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미셸 푸코
416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1(24)
Rate
4.1
Average Rating
(24)
지난 1997년 출간된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는 푸코의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중 처음 공개된 것으로서 ‘푸코 르네상스’의 기폭제가 된 책이다. 이 책에서 푸코가 권력의 새로운 테크놀로지로 제시한 ‘생명권력/생명정치’ 개념은 수많은 후속 연구를 낳으며 동시대 정치철학의 패러다임을 혁신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제시된 ‘생명권력/생명정치’ 개념이 워낙 많이 회자된 탓에 사람들은 이 개념이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의 주요 테마라고 생각하곤 하지만, 정작 이 책의 핵심은 다른 데 있다. 권력관계의 새로운 분석틀로서의 ‘전쟁’ 모델이 바로 그것이다. 즉, ‘전쟁’(혹은 전투, 내전, 침략, 반란, 봉기 등)이야말로 우리의 역사와 사회, 그리고 향후 전망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주장이 이 책의 핵심 테마인 것이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Rating Graph
Avg4.1(24)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프랑스어판 편집자 서문 1강. 1976년 1월 7일 강의란 무엇인가? | 예속된 앎들 | 투쟁의 역사적 앎, 계보학과 학문적 담론들 | 계보학의 관건인 권력 | 권력에 대한 법적.경제적 개념 파악 | 억압으로서의 권력과 전쟁으로서의 권력 | 칼 폰 클라우제비츠의 아포리즘을 뒤집기 2강. 1976년 1월 14일 전쟁과 권력 | 철학, 그리고 권력의 한계 | 법과 왕권 | 법률, 지배, 예속화 | 권력 분석: 방법의 문제 | 주권 이론 | 규율권력 | 규칙과 규범 3강. 1976년 1월 21일 주권 이론과 지배의 조작자 | 권력관계의 분석틀로서의 전쟁 | 사회의 이항 구조 | 역사적-정치적 담론, 영구적 전쟁의 담론 | 변증법과 그 코드화 | 인종투쟁의 담론과 그 기록 4강. 1976년 1월 28일 역사적 담론과 그 옹호자들 | 인종투쟁의 대항역사 | 로마적 역사와 성서적 역사 | 혁명적 담론 | 인종주의의 탄생과 변형 | 인종의 순수성과 국가인종주의: 나치적 변형과 소비에트적 변형 5강. 1976년 2월 4일 반유대주의에 관한 대답 | 토머스 홉스에게서의 전쟁과 주권 | 잉글랜드의 왕당파, 의회파, 수평파에게서의 정복 담론 | 이항 도식과 정치적 역사주의 | 홉스가 제거하고 싶었던 것 6강. 1976년 2월 11일 기원에 관한 서사 | 트로이 신화 | 프랑스의 계승 | ‘갈리아-프랑스’ | 침략, 역사, 그리고 공법 | 민족적 이원론 | 군주의 앎 | 앙리 드 불랭빌리에의 『프랑스의 상태』 | 재판소 문서고, 관료조직, 그리고 귀족의 앎 | 역사의 새로운 주제[주체] | 역사와 헌법 7강. 1976년 2월 18일 민족과 민족들 | 로마의 정복 | 로마인들의 영광과 몰락 | 앙리 드 불랭빌리에가 말한 게르만족의 자유에 대해 | 수아송의 항아리 | 봉건제의 기원 | 교회, 권리, 국가의 언어 | 불랭빌리에게서의 전쟁의 3대 일반화: 역사법칙과 자연법칙, 전쟁의 제도들, 힘들의 계산 | 전쟁에 대한 몇 가지 고찰 8강. 1976년 2월 25일 앙리 드 불랭빌리에와 역사적-정치적 연속체의 구성 | 역사주의 | 비극과 공법 | 역사의 중앙 행정 | 계몽주의의 문제틀과 앎의 계보학 | 규율적 앎의 네 가지 작동과 그 효과들 | 철학과 과학 | 앎들의 규율화 9강. 1976년 3월 3일 역사적 앎의 전술적 일반화 | 헌법, 혁명, 그리고 순환적 역사 | 미개인과 야만인 | 야만인의 세 검열: 역사적 담론의 전술들 | 방법의 문제: 부르주아지의 인식 장과 반역사주의 | 프랑스 혁명에서의 역사적 담론의 재활성화 | 봉건제와 고딕 소설 10강. 1976년 3월 10일 프랑스 혁명에서의 민족 관념의 정치적 재정립: 에마뉘엘-조제프 시에예스 | 역사적 담론에 대한 논리적 귀결과 효과 | 새로운 역사의 두 가지 이해가능성의 격자: 지배와 총체화 | 프랑수아 도미니크 드 레노 몽로지에와 오귀스탱 티에리 | 변증법의 탄생 11강. 1976년 3월 17일 주권권력에서 생명에 관한 권력으로 | 살게 만들기와 죽게 내버려두기 | 인간-신체에서 인간-종으로: 생명권력의 탄생 | 생명권력의 적용 장

Description

| ‘푸코 르네상스’의 시작을 알린 미셸 푸코의 걸작! | “올해 강의는 이런 분석 형식의 출현에 바쳐졌다. 즉, 어떻게 전쟁(또 침략, 전투, 정복, 승리, 패자에 대한 승자의 관계, 약탈, 강탈, 봉기 등 그 상이한 측면)은 역사, 더 일반적으로는 사회적 관계의 분석틀로 사용됐는가?” 지난 1997년 출간된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는 푸코의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중 처음 공개된 것으로서 ‘푸코 르네상스’의 기폭제가 된 책이다. 이 책에서 푸코가 권력의 새로운 테크놀로지로 제시한 ‘생명권력/생명정치’ 개념은 수많은 후속 연구를 낳으며 동시대 정치철학의 패러다임을 혁신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강의 이후로 40여 년, 또 이 강의의 출판 이후로만 2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를 읽어야만 하는가 반문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책은 오늘날 더 중요해졌다. 이 책에서 제시된 ‘생명권력/생명정치’ 개념이 워낙 많이 회자된 탓에 사람들은 이 개념이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의 주요 테마라고 생각하곤 하지만, 정작 이 책의 핵심은 다른 데 있다. 권력관계의 새로운 분석틀로서의 ‘전쟁’ 모델이 바로 그것이다. 즉, ‘전쟁’(혹은 전투, 내전, 침략, 반란, 봉기 등)이야말로 우리의 역사와 사회, 그리고 향후 전망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주장이 이 책의 핵심 테마인 것이다. 최근의 국내외 사건들이 푸코의 주장을 여실히 방증해준다. 프랑스의 풍자지 『샤를리 에브도』에 가해진 이슬람주의자들의 테러, 나치의 망령이 돌아오는 듯한 인종주의의 부활과 유럽 극우 정당들의 대약진, 북한 방문담을 주제로 한 ‘신은미?황선의 토크 콘서트’ 현장에 가해진 고교생의 황산 테러, 그 이전부터 전면화된 ‘일베 현상’까지, 실로 전 세계가 사회 구성원들 간의 극한 대결로 치닫고 있지 않은가? 푸코는 “전쟁은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연속이다”라는 칼 폰 클라우제비츠의 경구를 뒤집어 자신의 ‘전쟁’ 모델을 설명한다. 푸코에 따르면 “정치는 다른 수단에 의한 전쟁의 연속이다.” 즉, 사회들 사이에서 혹은 한 사회 내에서 늘 앞서 존재하고 존속하는 것은 정치가 아니라 전쟁이다. 정치는 전쟁을 억제하거나 은폐할 수 있을 뿐 제거할 수는 없다. 이렇게 보면 전쟁이 가시화된다는 것은 정치의 실패를 의미한다. 푸코가 나치즘으로 상징되는 인종주의의 대두에서 발견한 것이 바로 이 ‘정치의 실패’였다. 오늘날 우리 사회를 비롯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온갖 갈등 역시 이런 정치의 실패(혹은 정치의 종언)의 귀결이 아닐까?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는 푸코가 동시대에 관해 언급하기 시작한 저작으로도 유명하다. 총 55쪽에 달하는 옮긴이 해제 는 푸코가 보여준 이런 사유의 ‘동시대성’을 숙고하는 데 길잡이가 될 것이다.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