고 한다면? 남존여비의 대표적인 속담을 이렇게 간단히 뒤집어 볼 수 있는 한 쌍의 개념이 융이 제시한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로 아니마는 남성의 마음 속에 있는 여성을, 아니무스는 여성의 마음속에 있는 남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융은 남성과 여성이 생물학적으로, 심리학적으로 서로 다른 관심과 특성을 나타내지만 남성의 무의식에는 '아니마'라는 여성의 인격이, 여성의 무의식에는 '아니무스'라는 남성의 인격이 원초적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한다. 분석심리학의 탐구 2번째 권인 이 책은 이러한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을 한국인의 꿈, 정신과 임상사례, 무속 및 민담, 한국 전통 사상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융심리학에 대한 일종의 입문서 역할을 한다. 지은이는 희생과 시련을 통한 여성의 자기실현을 보여주는 '심청전' '바리공주' 등의 이야기 속에서 '아니마'의 이미지를 발견하기도 하고 한용운, 이해인 등의 시 속에서 아니마, 아니무스 원형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등 한국인의 무의식과 접목시켜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을 비교적 쉽고 명료하게 설명해 나간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4.0(40)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5

Table of Contents

- 깊고 어두운 마음의 심층을 향하여 들어가는 말 : 마음의 구조와 심혼의 자리 페르조나(외적 인격)와 나 내적 인격, 아니마/아니무스 원형과 아니마, 아니무스 무의식의 구조와 자기, 자기실현 집단적 남성관과 여성관, 아니마/아니무스 제1장 아니마, 아니무스란 무엇인가? 1.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론 - 인격분리와 심혼의 현상 - 남성심리와 여성심리 - 남성과 여성의 무의식적 측면 - 아니마, 아니무스 2. 아니마, 아니무스에 관한 여성분석가들의 이론 - 마리 루이제 폰 프란츠의 이론 - 엠마 융의 아니무스론 - 토니 볼프의 '여성 마음의 구조적 형태' 제2장 한국인의 꿈에 나타난 아니마, 아니무스상 꿈에 대하여 피분석자의 꿈에서 제3장 밖에서 보는 한국인의 아니마, 아니무스상 남녀관계 속에서의 아니마, 아니무스 사회현상으로서의 아니마, 아니무스의 투사 제4장 정신과 임상에서 보는 아니마, 아니무스 문제 부부의 갈등 우울과 좌절 동성애 물질남용 사랑의 병(상사병)과 애정망상 질투와 질투망상 전이, 역전이 제5장 한국문화에 나타난 아니마, 아니무스상 1. 심혼의 노래 2. 민간 전승을 통해 본 아니마, 아니무스 현상 - 무속의 세계 - 민담의 세계 - 전통 종교사상과 여성성 맺음말 -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Collections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