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영화 산업

박정수
266p
Where to buy
content
Rate
3.8
Average Rating
(3)
Comment
More

중국 영화 산업을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중국이 처음 영화를 상영한 1896년부터 세계 영화 시장의 왕좌를 넘보는 2015년까지의 변화상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체제 전환과 영화 시장 개방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영화 산업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시대 순서로 정리했다. 이데올로기와 상업성 사이에서 고민하고 번뇌해 온 중국 영화인들의 모습은 비슷한 정치 현실을 경험하고 또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한국 영화인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줄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머리말 01 중국 영화 산업 이해의 기초 영화 산업과 정치경제 중국 영화 산업의 정치경제적 결정 요인 중국 영화 산업의 분석 틀 세부 질문들 02 중국공산당과 영화 산업: 태동과 성장, 그리고 붕괴(1896∼1976) 중국 영화 산업의 태동과 중국공산당의 인식(1896∼1937)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시기 중국공산당과 영화 산업(1937∼1949) 사회주의 중국의 성립과 영화 산업: 사회주의 계획경제(1949∼1965) 중국 영화 산업의 붕괴: 문화대혁명(1966∼1976) 축복과 저주: 애증의 관계 03 개혁개방과 영화 산업: 개혁의 탐색(1978∼1992) 계획경제 복귀와 개혁의 탐색 민영영화사의 출현 영화적 다양성 비껴간 개혁개방 04 체제 전환과 영화 산업: 사회주의 시장경제와 제1차 시장화 개혁(1993∼2001) 제1차 시장화 개혁의 배경과 내용 국가 통제의 지속: 개혁의 제한(1993∼2001) 개혁의 이중성 05 제1차 시장화 개혁의 한계: 영화 산업의 침체 국유 부문 개혁의 한계: 계획경제의 경로 의존 민영 부문의 배제와 몰락 영화 산업의 단절적 ‘이원 구조화’ 체제의 한계 06 영화 시장 개방과 영화 산업: 제2차 시장화 개혁과 영화 산업의 성장(2002∼현재) 영화 시장 개방에 대한 중국의 위기의식과 대응 논리 제2차 시장화 개혁: 산업화 정책과 시장화 정책 제2차 시장화 개혁과 영화 산업의 성장 위기 속의 기회 07 기업집단화 정책과 거대 자본의 형성 기업집단화 정책의 목적과 방식 기업집단화 정책과 국유영화그룹 민영영화그룹의 출현과 성장 자본의 성장 08 영화 산업의 구조적 양극화 영화 산업 성장의 그늘 개혁 정책의 모순과 구조적 양극화 거대 자본의 독과점화 독과점의 그늘 09 국가 통제의 지속 국가 통제의 배경 기존 영화 산업 통제 제도 새로운 영화 산업 관리 방식 시장에 우선하는 국가 10 국가와 시장 사이의 영화 산업, 그리고 영화 국가와 시장 사이의 영화 산업 새로운 권력 구조 속의 영화 1: 하세편 새로운 권력 구조 속의 영화 2: 장이머우의 영화 영화의 선택지 11 중국 영화 산업의 길 참고문헌

Description

중국 영화 산업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최초의 책 왜 중국 영화 산업인가? 성장이 눈부시다. 대단한가? 매년 30%의 성장세로 세계 1위 미국 시장을 위협한다. 가파른 성장의 요인은? 체제 전환과 시장 개방이다. 중국 영화 산업을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영화가 국가와 시장의 권력관계에 따라 변했기 때문이다. 중국이 처음 영화를 상영한 1896년부터 세계 영화 시장의 왕좌를 넘보는 2015년까지의 변화상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중국 영화 산업이 걸어온 110년의 역사 최근 중국 영화 산업의 성장이 눈부시다. 2012년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의 영화 시장으로 올라선 중국은 매년 30% 안팎의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세계 1위인 미국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2002년 단 100편에 불과했던 중국 영화제작 편수는 2014년 618편으로 급증했다. 2년 전인 2012년에는 745편을 제작하기도 했다. 제작 편수에서는 이미 할리우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셈이다. 이렇듯 중국 영화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중국 영화 산업을 제대로 소개한 책은 없다. 현재 중국 현지를 제외하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중국 영화 산업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은 이 책이 처음이다. 중국 영화 산업의 역사를 집대성한 최초의 책 중국의 현대사, 특히 정치경제사에 대한 배경이 없으면 중국 영화 산업의 희로애락을 결코 느낄 수 없다.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사회주의 중국, 개혁개방, 체제 전환, WTO 가입 등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중국 영화 산업 역시 굴곡진 역사를 만들어 왔기 때문이다. 이 책은 중국 영화 산업을 정치경제적 시각에서 분석한다. 체제 전환과 영화 시장 개방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영화 산업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시대 순서로 정리했다. 현실적으로도 중국 영화 시장은 포화 상태인 한국 영화 산업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이데올로기와 상업성 사이에서 고민하고 번뇌해 온 중국 영화인들의 모습은 비슷한 정치 현실을 경험하고 또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한국 영화인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