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에 대하여

폴 리쾨르
804p
Where to buy
content
Rate
4.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한 리쾨르의 본격적인 독해이며 프로이트와의 철학적 대화이다. 리쾨르는 프로이트의 사유를 일정 부분 주체의 자기 이해의 도정으로 읽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불투명한 코기토가 꿈으로 표현되는 상징이나 기호 등의 매개를 거쳐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고, 우리는 삶의 도상 속에서 자신을 끊임없이 이해하고 해석한다는 점을 프로이트를 빌려 이야기한다. 리쾨르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서 출간되는 『해석에 대하여』는 그의 대표작으로 리쾨르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책이며 프로이트를 새로운 시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역자의 말 · 20 서문 · 29 1권 문제제기 : 프로이트의 입지 33 1 장_언어, 상징, 해석에 대하여 35 1. 정신분석학과 언어 35 2. 상징과 해석 40 3. 상징에 대한 비판을 위하여 45 2장_해석들의 갈등 59 1. 해석이라는 개념 60 2. 의미에 대한 묵상으로서의 해석 71 3. 혐의 추궁으로서의 해석 77 3장_해석학적 방법과 반성철학 83 1. 상징에 의뢰하는 반성 84 2. 반성에 의뢰하는 상징 88 3. 반성과 다의적 언어 95 4. 반성과 해석학적 갈등 104 2권 분석론 : 프로이트 읽기 109 들어가는 말 : 프로이트를 읽는 방법 111 1부 : 에너지론과 해석학 119 프로이트주의의 인식론적 문제 120 1장_해석학 없는 에너지론 124 1. 항상성 원칙과 양적 기관 127 2. 지형학을 향하여 142 2장_『꿈의 해석』에서 에너지론과 해석학 149 1. 꿈 작업과 주해 작업 151 2. 7장의 ‘심리학’ 169 3장_「메타심리학에 관한 논고」에서 충동과 대표 185 1. 지형학적-경제학적 관점과 충동 개념의 획득 188 2. 대표와 표상 211 2부 : 문화 해석 235 1장_꿈의 유비 242 1. 꿈의 특권 242 2. 예술작품의 유비 247 2장_꿈꾸기에서 승화로 268 1. 해석의 기술적 접근과 임상적 접근 271 2. 해석의 발생적 방법 280 3. 메타심리학적 문제 : 초자아라는 개념 313 3장_환영 338 1. 환영과 욕망의 전략 340 2. 설명의 발생적 단계 : 토테미즘과 유일신교 347 3. 종교의 경제적 기능 362 3부 : 에로스, 타나토스, 아낭케 371 1장_쾌락원칙과 현실원칙 378 1. 현실원칙과 ‘이차 과정’ 380 2. 현실원칙과 ‘대상 선택’ 390 3. 현실원칙과 자아의 경제적 과제 397 2장_죽음충동 : 사변과 해석 404 1. 삶과 죽음에 대한 프로이트적 ‘사변’ 404 2. 죽음 충동과 초자아의 파괴성 421 3. 에로스와 타나토스 사이의 문화 433 3장_심문 443 1. 부정성이란 무엇인가? 444 2. 쾌락과 만족 454 3. 현실이란 무엇인가? 462 3권 변증법 :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해석 483 1장_인식론 : 심리학과 현상학 사이 488 1. 정신분석학의 인식론적 과정 489 2. 정신분석학은 관찰의 학문이 아니다 507 3. 정신분석학적 영역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531 4. 정신분석학은 현상학이 아니다 550 2장_반성 : 주체의 고고학 589 1. 프로이트와 주체 물음 591 2. 이드의 실재성, 의미의 관념성 605 3. 고고학이라는 개념 616 4. 고고학과 반성철학 635 3장_변증법 : 고고학과 목적론 644 1. 의식의 목적론적 모형 : 헤겔적 현상학 648 2. 넘어설 수 없는 삶과 욕망 657 3.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a) 조작개념 663 4.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b) 동일화 696 5.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c) 승화에 관한 물음 677 4장_해석학 : 상징에의 접근 691 1. 상징의 과잉결정 694 2. 상징의 위계질서 707 3. 승화와 문화적 대상의 문제에 관한 변증법적 재검토 718 4. 신앙과 종교 : 성스러운 것의 애매성 732 5. 종교 정신분석학의 가치와 한계 742 프로이트 저작 연표 · 771 찾아보기 · 790

Description

이 책은 본질적으로 프로이트에 관한 논의를 위한 것이다 이 책은 프로이트를 다룰 뿐 정신분석학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이 책은 심리학에 대한 것이 아니라 철학에 대한 것이다 나의 문제는 프로이트 담론의 일관성에 대한 것으로 첫째 인식론의 문제 둘째 반성철학의 문제 셋째 변증법의 문제이다. -폴 리쾨르, 『해석에 대하여』 『해석에 대하여』는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한 리쾨르의 본격적인 독해이며 프로이트와의 철학적 대화이다. 리쾨르는 프로이트의 사유를 일정 부분 주체의 자기 이해의 도정으로 읽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불투명한 코기토가 꿈으로 표현되는 상징이나 기호 등의 매개를 거쳐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고, 우리는 삶의 도상 속에서 자신을 끊임없이 이해하고 해석한다는 점을 프로이트를 빌려 이야기한다. 리쾨르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서 출간되는 『해석에 대하여』는 그의 대표작으로 리쾨르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책이며 프로이트를 새로운 시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Collections

1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